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24 769

Cited 0 times in

우리나라의 영아 및 유아사망 위험요인

Other Titles
 Risk factors in infant and early childhood mortality : Korean 1996 birth cohort. : 1996년 출생아를 중심으로 
Authors
 이은숙 
Issue Date
2003
Description
보건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우리나라 1996년 출생아의 영아 및 유아사망위험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1996년은 우리나라 인구동태신고자료 중 출생신고와 사망신고자료가 개인간 구별이 가능한 상태로 전산화된 최초의 해이다. 따라서 타 자료와의 연결이 가능해졌으므로 우리나라 1996년 출생아 전체자료와 복지부(한영자 등, 1998)의 의료보험, 보호자료와 출생신고자료, 기존자료를 바탕으로 추적 조사한 1996년 출생아 중 영아사망전수조사자료를 연결하였다. 이 자료를 Cox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영아사망위험요인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또한 유아사망은 1996년 출생아 전체의 출생신고자료와 만 1세에서 만 4세까지의 유아사망신고자료를 연결하여 각 위험요인별 유아사망수준과 위험비를 산출하고, 각 위험요인들과 유아사망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영유아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수립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제시를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1. 우리나라 1996년 출생아의 영아사망률은 성별로 남아 8.0, 여아는 7.4였다. 2. 출생시체중별로 1,500g미만의 출생아는 영아사망률이 445.0, 1,500-2,499g군은 35.5, 2,500-3,499g 군은 3.1, 3,500g 이상은 2.0으로 출생체중이 증가할수록 영아사망률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3. 임신주수별 영아사망률은 28주미만 출생아는 956.1, 28-31주 출생아 236.4였고, 37-41주 출생아는 2.7로 임신주수가 증가할수록 영아사망률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42주 이상은 3.9로 만산의 경우 영아사망률이 증가하였다. 4. 출생순위별로 첫째는 영아사망률이 7.0, 둘째 5.1, 셋째이상 1.2로 순위가 높아질수록 영아사망률이 감소하였다. 5. 태수별 영아사망률은 다태출생아가 22.3, 단태출생아가 5.3으로 다태가 단태보다 4배 이상의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6. 모연령별 출산아의 영아사망률은 40세까지는 25-29세 모와 별 차이가 없었으나, 40세 이후부터는 급격히 상승하였다. 7. 신생아사망의 위험요인별 사망률도 영아사망과 유사하였다.8. 출생체중과 산모연령과의 관련성을 보면, 1,500g 미만에서는 출산시 모의 연령이 40세 이상인 경우에 영아사망률이 가장 높았고, 10대 산모의 영아사망률은 인접 연령군인 20-24세보다 낮았으며, 출생체중 3,500g 이상 군에서는 모가 10대인 경우의 영아사망률이 가장 높았다. 남아는 모든 체중군에서 여아보다 사망률이 더 높았다. 출생순위별로 출생체중이 1,500g 미만에서는 첫째아의 영아사망률이 가장 높았으나, 1,500-2,499g 군에서는 둘째아의 영아사망률이 가장 높았다. 임신주수가 증가할수록 저출생체중아의 분율이 감소하였으나, 임신주수가 같은 경우에는 체중이 무거울수록 사망률이 감소하였고, 같은 출생체중에서는 임신기간이 길수록 사망률이 감소하였다. 9. 영아사망원인은 출생체중별로 1,500g 미만군과 1,500-2,499g 군은 주산기에 기원한 특정병태로 인한 사망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선천성 기형 및 염색체 이상으로 인한 사망이었다. 그러나 2,500-3,499g군에서는 선천성 기형, 변형 및 염색체 이상으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았다. 산모 연령별로는 전 연령군에서 동일하게 주산기에 기원한 특정병태로 인한 영아사망률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선천성 기형 및 염색체 이상으로 인한 사망이었다. 신생아는 주산기에 기인한 특정병태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선천성 기형 및 염색체 이상의 순이었다. 신생아 후기는 선천기형 및 염색체 이상으로 인한 사망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주산기에 기인한 특정병태였으며, 유아 사망 원인도 신생아 후기와 유사하였다. 10. Cox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한 단변량 영아사망위험비 분석에서 성별, 출생체중, 임신기간, 출생순위 등이 유의하였고, 산모연령은 25-29세를 기준으로 20-24세를 제외한 연령군에서 영아사망율이 증가하였다. 다변량분석에서도 유사하였으나 산모의 연령에서 20세 미만, 20-24세 군은 영아사망위험에 차이가 없었다.11. 1-5세미만 유아의 사망률도 남아가 더 높았고, 출생체중과 임신주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아사망률이 감소하였으나, 만산인 42주 이상에서는 사망률이 증가하여 영아사망률의 분포와 동일하였으며, 출생순위별로는 영아사망과 대조적으로 셋째 이상의 유아사망률이 가장 높았다. 다태는 단태보다 높은 유아사망률을 보였으며, 산모 연령별로는 10대 산모의 유아사망률이 가장 높아서 영아사망률과 대조적이었다. 부의 학력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아사망률은 감소하였고, 모의 교육수준별로도 동일하였다. 