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3 780

Cited 0 times in

말더듬 아동에서의 발화 길이 및 통사적 복잡성과 비유창성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f relationships among utterance length, syntactic complexity, and disfluencies in children who stutter 
Authors
 성수진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한글]말더듬 연구 분야에서 비유창성(disfluencies)이란 대략 2세경부터 언어발달상 단어수가 늘고 문장을 사용하게 되면서 나타나는 정상적 비유창성(normal disfluencies)과 빈도와 정도에 있어 그 이상을 보이거나 유형에 있어 차이를 보임으로써 말더듬으로 진단되는 비유창성의 두 가지 개념을 모두 포괄하는 용어이다. 아동의 말에서 비유창성이 부분적으로 언어학적 형식화의 다양한 측면과 관련 있다는 최근의 말더듬 이론에 의해 이 부분의 연구가 증가하여 왔으나 아직 연구 결과들이 일치되지 않고 있으며 언어학적 변인과 비유창성의 관계가 임상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기에 본 논문은 말더듬 아동에서 언어적 변인인 발화 길이와 통사적 복잡성 그리고 비유창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3-5세의 8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발화 길이와 비유창성의 관계를 보고자 검사 문장이 2가지 단계로 나뉘는 모방 과제를 실시하여 길이에 따른 비유창성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 통사적 복잡성과 비유창성의 관계를 보고자 검사 문장이 3가지 단계로 나뉘는 모델링 과제를 실시하여 복잡성에 따른 비유창성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어머니나 연구자와의 놀이 상황에서 아동의 자발화를 수집하는 자발화 과제를 실시하였다. 여기서 수집된 아동의 발화를 유창한 발화와 더듬은 발화로 분류한 뒤 각각에서 발화 길이(음절수)와 통사적 복잡성(문장성분 수)을 측정하여 유창한 발화와 더듬은 발화간에 길이와 복잡성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사적 복잡성을 통제한 조건의 모방 과제시 발화 길이가 길어졌을 때 비유 창성의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여 길이에 따른 비유창성의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발화 길이를 통제한 조건의 모델링 과제시 통사적으로 복잡해졌을 때 비유 창성의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여 복잡성에 따른 비유창성의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자발화 과제시 유창한 발화와 더듬은 발화의 발화 길이(평균 음절수)에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자발화 과제시 유창한 발화와 더듬은 발화의 통사적 복잡성(평균 문장성분 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발화 길이와 통사적 복잡성이 유창한 말을 산출하기 위한 아동의 능력을 능가하는 요구(demands)의 하나를 구성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아동에게 부과되는 요구가 아동의 인지적, 언어학적, 운동적(motoric), 정서적 능력(용량)을 능가할 때 비유창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말더듬을 설명하는 요구와 용량 모델(Demands and Capacities model)의 이론적 틀 내에서 설명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말더듬 아동의 치료에서 발화 길이와 통사적 복잡성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짧고 단순한 문장에서부터 점진적으로 길이와 복잡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발화를 구조화하는 체계적인 접근법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진단과 치료에 언어적 요소를 포함할 경우 특정 구조가 아동의 유창성에 끼치는 역할을 분명히 이해하고 발달 원칙에 기초해야함을 시사한다.



[영문]Several recent theories have suggested that the production of speech disfluencies is related in part to various aspects of linguistic formulation.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among utterances length, syntactic complexity, and disfluencies in children who stutter. Eight stuttering children (three girls and five boys, age 38-67 months) participated in a sentence imitation task in which stimuli were divided into two levels of utterance length and a sentence modeling task in which stimuli were divided into three levels(level 1, level 2-1, level 2-2) of syntactic complexity. All the eight children provided spontaneous conversational speech samples during free-play interactions with their mothers or an experimenter. The differences between fluent and stuttered utterances were analyzed for utterance length and syntactic complex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overall disfluencies in a sentence imitation task increased as utterance length increased.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disfluencies occurred in a sentence modeling task as syntactic complexity increased. A significant effect of utterance length on the number of disfluencies for sentence imitation task and a significant effect of syntactic complexity on the number of disfluencies for sentence modeling task were demonstrated.

Analyses of speech samples revealed that syllable length for stuttered utterances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for fluent utterances. They also revealed that clausal constituents for stuttered utterance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for fluent utterances. On average, stuttered utterances were longer and more syntactically complex than fluent utterances.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current theory (Demands and Capacities model). Results also emphasize the value of considering individual patterns in stuttering children's speech disfluencies.
Files in This Item:
T00652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66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