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515

Cited 0 times in

혈액투석환자의 사회적지지와 스트레스와의 관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n social support and stress of hemodialysis patients 
Authors
 조경자 
Issue Date
1987
Description
간호학교육전공/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의 목적은 말기 신장질환으로 인하여 혈액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환자들의 사회적지지와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규명하고 면접을 통하여 환자들의 질문지에 대한 응답태도와 스트레스 요인을 환자측면에서 파악하여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치료에 대한 적응과 재활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현실적인 간호연구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술적 연구이다.

연구의 가설들은 다음과 같다.

가설: 혈액투석환자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정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인지정도는 낮을 것이다.

제 1 가설: 혈액투석환자가 지각한 총 기능적 지지정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인지정도는 낮을 것이다.

제 2 가설: 혈액투석환자가 지각한 총 망의 지지정도가 스트레스 인지정도는 낮을 것이다.

제 3 가설: 혈액투석 환자가 지각한 총 상실의 정도가 적을수록 스트레스 인지정도는 낮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인지역의 총 23개 인공신장실을 모집단으로 하여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한 4개 인공신장실에 등록된 총 121명의 환자중 연구참여에 동의하였으며, 본 연구를 제외한 다른 유사한 연구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스트레스 측정도구와 사회적지지 측정도구가 사용되었다.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총 31개 항목의 스트레스 요인을 신체적, 심리적, 사회경제적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외에 개방성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사회적지지 측정 도구는 Norbeck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NSSQ)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기능, 총 망, 총 상실의 주요 세변수로 측정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1986년 10월 17일∼11월 1일까지 16일간에 걸쳐 연구자와 1명의 면접자에 의해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은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를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기 위해서는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대상자가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스트레스인지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 항목별 최대 가능한 점수에 대한 평균평점을 산출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인지정도와 사회적 지지정도의 차이, 영역별 스트레스 인지정도와 치료기간에 따른 차이는 t-test와 ANOVA로 산출하였다.

가설검정과 대상자의 기능적지지와 영역별 스트레스 인지정도와의 관계는 Pearg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31개 항목의 스트레스 요인중 55% 이상의 대상자가 전체항목을 스트레스로 인지하였다.

(2) 영역별 스트레스 인지정도는 사회경제적 영역, 신체적 영역, 심리적인 영역의 순위로 높아 세 영역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10.743, p<.01).

(3) 스트레스 인지정도가 높은 순위의 스트레스 요인은 "치료비가 많이 드는 것", "남편(아내)으로서 할 일을 다 못하는 것", "부모, 형제, 자녀로서 도리를 다 못하는 것"순이었다.

(4) 가설 :혈액투석환자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정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인지정도는 낮을 것이다.

제 1 가설 : "혈액투석환자가 지각한 총 기능적 지지정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인지정도는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r=-.2442, p<.05).

제 2 가설: "혈액투석환자가 지각한 총 망의 지지정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인지정도는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r=.2250, p<.05).

제 3 가설 : "혈액투석환자가 지각한 총 상실의 정도가 적을수록 스트레스 인지정도는 낮을 것이다. "는 대상자중에 상실 경험이 있는 사람은 3명뿐이었으므로 통계적인 유효성이 없어 가설 검정을 할 수 없었다.

따라서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5) 개방성 질문에 의한 스트레스 요인으로 "죽음에 대한 불안감이 전체 대상자의 66.6%, "주의환경으로부터의 소외감" 40%, "의료진의 무관심" 15% 그외에 "카눌라에 대한 불안감', "가려움증", "투약에 대한 부작용", "입안과 몸에서의 소변냄새" 였다.

(6) HSSQ에 의해 측정된 사회적 지지정도는 총 기능적지지의 평균평점은 3.679이며, 애정적지지가 평점 3.907로 가장 높았으며, 물질적지지는 3.434로 가장 낮았다. 총망의 지지제공자의 평균수는 4.9명이며 가장 높은 지지제공자는 배우자로 기능적지지 전반에 걸쳐 가장 높은 지지를 보였다. 대상자의 총 지지제공자 수는 294명으로 이중 80.3%인 236명이 배우자를 포함한 가족이었다.

