8 419

Cited 0 times in

강화군민에서 발생한 자살의 역학 및 정신의학적 고찰

Other Titles
 Epidemiologic and psychiatric observations of suicides committed in Kang Wha residents 
Authors
 유순형 
Issue Date
1980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1977년1월1일부터 1979년12월31일까지 만 3년 동안 강화군민의 자살자에 관한 역학 및 정신의학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강화지역은 자살율이 매우 높다고 보고된 지역이었으므로, 이 지역 주민의 자살자에 관한 전체적 양상을 알아보고자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모든 자살자들은 공공기관의 자료로부터 얻어졌으며, 한 사람의 정신과 전문의사가 자살자의 집들을 방문하여, 가족, 친척 및 사람들과 면담하여 미리 준비된 조사표의 내용에 관한 기본적 정보 뿐만 아니라 정신의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모든 정보의 내용은 3명의 정신과 전문의사가 각각 평가하여 자살자에 관한 정신과적 진단이 분류되었고, 자살자의 역동학적 동기가 결정되었으며, 최종적인 것은 세사람의 동의가 있을 때 확정되었다.

이 지역에서 연구 대상을 삼은 자살자는 127명이었고, 숫자는 강화군에서 만 3년간 발생한 주민의 전체 자살자이며, 이는 인구 10만당 연평균 44.6명의 자살율에 해당되었다.

남녀의 자살율의 비는 2.3 : 1로 남자에서 높고, 연령상으로 볼 때 남자는 30대 여자는 20대에서 최고의 자살율을 보였다.

자살방법으로는 음독이 가장 많이 자살자중 89.3%를 차지했으며, 자살장소는 주로 자가(自家)이었고 (92.0%), 전체 자살자 중 47.2%는 자살 직전에 음주를 하였다.

자살자의 74%는 이전에 자살의사를 암시한 바 있으며 9.4%는 유서를 남겼다.

자살율은 겨울에 가장 낮았고, 하루시간중 오후 6시부터 자정까지가 가장 높았다. 자살자중 15.7%에서 1회이상 자살기도한 과거력이 있고, 그중의 45%는 3개월후 재기도하여 생명을 잃었다.

자살유발 요인은 가정불화와 신병비관이 가장 많았으나 그중 45%는 생활고를 자살소인으로 포함하고 있었다.

가장 뚜렷한 역동학적 동기는 자신의 생명을 쉽게 포기해 버리는 것이었으며, 10예를 제외한 대부분의 자살자는 정신의학적 진단이 가능했다.

앞으로 왜 강화지역에 자살율이 높은지에 관한 원인 규명을 위한 사회 문화적 접근이 강력히 요청되고 있다.



[영문]

An epidemiologic and Psychiatric study about suicides in Kang Wha County was conducted for the past 3 years from January 1, 1977 to December 31, 1979 in order to identify overall pictures of suicides committed in the residents of the area, where the suicide rate was reported to be extraordinarily high.

All the suicide cases were obtained from the official source. One psychiatrist visited the house of the suicide and interviewed the family mumber, relative and the neighbor. The predeveloped questionnaire was used to obtain standardized information. Three psychiatrists made psychiatric diagnosis and determined dynamic

motives independently with the data obtained by interview and the final decision was made based on the consensus.

The total number of suicides committed during the study period in the area was 127 and the rate for the suicide was 44.6 per 100,000 population.

This rate can be considered as an extremely with compare with other area and other countries.

Male and female ratio was 2.3 to 1. Age between 30-39 in male and 20-29 in female showed highest rates.

The main method used for the suicide was ingestion of herbicides and insecticides for the farming purpose and which were comprised 89.3%. The place selected for the suicide was mainly one's own house(92.0%). 47.2% of the suicides were committed after drinking.

74% of suicides suggested proviously of their intention of suicide and only 9.4% left their will behind.

The suicide rate was lowest in winter and highest in the evening. 15.7% of suicides were attempted move than once and 45% of those were attempted again within 3 months.

The common precipitating factors of committing suicide were family conflicts and the pessimism about their ailments, and about 45% of them were combined with financial difficulty.

The most apparent dynamic motive of the suicide was easy self-abandonment of one's own life. Most of cases were easily diagnosed as psychiatric except 10 cases.

The sociocultural approach in future is strongly recommended to identify reason why the suicide rate was so high in this area.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09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805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