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699

Cited 0 times in

장애보상체계와 신체감정기준의 비교 분석

Other Titles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ompensation system and the evaluation standard for physical impairment : based on the compensation system for impairment in Korean 
Authors
 김관익 
Issue Date
1999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현재 우리 나라에서 적용하고 있는 장애보상체계는 군인연금 및 공무원연금제도(보훈 보상 포함) 등 정부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는 보상과 민간부문에 의한 보상제도 등 다양한 장애보상체계가 있으며 이들의 성격 또한 각각 다르다. 따라서 같은 종류의 신체 장애에 대하여 그 보상액이 모두 같을 수는 없으며 각각의 장애보상제도의 성격과 장애를 입은 자의 직업 유형별로 보상금의 산정방법은 차이가 있을 수는 있을 수는 있다. 그러나 그 장애를 판정하는 기준은 합리적이고 타당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군인의 장애보상체계와 국내의 각종 장애보상체계 및 신체감정기준을 비교·분석하여 합리적이고 타당한 신체감정기준 재·개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2단계로 구분하여, 1단계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의 각종 장애보상체계를 비교·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2단계에서는 군 장애보상체계의 신체감정기준인 국방부령461 심신장애등급표를 맥브라이드의 장애율과 비교하여 합리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1단계 분석은 기존에 발표된 연구자료와 관련법규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하여 수행하였으며, 2단계에서는 국부령461의 정형외과 항목을 보상 항목(1급∼7급) 및 보상제외 항목(8급∼17급), 그리고 전체 항목으로 구분하여 맥브라이드(McBride)의 노동능력상실율표와 짝짓기하여 일치도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1단계 분석결과 군인 장애보상체계에서는 장애인정기준 및 판정절차가 객관적이지 못하며 일반사회의 기준보다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어 공무상 장애인정을 위한 실무지침이 되지 못하였다. 또한 장애등급 분류에 있어서는 일반사회와의 형평성과 관련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2단계 분석결과 정형외과에 해당하는 항목은 심신장애등급표의 경우 총 266항목, 맥브라이드에서는 505항목이며 그중 짝짓기가 가능한 항목은 총 197개 항목이었다. 맥브라이드와 심신장애등급표 사이의 상관관계는 심신장애등급표 전체의 경우는 높았으며(r= 0.612) 각 항목끼리 대부분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보상등급(n=81)과 보상제외 등급(n=116)의 상관계수는 각각 0.45와 0.26으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또한 동일 등급일지라도 각 항목의 장애율은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보상등급보다 훨씬 높은 장애율을 보이고 있는 보상제외 등급의 항목도 많았다(그림7, 8).

국방부령461 심신장애등급표의 짝짓기 대상을 맥브라이드의 노동능력상실율표 한가지에만 국한시켜서 분석한 점이 연구의 제한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적용하고 있는 거의 모든 신체감정기준은 완벽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절대적 기준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방법이 합리적인 감정기준을 만드는데 필요한 연구의 틀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 도출된 문제점을 보완하여 군인연금법, 국가배상법, 국가유공자예우에관한법률, 산업재해보상보험법 등 국내법에서 적용하고 있는 각기 다른 신체감정기준들에 대한 개정작업이 필요하여, 이를 위해서 현재의 의학 수준 및 사회 경제적인 여건을 고려하여 의사 및 법률가, 행정가 등 각계의 전문가들의 다학제간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Currently in Korea the compensation system for impairment comprises a government-operated system such as military pension and civil servant pension(including merit reward) and a private ,system. With each system having its own character, compensation amount for similar impairment may differ from one case to another according to the system in which the case was referred. And the

calculation method may vary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the system and the occupation of the impaired. Nevertheless the standard to evaluate the degree of impairment is expected to be applied reasonably and appropri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rimary data for the decision and the revision of the standard, by comparing and analyzing military compensation system for impairment, other national compensation system for impairment and physical evaluation standard.

This study was performed in 2 phases. In phase 1, all the compensation system of Kore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identify problems. For this purpose existing data and the literatures of related laws were studied. In phase 2, physical

impairment list of the Ministry of Defence ordinance 461 was compared to McBride impairment rate in order to evaluate its rationality. For this purpose the orthopedic oases listed in the Ministry of Defence ordinance 4 6 1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cases eligible for compensation(grade 1-grade 7), cases non-eligible for compensation(degree 8-degree 1 1 ) and total cases, and were compared with McBride's impairment rate in order to analyze its consistency and correlation.

The result of step 1 showed that the compensation system for soldiers did not function as guiding principle in the administrative work of confirming impairment which occurred while one was on duty, the reason being that the system lacks

objectivity in its confirmation standard and decision-making formalities, and is rather inclusive when compared to other system outside of military. Also the classification of impairment grade was not balanced with other system.

The result of step 2 showed that physical / mental impairment list had 266 orthopedic cases while McBride impairment list had 505 items. Among these cases, total of 197 cases could be paired. McBride list and physical/mental impairment list showed high correlation(r=0.612) and consistency. Howev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case eligible for compensation(n=81)' and 'case non-eligible for compensation(n=116)' were 0.45 and 0.26 respectively, which were rather low. The impairment rate for each ca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even within same grade Some 'cases lion-eligible for compensation' showed higher impairment rate than' cases eligible for compensatien'.

This study has its limitation in that the Ministry of Defence ordinance 461 physical/mental impairment list was analyzed to be paired only with McBride impairment list. Nevertheless, since there is no solid physical evaluation standard available, the analysis method which was applied in this study introduces framework for further study about evaluation standard.

By making up for problems identified in this study, physical evaluation standards for various national laws such as Military Pension Law, National Reparation Law, Law of the Man of Merit,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Law, can be revised. For this work, with the consideration of medical, social and economical condition, multi-disciplinary study in the area of medicine, law, and administration is necessar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06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49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