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1 592

Cited 0 times in

추후관리 프로토콜 개발 및 전화상담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Development of protocol for telephone follow-up and the effect of telephone counseling by using standardized protocol for patient who underwen 
Authors
 조유숙 
Issue Date
2001
Description
간호학교육 전공/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프로토콜을 이용한 전화상담이 조기퇴원한 편도선절제술 환아의 추후관리로써 병원방문으로 인해 소요되는 경비와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비용효과와 효율성을 조사하는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편도선절제술 환아의 퇴원 후 전화상담을 통한 추후관리를 함에 있어서 추후관리를 위한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토콜을 이용한 전화상담 적용이 편도선절제술 환아의 합병증 발생 및 치료지시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에 의한 유사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01년 3월 5일부터 2001년 5월 3일까지 수원시내 A대학교병원에서 편도선절제술을 시행 받고 수술 후 1일째 퇴원한 환아를 임의표출하여 선정된 실험군 21명,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과정은 추후관리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과정과 개발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실험군에게 퇴원 후 1일째 전화상담을 시행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단계로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퇴원 후 1주일동안 가정에서 기록하는 수술 후 합병증 증상 자가기록표와 치료지시 이행정도로서 본 연구자와 A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에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나타내고 두 집단간 동질성 검증을 위해 χ² -test로 분석하고, 가설검증은 χ² -test, Mann-Whitney U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추후관리 프로토콜 개발은 다빈도증상 및 문의내용 분석, 다빈도증상 목록화, 문헌고찰, 예비 프로토콜 개발, 임상과의 협의, 예비 프로토콜에 의한 전화상담 추후관리 실시, 수정·보완, 임상과로부터 프로토콜 인준의 단계를 거쳐 최종 프로토콜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6개의 질문내용과 그에 따른 응답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2. 환아 및 보호자의 일반적 특성에서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 집단간의 동질성이 검증되었다.

3. 가설검증

1) 가설 1 ; 합병증 발생정도에 대한 가설검증



'퇴원 후 추후관리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전화상담을 받은 실험군과 전화상담을 받지 않은 대조군간에 편도선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의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1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으며 아래와 같다.



부가설 1-① '퇴원 후 추후관리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전화상담을 받은 실험군과 전화상담을 받지 않은 대조군간에 수술 후 동통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 1-①은 채택되었다(z=2.42, p=.02).



부가설 1-② '퇴원 후 추후관리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전화상담을 받은 실험군과 전화상담을 받지 않은 대조군간에 수술 후 발열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분석이 불가능하여 분석하지 않았다.



부가설 1-③ '퇴원 후 추후관리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전화상담을 받은 실험군과 전화상담을 받지 않은 대조군간에 수술 후 출혈환아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 1-③은 기각되었다(χ²=1.87, p=.28).

2) 가설 2 ; 치료지시 이행정도에 대한 가설검증



'퇴원 후 추후관리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전화상담을 받은 실험군과 전화상담을 받지 않은 대조군간에 수술 후 치료지시 이행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2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z=1.86, p=.06),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이행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수술 3,4,5일은 죽으로 먹었다'는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z=2.19, p=.03)가 있어 가설 2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3) 가설 3 ; 전화상담 후 퇴원 1주 후 외래방문 필요성 인지정도에 대한 검증



'퇴원 후 추후관리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전화상담을 받은 실험군과 전화상담을 받지 않은 대조군간에 1주 후 외래방문 필요성에 대한 인지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3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 3은 채택되었다(χ²=5.98, p=.02).



이상의 결과를 통해 수술 후 퇴원한 환아의 동통, 출혈, 식이관리에 있어서 퇴원 후 의료진과의 지속적인 의사소통의 방법으로 전화상담 중재가 환자의 만족도 뿐만 아니라 합병증 발생 시 경·중 정도에 따라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불필요한 병원방문을 줄이고 전화중재를 통한 강화요법이 치료지시 이행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따라서 프로토콜을 이용한 전화상담중재를 실무에 적용하여 추후관리로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영문]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the protocol for telephone follow-up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counseling for postoperative complication in patients who underwent tonsillectomy by using standardized protocol .

By using a quasi-experimental design, fourty one patients recrui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nd were de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20 patients and the control group 21 patients by random convenience assignment after discharge following tonsillectomy at Ajou University hospital in Suwon from March 5, to May 3, 2001.

The experimental group had received the telephone counseling from the first day after discharge by using standardized protocol for evaluation of pain, fever, bleeding, diet therapy while the control group had not received the telephone counseling.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checklist and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using SPSS-PC and χ2 -test, Mann-Whitney U test. The checklist included the intensity of pain, fever, bleeding during 7days after discharge.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measurement for compliance of discharge education on 7th day after discharge at OPD by their par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Protocol for telephone follow-up consisted of six-questions and answers to inquiries.



2. According to homogeneous analysis of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none of the variabl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first hypothe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intensity of their child's experienced complication. Thus, hypothesis 1 was accepted partly as follows.



Actu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intensity of their child's pain based on McGrath P A's face interval pain(z=2.42, p=.02). Thus, hypothesis 1-① was accepted.



The intensity of their child's fever(hypothesis 1-②) can't not be analyz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cause I can't ignore their complain so I served telephone counseling to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leeding complic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χ²=1.87, p=.28). Thus, hypothesis 1-③ was not accepted.



4. The second hypothesi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lia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z=1.86, p=.06).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score of compliance than the control group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tem 'for patient taking soft diet for 3∼5days after an operation'(z=2.19, p=.03). Thus, hypothesis 2 was accepted partly.



5. The third hypothe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acknowledgement for necessity of OPD follow-up at 1weeks after discharg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χ²=5.98, p=.02). Thus, hypothesis 3 was accepted.



In conclusion this study, telephone follow-up for counseling patients by using standardized protocol provided an opportunity to evaluate postoperative pain, fever, bleeding, diet therapy, not only to reduce the number of hospital visits related to postoperative complication but also to reinforce discharge instruction to patient.

Therefore, telephone counseling by standardized protocol is an effective method to apply in intervention for outpatients in the clinical nursing practice.
Files in This Item:
T00668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69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