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62 2003

Cited 0 times in

암환자의 교육요구도와 이해도

Other Titles
 Educational needs and perceived understanding of treatment in patients with cancer. 
Authors
 유명덕 
Issue Date
2003
Description
지역사회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2001년 암환자수가 25만명에 달하고 신규 환자가 10만명에 이르고 있으며, 암은 진단 방법과 치료 방법이 발달하면서 진단 후 생존하는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계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 질환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에 암환자는 암진단부터 질병과정, 치료과정 및 간호과정을 포함한 전반적인 과정에 대한 계획적인 정보를 받기를 원하고 있다. 환자교육은 여러 의료팀 중 환자교육의 기회를 가장 많이 가질 수 있으며, 환자의 교육적 요구와 학습에 대한 준비도를 가장 잘 사정할 수 있는 간호사에 의해 이 이루어짐이 가장 적절하다. 간호사는 교육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대상자가 무엇을, 얼마나 알기 원하는지 대상자의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 되어야 하며, 이러한 교육을 통하여 대상자인 환자가 자신의 질병을 이해하고 대처와 문제 해결에 충분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그들이 받아들여 질 수 있는 방법으로 교육해야 할 책임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암환자가 암치료의 전반적인 과정에 대해 알고자 하는 교육의 요구도와 이들이 간호사에 의해 수행된 교육의 이해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이고 실제적인 암환자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 유용한 자료가 되고자 시도되었다.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암전문 종합병원에 입원하여 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을 받고 있는 암환자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도구로는 Lauer et al.(1982)의 도구로 암치료정보에 대해 일반적인 정보 20항목, 치료관련 정보 16문항 등 총 36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사용된 도구의 신뢰도는 일반적, 화학요법, 방사선요법에 대한 정보의 교육요구도는 각각 Cronbach α = .91, α= .92, α= .94이며, 이해도도 각각 α= .96, α= .89, α= .89 이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2년 11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C-SAS Program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입원 암환자의 암치료관련 일반적인 정보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최대 평점 5점에 대해 4.25점으로 높은 수준이었고,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한 이해도는 2.97점으로 중간 수준이었다. 교육요구도가 높은 항목은 ''치료 계획'', ''재발하였을 때 나타나는 증상들'', ''혈액 검사를 하는 이유'', ''식욕 감퇴, 오심, 구토와 같은 문제를 최소화하는 방법'', ''가정에서·직장에서 스스로 간호하는 방법'', ''진단명'' 순으로 예후, 부작용, 자가 간호 항목이 포함된 반면 이해도가 높은 항목은 ''혈액검사를 하는 이유'', ''진단적 검사를 하는 이유'', ''치료계획'', ''진단명'', ''진단적 검사의 절차들'' 순으로 주로 진단, 치료, 진단적 검사 관련 항목이었다. ''재발하였을 때 나타나는 증상들'' 항목은 순위비교시 교육요구도는 2순위인 반면 이해도에서는 15순위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2) 화학요법에 대한 환자의 교육요구도는 최대 평점 5점에 대해 4.23점으로 높은 수준이었고 이해도는 2.99점으로 중간 수준이었다. 교육요구도가 높은 항목은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법'', ''잠재적인 부작용'', ''약물들의 목적'' 순으로 주로 부작용 관련 항목이었고, 이해도가 높은 항목은 ''약물을 받는데 소요되는 시간'', ''화학요법의 스케줄'', ''잠재적인 부작용'' 순으로 교육요구도와 이해도 순위 비교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3) 방사선요법에 대한 환자의 교육요구도는 최대 평균 5점에 대해 4.39점으로 높은 수준이었고 이해도는 3.07점으로 중간 수준이었다. 교육요구도가 높은 항목은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법'', ''방사선요법의 목적'', ''잠재적인 부작용'' 순이었고 이해도가 높은 항목은 ''방사선요법을 받는데 소요되는 시간'', ''방사선요법의 스케줄'', ''방사선의 목적'' 순으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4) 암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요구도와 이해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암환자의 질병관련 특성 중 현재까지 경험한 치료방법에 따라 교육요구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병행요법을 받는 군, 화학요법을 받는 군, 방사선요법을 받는 군 순으로 교육요구도를 높게 보였다. 따라서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암환자의 일반적·화학요법·방사선요법에 대한 정보의 교육요구도는 매우 높은 수준이었으나 이에 비해 이해도는 중간 수준이었다. 또한 교육요구도 순위와 이해도 순위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들이 여러 항목으로 나타났다. 이는 암환자의 교육요구도와 간호사의 환자교육수행 내용이 불일치하거나, 교육수행의 수준이 환자의 이해 수준에 미치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환자교육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알고자하는 교육요구에 대한 파악과 함께 교육내용을 수용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의 신체적, 사회·심리적 요소 및 자원을 고려하고 이들의 이해 수준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교수 및 학습전략을 적용하여야할 것이다.

[영문]

In this study education needs by patients with cancer and their perceived understanding regarding treatment were identified. Since education outcomes and knowledge are influenced by nurse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suggestions for developing practical and effective programs to educate patients with cancer.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50 patients with cancer who were being treated with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at the Cancer Medical Center in Seoul. The tool for the study was the Assessment of Learning Needs: Oncology Instrument (Lauer et al. 1982). Th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November 1 and November 15, 2002 and the PC-SAS program was used to conduct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below:(1) In the first part of the study two major variables were measured. First, patient educational needs for different types of treatment-related knowledge were measured, and second patient understanding of treatment-related knowledge was assessed. Prior to receiving education, the needs of the patients for general education about cancer treatment scored a high mean of 4.25. After receiving education these scores for need dropped to 2.97. The highest scores for specific education needs were for the items, ‘Plan of Treatment’, ‘Symptoms of Recurring Illness’ and ‘Reasons for Blood’.(2) Patient needs for education on chemotherapy were analyzed in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These needs also measure high on the scale (mean = 4.23). After receiving education, the needs were documented at a moderate level (mean = 2.99). The highest scores for specific needs were for the items, ‘Minimizing Side Effects’, ‘Potential Side Effects’ and ‘Purpose of Medication’. The items that the patients reported as being most easily understood were, ''Duration of Chemotherapy Treatment'', ''Schedule for Chemotherapy''and ‘Potential Side Effects’.(3) For patients on radiation treatment education needs also scored high (mean = 4.39), with a moderate post education level of understanding (mean = 3.07). The highest scores for specific items were for ‘Minimizing Side Effects’,‘Purposes of Radiation Therapy’ and ‘Potential Side Effects’. The items that the patients understood most easily were, ‘Duration of Radiation Therapy’, ‘Schedule for Radiation’ and ‘Purposes of Radiation Therapy’.(4) Among patients with cancer, education needs and levels of interest depend on individual treatment programs. This relationship had the strongest correlation for patients on combined therapy, followed by patients on chemotherapy, and then patients on radiation therapy. In conclusion, the research indicated that patient needs for general education, for information on chemotherapy and for information on radiation therapy were all very high. However, understanding was only moderate even after education.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ankings with regards to education needs and patient understanding. These differences could be a result of the way in which the education was provided, especially if the content differs from the patient education needs. They could also indicate that education and other related factors of the patient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when preparing education programs. Consequently, when providing education, nurses must consider the individual patient''s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situation.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to improve educational programs.
Files in This Item:
T00744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87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