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 578

Cited 0 times in

임신중독증 태반에서 세포고사의 발현

Other Titles
 The Apoptosis in placenta of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Authors
 이연혜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의과학 사업단/석사
Abstract
[한글]세포사멸 과정은 이전부터 알려져 온 전형적인 괴사와 세포고사로 나눌 수 있다. 1990년대에 들어서 분자 생물학 분야가 발전됨에 따라 세포고사에 관계된 일부 유전자의 역할이 밝혀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고 퇴행성 질환이나 종양의 발생과 치료, 정상조직의 발생과 소멸과정 등에서 세포고사의 역할을 밝히려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산부인과 영역에서도 배란 이후 난포의 퇴행과정, 자궁내막의 월경주기에 따른 생성과 탈락 등에서 세포고사가 일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있고 최근 몇 년 사이에는 착상이후 태반의 성장과 노화, 분만과정에서도 세포고사가 발생한다는 연구보고가 있었다. 비정상적인 태반의 착상과정과 태반의 혈류부전, 태아의 발육제한 등을 고려할 때 임신중독증 시 정상임신과 구별되는 세포사의 특징을 나타낼 것이라 생각되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1995년부터 1998년까지 23 주에서 40 주까지의 중증의 임신중독증 또는 전자간증, 자간증으로 입원하여 분만한 환자 39명과 20주 이후 분만한 환자중 태반의 병적 조직소견을 보이지 않고 태반조직을 확보할 수 있었던 3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DNA fragmentation detection kit와 Bcl-2 단일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대조군의 태반과 임신중독증 산모의 태반에서의 DNA fragmentation과 Bcl-2 단백의 발현여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임신중독증의 산모에서 대조군에 비해 DNA fragmentation의 발현 비율이 더 낮았고 bcl-2 발현은 대조군에서 임신중독증 환자보다 대조군에서 억제되어 나타나 임신중독증 환자에서 세포고사의 경향을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둘째, 자궁동맥 혈류 파형에서 notch를 보여 순환장애를 의심했던 경우의 환자 군과 그렇지 않은 경우를 각각 비교해 보았는데 순환장애를 보인 경우에는 DNA fragmentation이 많이 나타났고 Bcl-2의 발현이 적어 세포고사가 촉진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임신중독중 환자의 병리조직 검사 상에서 합포체성 결절(syncytial knots)과 경색소견을 보였던 경우와 특징적인 소견을 나타내지 않았던 태반조직에서 각각 비교해 보면 병리조직 검사상 임신중독증의 특징적인 소견을 보였던 경우에 DNA fragmentation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었고 Bcl-2의 발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세포고사가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고 병리조직 검사 상에서 특징적인 소견이 없었던 임신중독증 환자 군에서 세포고사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대조군에서 임신 주 수별로 주 수에 맞게 성숙된 태반과 그렇지 않은 태반을 구별해서 관찰하였는데 대조군 태반에서 주 수에 맞게 성숙한 태반과 주 수에 비해 미성숙한 태반의 경우, 특징적인 세포고사의 경향을 보이지 않았고 세포고사에 의한 태반의 성숙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찾기 어려웠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이용한 TUNEL 방법에 의한 DNA fragmentation과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의한 Bcl-2의 발현을 분석함으로써 임신중독증의 병태 생리에서 태반의 세포고사의 역할을 명확히 밝히기 어려우나 임신중독증의 진행과정에 따라 일시적인 세포고사의 진행이나 억제가 모두 나타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고 이에 대해서 좀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영문]The process of natural cell death can be classified as necrosis or apoptosis. As the molecular biology continues to be developed, several genes and their roles in apoptosis has been identified a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termine that apoptosis i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numerous degenerative diseases, growth and treatment of neoplasm, and organogenesis and regression of normal tissues. In the field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there are some reports that apoptosis occurs during regression of follicles after ovulation and in the endometrium based on the menstrual cycle. Recently studies have reported that apoptosis was involved in placental aging process after implantation and parturition. Because the pathogenesis of toxemia might be caused by abnormal implantation and uteroplacental insufficiency and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we hypothesize that apoptosis in toxemia is quite frequently compared to normal pregnancy.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with 39 patients who had severely induced hypertension during pregnancy and who eventually delivered from 23 to 40 gestational weeks, in addition to 33 cases who delivered after 20 weeks and had no pathologic findings of placenta. We compared the DNA fragmentation and expression of Bcl-2 protein in the placentas of toxemia and normotensive patients using a DNA fragmentation detection kit and Bcl-2 monoclonal antibodie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of all, DNA fragmentation in the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patients were less than control group and Bcl-2 expression were greater than control group. Second, it showed that more DNA fragmentation and less Bcl-2 expression were observed with the notch of Doppler ultrasound, then we discovered that the apoptosis was accelerated with uteroplacental insufficiency. Third, DNA fragmentation was less than in the group of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patients with syncytial knots and infarct and Bcl-2 was more evident in similar groups comparing with no pathologic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patients' characteristics. For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NA fragmentation and Bcl-2 expression was observed in the mature placentas as compared with the immature placentas in control group according to gestational week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that it was difficult to clearly determine placental apoptosis in the pathology of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although both progress and restraint of momentary apoptosis might be foun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with DNA fragmentation and Bcl-2 expression by immunohystochemistry. This means that further studies on this subject is necessary.
Files in This Item:
T00641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63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