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4 615

Cited 0 times in

예방접종과 관련된 위해도 의사소통 효과분석

Other Titles
 Effects of risk communication in vaccination. 
Authors
 한주희 
Issue Date
2003
Description
보건학과/박사
Abstract
[한글]



국가예방접종 사업은 전염병 관리를 위한 가장 중요한 방역 사업 중 하나이다. 과거에 비해 백신으로 예방가능한 전염병 발생율은 감소한 반면 상대적으로 부작용 발생건수는 크게 부각되었다. 백신은 생물학 제재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백신 부작용에 대한 막연한 공포와 두려움, 그리고 이 지구상에 전염병은 사라졌으므로 예방접종은 불필요하다는 잘못된 인식은 예방접종을 기피하는 현상으로 확대되었다. 낮은 예방접종률은 전염병 재출현이라는 무서운 재앙을 가져 올 가능성이 높게 되므로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예방접종을 통해 높은 군집면역력을 유지하는게 중요하다. 높은 예방접종율의 유지는 강제예방접종보다 예방접종 대상자들의 자발적 참여와 동의가 있을 때 가능하다. 일반인들의 자발적 참여는 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와 백신 부작용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수반될 때 가능하다. 일반인들이 백신에 대해 어떤 두려움을 갖고 있고, 백신과 부작용에 대해 무엇을 알고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반드시 파악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일부 국가에서는 국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위해도 의사소통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위해도 의사소통 과정은 일반인들이 접종의 이득과 손실의 모든 측면을 고려하여 백신 접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예방접종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위해도 의사소통을 통해 위해도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대상은 2001년 9월 예방접종과 부작용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하기 위하여 손영모 등(2001)이 연구한 1,201명이 연구대상이었으며 위해도 인식변화를 보기 위한 본 연구는 1,201명 중 추적조사가 가능했던 243명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1차 조사는 2001년 9월에, 2차 조사는 1차 조사 후반에서 위해도 의사소통을 준 직후에, 7개월의 시간이 경과한 뒤에 3차 조사가 이루어졌다. 1차 위해도 인식을 조사하면서 동시에 조사 후반부에서 위해도 의사소통을 통해 객관적 정보를 제공하였다. 1차, 2차, 3차에서 조사되었던 6개 문항을 통해 위해도 인식의 변화, 인식변화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 위해도 의사소통의 지속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1차와 3차 조사에서의 22개 항목을 통해 위해도 의사소통의 장기효과 및 장기효과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을 알아보았다.중재변수로는 위해도 의사소통을 사용하였으며 일제예방접종의 필요성, 집단이상반응에 대한 의학적 견해, 백신 부작용과 이상반응에 대한 차이점, 백신의 안전성,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 국가예방접종 사업실시에 대한 내용들을 담고있었으며 주치의, 소아과학회, 감염병학회, 감염위원회에서 발표한 의학적 견해를 바탕으로 한 정보들이었다. 1. 위해도 인식변화에 위해도 의사소통은 효과가 있었다. 1차 위해도 인식조사에서 예방접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위해도 인식수준이 높았고 백신 부작용의 원인으로 지적되는 품질문제와 보관유통의 문제에 대한 위해도 인식은 낮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위해도 의사소통 거치고 난 직후에는 예방접종의 필요성에 대한 항목을 제외하고는 위해도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2. 위해도 의사소통 효과의 지속여부는 6개 항목 중 일제예방접종의 필요성에 대한 항목을 제외한 5개 항목에서 1차 때보다 높은 위해도 인식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위해도 의사소통을 거치고 난 직후의 2차 위해도 인식수준보다는 낮게 유지하고 있었다. 특히 예방접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위해도 의사소통을 거치고 난 직후보다 7개월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위해도 인식수준이 높은 수준으로 지속되고 있었다. 3. 위해도 의사소통은 위해도 인식변화에 장기적으로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22개 항목을 가지고 위해도 의사소통을 거치기 전의 위해도 인식과 7개월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위해도 인식을 비교한 결과 일제예방접종의 필요성에 대한 항목을 제외하고는 그 인식 값이 1차 때 보다 증가하였다. 신문보도 신뢰, 집단이상반응, 예방접종에 대한 지식과 홍보의 필요성의 항목에서 1차 인식조사 때보다 3차 인식조사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변화를 보여주었다. 4. 위해도 의사소통의 직후효과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으로는 1차 위해도 인식(회귀계수= 0.410), 어머니의 직업(회귀계수= 0.963)이, 위해도 의사소통의 지속여부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으로는 2차 위해도 인식도(회귀계수= 0.443), 어머니의 교육수준(회귀계수= -0.970)이 유의한 변수였다. 위해도 의사소통의 장기효과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으로는 2차 위해도 인식(회귀계수= 0.571), 성별(여자= -3.175), 어머니의 직장형태(회귀계수= 2.148)가 유의한 변수였다. 5. 위해도 의사소통을 거치고 나서 7개월의 시간이 경과한 뒤에도 위해도 인식수준이 계속 높게 유지되고 있는 영역은 일제예방접종의 필요성과 예방접종에 대한 지식과 홍보의 필요성에 대한 영역들이었다. 반대로 위해도 의사소통을 거치고 나서도 계속 낮은 위해도 인식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는 백신 부작용과 관련한 신문보도 내용들과 신문보도를 접한 이후 예방접종 행위에 대한 의사결정 및 태도 부분이었다. 이 연구는 일부 제한점이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예방접종과 관련된 위해도 의사소통의 장.단기 효과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예방접종 영역 뿐 아니라 보건의료분야에서 위해도 의사소통을 통하여 국민들의 보건의료 행위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연구분야에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The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is the most important program in managing communicable diseases. The incidences of communicable diseases have decreased due to the use of vaccines and the concerns over the adverse events of vaccination have increased. Several cases of deaths and serious complications following immunization were reported in Korea in 1994 and 1995. The incident of MMR adverse events drew attention in Korea in 2001. People started to misconceive that vaccination is no more necessary and furthermore the adverse events are due to vaccination. It is important to maintain herd immunity through vaccination in order to prevent communicable diseases since a low rate of vaccination could bring about the fearsome result of recurrent communicable diseases. Maintaining a high rate of vaccination is possible when people voluntarily participate in vaccination rather than through mandatory vaccination. On the other hand, voluntary vaccination is possible when people could trust vaccine safety and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n the adverse events of vaccines.