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429

Cited 0 times in

수도권지역 재수학원생들의 스트레스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The) level of Crammer's stres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uthors
 이용구 
Issue Date
1998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 재수학원생의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지역 3개 재수학원생 597명으로 1997년 8월부터 1997년 9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스트레스 수준은 장세진이 개발한 PWI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PWI를 종속변수로 하고 사회인구학적 변수, 스트레스 인자, 생활양식,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수로 하여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재수생들의 스트레스 수준은 직장인들에 비해 높았으며, 재수생들의 스트레스 수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 종교 등의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점수차, 생활사건 경험 유무, 재수기간의 질병이환력 등의 스트레스 인자 및 흡연량, 운동시간 등의 생활양식 관련 변수였고 사회적 지지 역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이들 변수중 스트레스 수준에 음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운동시간과 사회적 지지였으며 이 중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또한 변형된 사회적 지지 모형에서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 인자와 스트레스 수준을 중재하는 유의미한 변수였으며 흡연등 일부 생활양식은 스트레스 인자와 상호작용하여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나 운동시간은 독립적으로 스트레스 수준의 경감에 유의하게 기여하는 변수였다.

결론적으로 재수생들은 주요한 건강위해 인자인 스트레스의 고위험 집단이며 이들의 스트레스 수준을 낮추기 위해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건강한 생활양식을 권장하고 사회적 지지를 제고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보다 타당성있게 측정하는 도구가 개발되어 설명력이 높은 모형의 개발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level of crammer's stress in metropolitan area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i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597 retrying candidates for college entrance.

The level of stress was measured by PWI, which Se-jin Jang has develop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stress of them, 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putting PWI as dependent variable and sociodemographic charateristics, stressors, life-styles, social support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model.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ir level of stress is higher than that of office workers, which was measured by other researchers using the same PWI.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level of stress are sex, religion, the difference of score, amount of smoking, time of exercise, experience of stressful life events,

and social support. The social support is a major modifying factor of stress and also the time of exercise is the factor reducing the level of stress significantly.

In conclusion, the candidates is high risk group of stress and when the program for health promotion is developed for them, it shoud be considered to recommend good life style and to improve the resource of social support.

Our recommendation for the further research is the development of valid measurement tools for above independent variable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93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46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