유아사망 위험비의 다변량 분석결과, 출생시 체중, 임신주수, 출산시 모의 연령군 중 10대 산모, 20-24세, 40세 이상 군이 유아사망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risk factors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mortality. In 1996, for the first time, computerization of birth and death records made it possible to link birth and infant death data sets in Korea. Linked data sets for birth and total infant mortality (MOH, 1998) for infants born in 1996 who died before reaching 1 year of age could be used for infant mortality rates and analysis of risk factors. The linked data sets used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a total of 691,838 live births and 5,371 infant deaths. Also the linked data sets from the birth certificate and death certificates for children born in 1996 who died between the age of 1 and 4 years provided many additional variables for analysis of infant mortality, early childhood mortality and risk factors. In order to identify the pattern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mortality and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of infant mortality and early childhood mortality in Korea,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1. The mortality rate by gender was 8.0 for boys and 7.4 for girls per 1,000 live birth for infants born in 1996.2. The infant mortality rate was 445.0 for infants whose birth weight was less than 1,500 grams, 35.5 for the group whose birth weight was between 1,500 and 2,499 grams, 3.1 for those between 2,500 and 3,499 grams and 2.0 in the group over 3,500 grams. 3. The infant mortality rate was 956.1 for those infants whose gestation period was less than 27 weeks, 236.4 for those with a gestation period of 28~31 weeks, 2.7 for those between 37-41 weeks but the group with more than 42 weeks gestation had an higher infant mortality rate at 3.9.4. The infant mortality rate according to birth order was 7.0 for first born, 5.1 for second born and 1.2 for those third or higher. 5. The infant mortality rate for multiple births was 22.3 and for single births, 4.8. 6. The infant mortality rate was similar for mothers in the age group 25-29 and up to age 40, but higher for mothers over 40 compared to mothers, 25-29 years of age.7. In the group whose infants weighed less than 1,500 grams at birth, for mothers less than 20 years of age, the infant mortality rate was lower than for those 20-24 years but for mothers over 40 years it was the highest. In infants with the same birth weight, the infant mortality rate was lower for those with the longer gestation period and for those with the same gestation period, the infant mortality rate was lower for those with the higher birth weights.8. By apply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infant mortality were found to be gender, birth weight, gestation period, birth order, multiple birth and age of mother age with the exception of mothers between 20 and 24 years of age. 9. The early childhood mortality rate was higher for boys than for girls and higher for those who had a premature birth with a gestation period of less than 27 weeks. The early childhood mortality rate was the reverse of the infant mortality rate for birth order. Those third or higher showed the lowest early childhood mortality rate. The rate was higher for multiple births than single births. The early childhood mortality rate was high for teenage mothers and for parents with low educational background. By apply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birth weight, gestation period and age of mother under 24 year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risk factor for early childhood mortality.
Files in This Item:
T00747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88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