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811

Cited 0 times in

보건의료관련 언론의 오보사례 분석 :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사례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Case study of public health related cases from press arbitration commitee 
Authors
 김소윤 
Issue Date
1999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최근 건강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늘어나고, 언론매체가 다양화됨에 따라 보건의료는 언론의 주요 소재가 되고 있다. 그렇지만 언론이 다루는 이들 정보는 한정된 지면과 제한된 방송시간, 미디어의 상업주의 등으로 언론의 감시와 비판의 기능과 교육 및 여론 형성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 연구는 보건의료와 관련된 오보 사례를 언론중재위원회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보건의료 관련 오보의 특성을 밝히며, 정정 및 반론보도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오보로 인한 국민과 보건의료인 등의 피해를 줄이고 언론과 보건의료의 연계를 확립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81년부터 1997년 사이 언론중재위원회에 중재를 신청한 3,848건의 사례 중 보건의료관련사례 141사례를 선별하였고, 중복되는 사례를 제외한 72건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보건의료관련 중재사례를 중재신청이유, 오보사례의 유형으로 분석하여 중재처리 결과와 반

론보도(또는 정정보도)여부, 오보유형에 따른 사례의 일반적 특성과 중재신청 이유 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총 72건의 신청연도를 1981년부터 4년씩 나누어 분석한 결과 1981년부터 1984년 사이 2건에서 1993년에서 1996년 사이 49건(68.1%)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신청인별로는 보건의료인 36건(50%), 보건의료기관 15건(20,8%), 보건의료관련단체 11건(15.3%)이었고, 피신청인별로는 신문사가45건(62.5%)으로 가장 많았다. 취재원은 공무원 27건(37.5%), 일반인 23건(31.9%), 보건의료인·기관 22건(37.6%) 순으로 거의 비슷했다.

중재신청 이유는 명예훼손 67건(93.1%), 보도의 공정성 문제 35건(48.6%), 신용훼손 30건(41.7%), 정신적 피해 30건(41.7%), 취재의 윤리성문제 26건(36.1%), 전문적 지식 부족 18건(25%) 이다.

중재결과는 전체 72건 중 31건이 취하(43.1%), 22건이 합의(30.6%), 19건이 불성립(26.4%) 되었다(표23). 전체 72건 중 39건(54.2%)이 정정 및 반론보도를 하였다(표25). 오보의 유형은 허위보도가 29건(40.2%)으로 가장 많았고, 과장보도 17건(23,6%), 인용상 오류 15건(20.8%), 보도미흡 8건(11.1%), 부정확보도 3건(4.3%) 이다(표27).

정정보도 여부에 대하여 다른 요인들을 통제하면, 신청인이 조직일 때 보다는 개인일 때, 신청지역이 타도시 보다는 서울일 때, 그리고 신청이유의 수가 많을 때 정정보도율이 더 높았다.

보건의료 관련보도를 공정하고 진실되며 정확하게 보도를 할 수 있도록 언론인과 보건의료인들이 모두 더 주의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보건의료인과 언론인 사이에 상호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또한, 언론이 보건의료를 감시하며 교정하는 기능을 하듯이 보건의료인들도 지속적으로 언론의 보도내용을 검증하고 교정할 수 있어야 하겠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ss media and public health in improvement of public health,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 care-related incorrect reports, to identify the rectificaton process of the incorrect reports and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s arbitration cases, and to supply a basic data to minimize the people's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losses due to incorrect reports by the mass media including those which put people's health into risk.

Between 1981 and 1997, there were 3,848 arbitration cases. 141 cases were related to health care, but among those, 69 cases were repeated cases. All together 72 cases were studied. Analysis of cases in the dimensions of the reasons for appliation of the arbitration, the classification of types of incorrect reports

according to its classification type and the correlation of the causes and result of such cases, were performed.

The number of cases Increased in quantity annually. Between 1981 and 1984 there were only 2 health related case, but between 1993 and 1596, 49cases were applied.

The applicants of the 36 cases(50%) were health care professionals, of 15 cases(20.8%) were health care institutions, of 11 cases(15.3%) were health care related organizations. The source of information were officers in 27 cases(37.5%), in 23 cases(31.9%)civilians(patients, patient's relatives), and in 22 cases(30.6%),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institutions.

The reasons of application were in 67 cases(93.1%) defamation of characteristic, in 35 cases(48.6%) the public justice, 30 cases(41.7%) loss of confidentiality, in 18 cases(25%) the shortage of special knowledge.

The results of the arbitration were 31 cases(43.1%) of withdrawals, 22 cases(30.6%) reached an agreement, 19 (26.4%) failure to an agreement. The types of the arbitration cases were in 29 cases(40.2%), false reports, in 17 cases(23.6%) types exaggerating reports, in 15 cases(20.8%) were citation errors, in 8 cases(11.1%) insufficient reports, in 3 cases(4.3%) were incorrect reports.

It is crucial for both the mass media and the health related articles more truthfully and correctly. To do so a system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is essential. Mass media then play its original role that of foreseeing and directing the public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will be able to participate in that role for the improvement of public health.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51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