(7)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정도의 차이는 결혼상태 (F=3.150, p<.05)와 주 투석회수 (F=4.342, p<.0)f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8) 대상자의 NSSQ의 기능적지지와 영역별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는 물질적지지만이 각 영역의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신체적:영역:(r=-.237. P<.05),심리적 영역:(r=-.279, p<.05), 사회경제적 영역(r=-217, p<.05)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혈액투석환자의 사회적지지와 스트레스와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액투석환자와 같은 말기적 만성질환자의 스트레스 측정은 면접을 통한 자료수집 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nursing care and to seek a way of caring for kidney patients in the last stage of the disease, that in those who are being treated by hemodialysis, in order to heighten the quality of their loves and to help them adjust to hemodialysis and become rehabilitated. For this reas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ocial support and their stress was examined through an interview an attempt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ir, stress.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The higher the hemodialysis patient's perception of their social support is, the less their stress.

1st hypothesis: The higher the patient's perception of their total functional support, the less stress they perceive.

2nd hypotheses: The higher the patient's perception of their total network, the less stress they perceive.

3rd hypotheses: The less the patient's perception of their total loss, the less stress they perceiv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60 patients selected from a total of 121 patients who were receiving dialysis in 4 hospitals the in Seoul and Inchon area.

The research tools used to measure stress were the stress measuring instrument developed by Chon and The Norbeck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The stress measuring instrument developed by Chon consisted of an open questionnaire with a total of 31 items measuring stress in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o-economic areas.

The Norbeck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consisted of 3 kinds of variables: total functional support, total number of networks and total loss.

The data collecting period was for 16 days from Oct. 17 to Nov. 1, 1986 and was carried out by the investigator and one interviewer.

For data analysts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was used and computerized.

The chief causes of stress in the open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actual number and percentages were computed for the patient's general characteristics.

To grasp the patient's understanding of their social support and their awareness of stress, the mean score of each item was foun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stress and social suppor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stress and the therapy Period were determined by t-test and ANOVA.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check the hypothes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support and the perception of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was follows:

1. More than 55% of the patients acknowledged the total 31 stress items.

2. In the perception of stress the socio-economic area was the highest, the next one was the physical area and the lowest was the psychological area.

Therefore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 among these three areas. (F=10.743, F<.01)

3. The order of the greatest perception of stress was as follows:

The 1st was the high cost of treatment.

The 2nd was their inability to carry out their duty as a husband or a wife.

The 3rd was their Inability to do their duty as parents, brothers or sisters, or children.

4. Hypothesis: The higher the hemodialysis patient's perception of their social support was, the Less their stress.

1st hypothesis : "The higher the patient's perception of their total functional support, the less their perceived stress", was affirmed. (r=-.2442, P<.05)

2nd Hypothesis: "The higher the patient's perception of their total network, the less their perceived stress", was affirmed. (r=.2250, P<.05).

3rd hypothesis: "The less the patient's perception of their total loss, the less their perceived stress", was not affirmed. As there were only 3 patients who had an experience of loss, this was too small a number for statistical analysis. So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partially supported.

5. The chief causes of stress measured by the open questionnaire were as follows:

The anxiety of death was 66.6%.

The feeling of worthlessness was 40%.

The indifference of the medical team was 15%.

In addition to these, there were complaints of the discomfort of the cannula, itching, ill side effects from medication and the smell of urine in the mouth and body.

6. In the mean score average of social support measured by NSSQ, the mean store of total functional support was 3.679, the affection support was 3.909, and the aid support was 3.434. The mean number of supportive persons listed by the patients was 4.9 (range=1 - 15), of all the functional supports the highest supporters were life partners.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networks were 294, among these 36 (80.3% were their family members.

7.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their social support system were their marriage state (F=3.150, P<.05) and the frequency with which they received dialysis. (F=4.342, P<.05).

8.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ient correlation between functional support and the area of stress in the NSSQ were found to be the arid support which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every stress area. Physical area : (r=-.237, p<.05), Psychological area : (r=-.219, p<.05), Socioeconomic area: (r=-.217,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tress of hemodialysis patients , and it is needed that to collect data through an interview an attempt to determine the cause of kidney patient's stress in the terminal stage of the disease that is those who treated by hemodialysi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475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58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