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6 1448

Cited 0 times in

가정간호대상자 영양상태 평가도구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a nutritional assessment tool for home health care centers. 
Authors
 김경례 
Issue Date
2003
Description
지역사회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인간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생활형태나 식생활이 급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질병형태가 과거의 감염성 질환이나 급성 질환에서 만성퇴행성 질환으로 그 양상이 바뀌어 가고 있으며, 건강과 질병에 있어서 만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적절한 영양평가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만성 질환자와 노인으로 이루어진 가정간호 대상자의 영양문제는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문제이나 영양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영양문제가 방치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가정전문간호사가 가정간호대상자의 영양상태를 조기에 평가하

여 영양불량 위험요인을 확인 및 관리하도록 하고자 가정간호대상자의 영양상태

평가도구를 개발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과정은 가정간호대상자의 영양상태 평가 도구개발을 위한 영역과 항목

및 지표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과 임상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영양상태 평가 도구의 영역은 문헌고찰을 통해 신체계측, 임상조사, 식이조사의

3개의 영역을 선택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11개 항목 및 22개 지표를 개발하였다.

내용타당도는 간호학 교수 및 영양학 교수, 임상 영양사, 가정전문간호사 10인

에게 항목 및 지표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2003년 4월 2일부터 2003년 4월 7일

까지 자료수집 하였고, 임상타당도는 서울시에 위치한 E의료원 가정간호사업실에

등록된 가정간호대상자 68명을 대상으로 2003년 4월 9일부터 4월 18일까지 본 연

구자가 직접 영양상태 평가 영역과 지표에 대해 평가한 후 동일한 대상자의 영양

상태를 반영하는 혈청 알부민, 혈청 헤모글로빈, 총 임파구 수의 생화학적 검사 결

과를 통해 검증하고 기준점(cut-off point)을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내용타당도에서 전문가 의견수렴을 위해 내용타당도 지수(CVI: /Content Validity Index)를 이용하였고, 임상타당도에서는 각 항목의 지표가

영양상태를 반영하는가에 대해 t-test, ANOVA를 이용하여 각 항목의 지표에

대한 생화학적 검사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산분석(ANOVA)결과 유의한(p<.05)

항목에 대한 다중비교는 Du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였고 11개 항

목에 대한 영양평가 기준점(cut-off point)은 민감도(sensitivity)와 특이도

(specificity)를 동시에 최대로 하는 지점으로 정하였다. 그 외에 일반적인 특

성은 기술통계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양상태 평가도구는 신체계측·임상조사·식이조사의 3개 영역과 상완위 근

육둘레·상완 삼두근 피부 두겹 두께·전체적인 외모·부종·식이섭취 유형·식욕·식이량·오심

구토·설사·단백질 군 섭취·야채과일 섭취의 11개 항목과 22개의 지표로 구성되었다.

둘째, 영양상태 평가도구 11개 항목 중 5개 이상의 항목이 선택되어야 영양불량으

로 평가한다.

본 연구는 가정전문간호사가 가정간호대상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한 측정가능

하고 실무에 유용한 도구를 개발하여 생화학적 검사결과로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가정간호대상자 영양상태 평가도

구를 가정간호실무에 적용함으로써 대상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가정간호 실무발전

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Today, as the standard of living improves and human beings live longer, life style and diet are also changing rapidly. As a result, types of illnesses being seen indicate a shift from infectious and acute diseases to chronic disorders.

Therefore an adequate assessment of nutrition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chronic disorders has important value in improving health and preventing disease occurrence.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orders and elderly people for whom home

nursing care is required, nutritional problems are basic and important. However there is no tool to properly assess their nutritional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ool for nutritional assessment, so that home-nurses can make early assessment of patients'' nutritional status, and identify risk factors for poor nutrition.

The study was done in two parts, first a tool was developed to assess

nutrition and second the content validity and clinical validity of categories and indices were verified.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a nutritional 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which covered 3 areas, physical measurement, nutrition survey, and clinical survey. Eleven categories and 22 indices were developed for the study.

From April 2, 2003 to April 7, 2003, 10 participants, professors of nursing, professors of nutrition, nutritionists, and home-nurses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tool. From April 9, 2003 to April 18, 2003, 68 home-care patients registered at E medical center were selected and a nutritional assessment was done to establish clinical validity. The same patients were also assessed biochemically by measuring plasma albumin, Hb, total lymphocyte count to verify the cut-off point.

For data analysis CVI (Content Validity Index) was used.

For the clinical validity of the biochemical exam,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establish verification.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used for multiple comparison between the categories that showed significance with ANOVA. The cut-off point for the nutritional

assessment with the 11 categories was set to be the maximum point of

bot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echnical statistics were used for othe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in two ways.

First the nutritional assessment tool was classified into 3 areas, physical measurement, nutritional survey and clinical survey, and into 11 categories with 22 indices including mid arm muscles circumference, triceps skin fold, general appearance, degree of edema, type of diet, appetite, amount of intake, nausea

vomiting, diarrhea, protein intake, vegetable

fruit intake.

Second when 5 of the 11 categories were positive, nutritional status was considered to be poor.

By developing a clinically useful nutritional assessment tool for patients receiving home nursing care and verifying the relation between the assessment

scores from the tool and the results of biochemical laboratory examinations from the same patients, the validity of the tool developed was confirmed.

Thus, the nutritional assessment tool for patients receiving home nursing care,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improve quality of life for three patient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clinical home nursing practice.
Files in This Item:
T00756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90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