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503

Cited 0 times in

일부 도시지역 헌혈자의 동기분석

Other Titles
 (A) study of blood donors' motivation in an urban area 
Authors
 나명숙 
Issue Date
1977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증가일로에 있는 혈액 필요량의 충당을 위해 전개되는 전국적인 헌혈운동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에 도움이 될 공혈자의 헌혈동기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헌혈운동의 대부분의 수단이 헌혈차량이므로 헌혈차량을 찾아오는 공혈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977년 8월 30일부터 9월 21일까지의 사이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시장 앞에 세워둔 헌혈차량에 찾아오는 공혈자 462명을 예비조사를 끝낸 질문지를 사용하여 헌혈 동기를 분석하였고,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헌혈경험, 혈액 및 헌혈에 관련된 지식과 태도와 관련하여 그 동기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통계학적인 분석방법으로는 백분율, x**2-test,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답 헌혈자의 구성은 72.1%가 여자이었으며, 무직자가 22.1%, 학생이 21.9%였으며 15-18세 년령층이 25.4%이고 19-22세 년령층이 53.4%였다.

2.헌혈자들의 헌혈정보는 헌혈차 가두 켐페인에서 들은 사람들이 51.3%로 제일 많아 개인 접촉의 필요성을 보인다.

3. 헌혈을 처음 하는 사람들은 불안하고 무서워했으며 헌혈후에는 이러한 느낌은 상당히 줄었으며 다회 헌혈자 일수록 헌혈을 두려워 하지 않았으며, 헌혈이나 혈액에 대한 지식도 높아져 헌혈하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동기를 조성하게 된다.

4. 현혈자의 헌혈동기는 첫째가 애타(愛他) 동기였으며, 둘째가 예치(預置) 동기였다.

5. 「내가 좀더 건강하니까」,「미용에 좋다니까」,「날씬해지고 싶어서」 헌혈한 사람들은 헌혈한 후 비타민 같은 영양제를 먹어야한다고 생각한다든가, 자신의 헌혈양이 아주 적은 양이라 생각하는 자애(自愛)적 성격을 띈 사람들이라 할 수 있겠다.

6. 「자랑스러운 일이기 때문에」 혹은 「불행한 사람을 돕기 위해서」, 사회 속에서 형성되는 즉 애타적 동기에 의해서 헌혈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남자들이며 15∼18세 년령군에서 높았다.

7. 「내가 필요할 때 쓰기 위해서」 「가족 친구가 필요할 때 쓰기 위해서」 「지나다가 헌혈차가 보여서」 라는 상황적 요인인 예치성 동기에 의해서 헌혈한 사람은 일반적으로 남자들에서 높게 나타났고 15∼18세 년령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영문]Blood donors who come to the Blood Donation Campaign Van were questioned to determine what factors motivated them to volunteer to donate their blood.

The van was located in front of the Yongdungpo Ku Market in Seoul City during August 30, 1977 to September 21, 1977.

This survey was conducted primarily by means of pretested confidential questionnaires which were completed by 462 voluntary blood donors.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in this study utilized percantage, X**2-test, analysis of variances indicating differential motives applying to donors as socio-demographic status, donation experience, attitude toward blood and blood donations, knowledge of blood and blood donations.

Analysis of the data is as follows:

1. Blood donors are mostly female, are younger than the general population, are mostly informed by the street campaign van and convinced by face to face recruiting.

2. Donors feel less fear and nervousness after donation. Veterans feel less nervousness and fear than neophytes, have more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blood and donation and may be proud of the donations.

3. Most blood donors are motivated by humanitarian reasons to aid disaster victims especially. A secondary reason was a certificate for free future transfusion.

4. Donors who believed that the amount of blood donated was very small or that it could be replaced by taking vitamins were selfishly motivated.

5. The social obligation reason to give blood is high in men and especially the 15-18 age group.

6. Also predeposition and situational factors affect men more and also the 15-18 age group.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88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803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