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78 1462

Cited 0 times in

유방암 환자의 액와 림프절 절제 정도에 따른 신체적 징후 및 증상과 일상생활활동 수행 정도

Other Titles
 Shoulder Joint Function, Lymphedemam Physical Symptoms and Functional Status after Mastectomy : Comparison of 
Authors
 황현숙 
Issue Date
2003
Description
교육대학원/석사
Abstract
[한글]유방암 치료에 있어서 액와 림프절의 전이 여부는 가장 중요한 예후 인자로서 인정되어 침습성 유방암에서는 액와 림프절 절제술이 보편적으로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액와 림프절 절제술은 수술 후 합병증과 높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왔으며, 절제된 액와 림프절의50% ~ 60% 정도에서는 전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액와 림프절 절제술은 어떤 기준 하에 선택적으로 실시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감시 림프절 생검은 액와 림프절 절제의 대안으로 덜 침습적인 방법이면서 정확하게 액와부 림프절의 전이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소개되어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관심과 연구의 초점이 되고 있다./본 연구는 유방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감시 림프절 생검만을 시행한 환자군과 액와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군 간의 수술 후 어깨관절 기능, 림프부종, 신체적 자각증상 및 일상생활활동 수행 정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비교?조사 연구이다. 이는 유방암 환자에게 수행할 간호중재를 계획하고 수행하는데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지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연구도구는 어깨관절 가동범위는 관절각도기로, 어깨관절의 기능 평가는 Wingate 등(1985)이 개발하고 나영무(1999)가 번안하여 수정·보완한 어깨관절 기능 평가 도구로, 림프부종은 줄자를 이용하여 팔의 둘레를 측정하였다. 신체적 자각증상은 이명화(1995)의 유방절제술 후 신체적 증상 측정 도구를 수정한 유양숙(1996)의 신체적 증상 측정 도구로, 일상생활활동 수행 정도는 Tulman(1991)의 IFS-CA(Inventory of Functional Status - Cancer)를 번안하여 사용한 서은영(1997)의 도구로 측정하였다./자료수집은 2002년 9월 12 일부터 11월 17일까지 Y대학교 부속병원에서 유방암 수술 후 2년이 경과하지 않은 여성을 대상으로 총 42명의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부적절한 자료 2부를 제외하고 감시 림프절 생검군 20명, 액와 림프절 절제군 2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자료분석은 SPSS for windows(version 11.0)를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t-test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신체적 자각증상의 정도는 감시 림프절 생검군이 액와 림프절 절제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05). /2. 어깨관절의 굴곡과 외전의 가동범위는 감시 림프절 생검군이 액와 림프절 절제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p<.05)./3. 어깨관절의 기능 정도는 감시 림프절 생검군이 액와 림프절 절제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4. 림프부종은 감시 림프절 생검군에서는 발생하지 않았고, 액와 림프절 절제군에서 2명(10%) 발생하였다./5. 일상생활활동 수행 정도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자기돌봄행위”에 있어서는 감시 림프절 생검군의 기능 상태가 액와 림프절 절제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가사 및 가족간의 활동”, “사회적 활동”, “직장생활”의 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감시 림프절 생검을 시행한 대상자들이 액와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한 대상자들 보다 적은 수술 후 합병증을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생활의 질을 나타내는 일상생활활동 수행 정도에 있어서는 액와 림프절 절제 정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방암 환자의 간호중재를 계획하고 수행할 때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개별적이고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여 유방암 환자들이 겪을 수 있는 신체적 징후 및 증상에 보다 효율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간호를 제공함과 동시에 수술 후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일상생활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전략을 개발하여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



[영문]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ostoperative course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have sentinel lymph node biopsy (SLNB) compared to those who have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AL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ange of motion and function of shoulder joint, lymphedema, physical symptoms and functional status for these patients. /The participants were 40 women who were being seen in the out patient department of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Of these 20 women had undergone a total mastectomy with sentinel lymph node biopsy and 20 women had undergone a modified radical mastectomy./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on physical symptoms developed by Yoo, Yang Sook, a scale measuring 10 elements of shoulder function developed by Wingate (1985) and modified by Na, Young Moo et al (1999) and Tulman’s IFS-CA (Inventory of Functional Status - Cancer) for use with Korean people. Flexion and abduction of both shoulders and circumference of both upper extremities were also measured./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10 to November 17, 2002./The SPSS for Windows (version 11.0) was used for analyses of the data,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were used in the analysis.//The results are as follows:/1) The mean score for overall physical symptom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LNB group compared to the ALND group (p<.05)./2) The mean score for flexion and abduction of the ipsilateral should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LNB group compared to the ALND group (p<.05)./3) The mean score for overall function of the ipsilateral shoulder joi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LNB group compared to the ALND group (p<.05)./4) Of all of the women in both groups, Lymphedema was identified in only 2 of the 20 women who had ALND./5) The mean score for functional statu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he two groups, but the “personal care activities” subscale scores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SLNB group compared to the ALND group (p<.05).//In conclusion, postoperative sequelae after breast cancer surgery were much lower following sentinel lymph node biopsy when compared to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But the type of axillary surgery had no impact on the functional status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 should focus on improving functional status as well as reduction of physical signs and symptoms. Also, nurses must be knowledgeable about these results and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nd support to patients.
Files in This Item:
T00754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89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