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7 1038

Cited 0 times in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백혈구 감소 정도와 영향변수 분석

Other Titles
 The degree and related factors of leukocytopenia in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CMF chemotherapy 
Authors
 석진숙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역학 및 질병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항암 화학요법 중인 유방암 환자들에서 영양 상태, 강인성, 사회적지지에 대한 일부 변수와 항암 치료 이후의 백혈구 수의 관련성을 전향적 연구설계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999년 10월 1일부터 2000년 10월 19일까지 서울소재의 한 대학병원 암센터에서 CMF regimen으로 항암치료를 받은 stageⅠ과 Ⅱ의 유방암 환자 137명으로 치료 초기에 혈장 알부민과 팔둘레, BMI를 측정하였고, 그 중 51명을 대상으로 강인성과 사회적지지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이 기간동안 백혈구 3000/㎣이하로 떨어진 사람은 47명이었다.

조사된 내용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영양상태, 강인성, 사회적지지에 대한 백혈구 감소 수준 및 백혈구 최저치(leukocyte nadir count)를 비교하였으며, 혼란변수를 통제하고 백혈구 감소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백혈구 감소 수준에서 BMI와 팔둘레, 사회적지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분포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자기투입성과 강인성 정도가 낮은 사람에서 백혈구 최저치가 더욱 낮았고 영양상태 및 사회적지지와 백혈구 최저치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영양상태는 골수기능 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본 연구에서는 혈장 알부민 3.5g/dL이상은 혈장 알부민 3.5g/dL 미만보다 백혈구 감소에 대한 위험이 0.145(95% CI: 0.042-0.499)배로 낮았다. 팔둘레가 27㎝초과군이 27㎝이하군에 비해 백혈구 감소의 위험이 0.698(95% CI: 0.266-1.828)이었다. BMI에 따른 백혈구 감소의 위험은 BMI 21이상 23.5미만을 기준으로 하여 21미만이 1.385(95% CI: 0.694-2.765), BMI 23.5이상 26미만이 0.701(95% CI: 0.256-1.915), BMI 26이상이 0.727(95% CI: 0.244-2.163)배로 BMI가 낮은 군에서 백혈구 감소의 위험이 높았다. 사회적지지는 186-242점 이하에서는 139점 이하에 비해 백혈구 감소의 위험이 2.224(95% CI: 0.553-8.956)배 높았으나 140-185점 이하와 243-346점 이하는 백혈구 감소에 대한 비교위험도가 낮았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에서 영양상태와 사회적지지는 백혈구 감소 수준에 영향을 주었고, 강인성은 백혈구 최저치에 영향을 주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환자에게 집락자극인자로만 백혈구 감소증에 대처하려 하였다면 앞으로는 환자의 영양상태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과 사회적지지 중재로 접근할 경우 효과적인 예방과 관리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생존분석으로 백혈구 감소증이 나타날 때까지의 기간을 분석함으로써 예후 변수들로 이루어진 모형을 선정하였고 백혈구 감소증에 대한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차원에서의 접근이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영문]The objective of this prospectiv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and associated factors of leukocytopenia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in Korea receiving CMF chemotherapy. The sample includes 137 patients from Yonsei University Medical Cancer Center. Data about these patients were collected from Oct. 1, 1999 to Oct. 19, 2000. 47(34.3%) patients had leukocytopenia during the study period. Social support and hardiness were measured for 51 patients. The Cox's proportional hazards model was used to analyze this data.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Leukocytopenia was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BMI, arm circumstances and social support.

2. Leukocyte nadir count was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hardiness and commitment.

3. After the analyses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ith serum albumin, arm circumstances, BMI and social support, serum albumin level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leukocytopenia.

Patients with high level of serum albumin(≥3.5g/dL) showed decreased risk for leukocytopenia(RR: 0.145, 95% CI: 0.042-0.499) compared to those with low serum albumin level(<3.5g/dL).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nutritional state and social support were the factors to explain the degree of leukocytopenia due to anticancer chemotherapy.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not only the optimal nutritional support but also adequate social support need to be provided for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CMF chemotherapy.
Files in This Item:
T00658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67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