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0 855

Cited 0 times in

안정기 양극성 기분장애 환자의 일부 인지기능 평가

Other Titles
 Evaluation of the some cognitive function in the euthymic phase of bipolar disorder. 
Authors
 김정훈 
Issue Date
2002
Description
의과학 사업단/석사
Abstract
[한글]



양극성 기분 장애가 증상이 관해된 이후에는 인지 기능 저하가 없이 완전히 회복된다는 것이 과거의 통념이었다. 그러나 양극성 기분 장애는 증상이 호전된 후에도 사회적 기능의 저하를 보이는 경우가 있으며, 일부 환자에서는 기분 안정기에도 인지 기능의 저하를 보인다는 보고와 신경학적 변화를 시사하는 보고들이 있어 왔다. 양극성 기분 장애 환자가 보이는 인지 기능의 저하는 주로 추상적 사고 능력, 언어성 기억력, 실행기능 지속적 집중력의 저하를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분 안정기의 양극성 기분 장애 환자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인지 기능의 저하를 보이는지 또 어떤 인지 기능의 저하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한 정신과 병원에 통원 치료를 하는 3개월 이상의 기분 안정기임이 확인된 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판 지능검사, 위스콘신 카드 분류, 웩슬러 기억검사와 비엔나 검사 중 자극감지력 검사, 반응결정력 검사, 운동 수행기능 검사를 시행하여 교육연한과 연령을 통제한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전체 지능, 동작성 지능, 언어성 지능, 운동 수행 기능 검사 소항목 중 Pursuit Rotor검사에서 유의미한 저하를 보였다. 그러나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와 웩슬러 기억 검사, 자극감지력 검사, 반응 결정력 검사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 본 연구에서는 항정신병 약물의 사용 기간이 전체 지능과 동작성 지능 저하와 상관관계를 보인 것 외에, 양극성 기분 장애의 어떤 임상적 변인도 인지 기능 검사 성적과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안정기 양극성 기분 장애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전두엽의 수행 기능, 기억력, 집중력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전반적 인지기능과 시각운동 기능의 저하를 시사하는 소견을 보였다.



--------------------

핵심이 되는 말; 안정기 양극성 기분 장애, 인지 기능 평가

[영문]

The previous assumption that patients with bipolar I disorder make a full recovery of cognitive function in the euthymic phase has been challenged by studies that suggest neuronal changes and recent reports that neuropsychological dysfunctions may persist beyond episodes of the illnes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neurocognitive performance of euthymic bipolar patients was impaired, and to identify domain of cognitive impairment, and in addition,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dysfunction and clinical variables of illness in bipolar population.

So, nineteen bipolar out-patients who had been euthymic for more than 3 months with Hamilton Depression Scale score below 7 and Young Mania Rating Scale score below 6 before administering the procedure, were compared with age- and education- matched 19 healthy subjects on neurocognitive tests. They were evaluated by

following tests according to cognitive domain: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some subtests among Wechsler Memory Scale-Revised, Wisconsin Card Sorting Test, and Signal Detection/Decision-Reaction Timer/Psychomotor Performances among

Vienna Test System.

The bipolar group was found to perform significantly lower or less well than the control group on verbal and performance IQ, total IQ, and psychomotor function or coordin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functional impairments in Wisconsin Cards Sorting Test, Weschler Memory scale-verbal, nonverbal, Decision Reaction,

Signal Detection. Also,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impairment and clinical course of illness, excep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uration of neuroleptic exposure and performance IQ, total IQ.

In conclusion, although our findings could not replicate the recently reported results, especially in the cognitive domain of executive function and verbal memory, it's suggested there might be the presence of neurocognitive difficulties, such as a general ability and visuomotor function, in stable bipolar patients.
Files in This Item:
T00696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74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