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9 1871

Cited 0 times in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양상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job stress in NICU nurses. 
Authors
 신경옥 
Issue Date
2002
Description
지역사회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최근 신생아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신생아 중환자실의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그곳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의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간호사들이 지각하는 업무 스트레스 양상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보다 나은 간호를 지향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이에 따른 대처 방안을 모색하여 업무의 적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2001년 10월 서울 및 인천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9개 대학병원 중 2차 병원이상의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39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01년 10월 10일부터 20일까지 11일 동안이었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150부였으며 그 중

에서 139부가 회수되어 회수율은 93%이었다. 연구도구는 문헌고찰과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과의 면담과 설문지조사에 의해 스트레스 문항을 확정하고 전문가의 자문을 얻어서 개발하였다.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환자직접간호에 관련된 17개 문항, 직무환경에 관련된 8개 문항, 대인관계와 관련된 12개 문항, 지식 및 기술과 관련된 5개 문항, 병원행정 및 병동관리와 관련된 7개 문항으로, 총 5개 영역의 49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PC프

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으며, 문항별 점수는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업무별 스트레스 정도의 평균치의 차이 검정은 변수의 특성에 따라 t-test와 ANOVA(F-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스트레스 정도는 최소 1.63에서 최고 5.00이었으며, 평균평점은 3.72로 중정도 이상이었다.

2.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영역별 스트레스 요인은 대인관계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가 3.88로 가장 높았고, 환자직접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는 3.84, 지식 및 기술의 스트레스 정도가 3.76, 병원행정 및 병동관리의 스트레스 정도가 3.60, 직무환경의 스트레스 정도가 3.30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영역별 문항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살펴보면 환자직접간호 영역에 있어서는 '내 근무 시간에 아기 상태가 급격히 나빠지거나 심장박동정지와 같은 응급상황이 자주 발생할 때'의 스트레스 정도가 4.4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점 이상되는 문항이 총 17개 문

항 중 6개였다. 대인관계 영역에 있어서는 '환아간호시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의사와 연락이 안될 때'가 4.47로 가장 높게 나타나 총 문항중 가장 높은 스트레스 정도를 보이고 있었다. 지식 및 기술 영역에서는 '환아의 문제가 복잡하여 간호사로서 해결하기에 한

계를 느낄 때'의 스트레스 정도가 4.0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5. 근무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에 있어서는 병원유형에 따른 대인관계 영역에서 3차 병원(3.98)의 스트레스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3.88, p<0.05). 총경력에 따른 대인관계 영역의 스트레스 정도에 있어서는 근무 5년(4.09) 까지 스트레스 정도가 점점 높아지다가 5년이 지나면 스트레스 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 (F=3.12, p<0.05). 업무량에 따른 전체 스트레스 정도에서는 이 연구 중 가장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였으며, 업무량과 직무환경·지식 및

기술·병원 행정 및 병동관리 영역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F=3.42, p<0.05).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영역 중 대인관계 영역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업무 스트레스 정도에 있어서 업무량

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므로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업무관련 스트레스 요인은 환자직접간호 영역, 직무환경 영역, 대인관계 영역, 지식 및 기술 영역, 병원 행정 및 병동관리 영역으로 다양하며, 모든 영역에서 간호사가 지각 하는 스트레스 정도는 높다고 할 수 있으

며 이를 적절히 중재 할 필요가 있을것이다.

[영문]

Today increasingly keen interest in neonates leads the domain of the neonate intensive care unit to a multiplied signification.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put its principal objective on grasping job stress patterns that nurses perceive, to enhance the work efficiency of nurses working with neonate intensive care units, groping for strategies for reducing or properly coping for their stress, and then aiming at realizing nursing of better quality.

For that purpose, this study made an attempt to provide fundamental data needed for ameliorating the work adaptability of nurses by grasping job stress patterns of nurses at neonate intensive care units and groping for proper stress management.

Randomly sampled out from nine university hospitals distributed in Seoul and Inchon were 139 nurses who worked with neonate intensive care units, in October 2001.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ranged for eleven days from Oct. 10 through 20, 2001. The number of questionnaire forms came to 150 in total, of which 139 were returned, and the return ratio 93%. Study methods depended upon reviews based on the literature, interviews with those nurses who worked with neonate intensive care units, and a questionnaire poll, in which questions were posed by the advise of specialists.

The stress-measuring tool consisted of 17 questions as to direct nursing of patients, 8 ones as to working conditions, 12 ones as to interpersonal relations, 5 ones as to knowledge and technology, 7 ones as to hospital administration and ward management, totaling to 49 ones out of five domains. Data analysis processed with statistic treatment with the SPSS/PC program. Rating was based on mean score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difference tests of mean values on stress levels by duty

had recourse to t-test or ANOVA (F-tes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Resultant findings were revealed, as follows:

1. The stress value of the respondents was from as low as 1.63 times to as high as 5.00 times as much as the moderate level and the mean score was 3.72, a level higher than the moderate one.

2. As for stress factors by domain that neonate intensive care unit nurses experience, stress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 showed the highest score, 3.88, that related to direct nursing of patients 3.84, that related to knowledge and technology 3.76, that related to hospital administration and ward management 3.60, and thatrelated to working conditions 3.30.

3. As regards stress levels by question in each of domains, the highest level of stress, a score of 4.46, emerged 'when the health condition of those neonates becomes deteriorated while I am on duty or such an emergency situation as cardiac arrest often occurs,' and the number of questions indicating a score higherthan 4 pointed to 6 of 17 questions in total. In the domain ofinterpersonal relations, the highest stress level, 4.47, was represented 'when I fail to contact to a doctor at the time of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reflecting the highest score in all questions.' In the domain of knowledge and technology, the highest stress level, 4.05, was shown 'when I feel my limits as a nurse to solve the problem of a neonate patient because it is too complicate.'

4.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of stress levels by general characteristics.

5. On the stress levels by the characteristics of duties, the highest level of stress, 3.98, was disclosed from the third grade hospital in the domain of Interpersonal relations by hospital type, beingstatistically significant (t=3.88, p<0.05). The stress level of the domain of interpersonal relations by overall

experience gradually increased up to the fifth year of service with a score of 4.09, and then decreased posterior to the fifth year,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3.12, p<0.05). The aggregate stress level by workload revealed the highest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is study,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domains such as workload, working conditions, knowledge, technology, hospital administration, and ward management(F=3.42, p<0.05). As aforementioned, the highest stress level was disclosed fromthe domain of interpersonal relations among work stress domains of nurses at neonate intensive care units, and stress levels byworkload pointe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work-related stress factors of nurses who were working with neonate intensive care units consisted of such domains as direct nursing of patients, working conditions, interpersonal relations, knowledge and technology, hospital

administration and ward management, and stress levels in all the domains are presumed to be generally high, thereupon appropriate intervention is necessitated for better nursing.
Files in This Item:
T00686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72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