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fears do the general public have on vaccines and how and what they know about vaccines and their adverse events. Therefore, as a method of inducing voluntary vaccination, risk communication is used in some countries.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whether risk perception could be changed positively through risk communication. This study mainly analyzed the data of survey on risk perception conducted by Sohn in 2001. The intervention was an indication variable regarding the existence of risk communication. Six major areas of intervention program were the need for National Immunization, medical view on adverse events in group, differences between side reactions and adverse events to vaccines, vaccine safety, and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that could pose adverse events. While investigating the first survey on risk perception, objective information was provided on risk communication at the later part of the survey. Six items investigated in the first half section were reinvestigated immediately to determine the changes in risk perception and related factors. The continued effects, long-term effects, and related factors were determined using 22 items investigated in the second survey by 7 months after the first survey. The result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Risk communication was effective in changing risk perception. The levels of all risk perceptions except for the need of National Immunization have changed positively immediately after risk communication. But the levels of risk perception for the need of National Immunization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risk perceptions, for example, quality control, storage and distribution of vaccine. 2. The levels of risk perception for the need of National Immunization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whereas those of other risk perceptions have decreased slightly but maintained during the times between second and third survey.3. There was a long term effect of risk communication on the change of 22 risk perceptions. In particular, trust toward reports in newspaper about events related to vaccination, all reactions to vaccination, knowledge and public relations for the vaccination have changed positively between first and third surveys. 4. The factors related to the levels of risk perception immediately after risk communication ("short-term effect" of risk communication) were baseline risk perception and the existence of mother''s occupation. Th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he changes of perceptions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surveys ("persistency effect" of the risk communication) were risk perceptions at the time of second survey and mother''s education level. Th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he changes of perceptions between the first and third surveys ("long-term effect" of risk communication) were risk perceptions at the time of first survey, gender and the existence of mother''s occupation. 5. The areas of risk perception that were maintained at high levels even by 7 months after risk communication were the need for vaccination and knowledge and public relations for the vacc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areas of risk perception that were maintained at low levels after risk communication were the area of trust toward reports in newspaper about events related to vaccination, and the attitude on vaccination. Although this study posed a few limitations, it was significant in that the long and short-term effects of risk communication on vaccination were examin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Furthermore, we expect that risk communication could be applied to the public health field.
Files in This Item:
T00753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89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