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99 1139

Cited 0 times in

골다공증 대상자의 약물복용 이행정도 및 관련요인

Other Titles
 Medication compliance for osteoporosis patient's and related factors 
Authors
 김민선 
Issue Date
2010
Description
가정간호전공/석사
Abstract
[한글]골다공증을 진단받은 후에는 반드시 약제의 치료가 필요하다. 그러나 약물치료의 지속률이 낮아 큰 문제점으로 부각되어지고 있으며, 대상자의 약물복용을 지속시켜야 하는 것은 간호의 중요한 영역이다. 약물복용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의료인 측, 환자측면으로 구분하여 고려할 수 있으나 선행 연구에서는 의료인 측면에 초점을 두어 의사의 처방의 중요성을 제시하는데 그쳤다. 이에 본 연구는 대상자의 약물복용 이행과 관련된 요인을 자기효능감, 건강신념, 사회적 지지의 측면을 포함하여 조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약물복용 이행 방법을 계획하는데 기초를 마련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0년 3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경기도에 소재한 일 대학병원에서 골다공증진단을 받아 약을 처음 복용한 40명의 환자를 대상을 하였다. 연구도구로 약물 복용 이행은 4주 동안의 규칙적인 복용을 측정한 것으로, 4회 측정 시 4회 복용한 환자를 잘 이행한 군으로 정의하며, 3회 이하 복약한 군을 잘 이행하지 못한 군으로 나누었으며, 자기효능감은 김재희(2007)가 개발한 자기효능감 측정도구를 수정 보완한 측정도구로, 건강신념은 Yood 등(2008)이 개발한 도구를 번역하여 수정 보완한 것으로, 사회적 지지는 김옥수(1993)와 태영숙(1985)이 개발한 도구를 수정 보완한 것으로, 골다공증 약의 지식은 본 연구자가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만든 도구로 사전조사 및 전문가 타당도의 검증을 거친 후 사용하였다. 골다공증 약물복용 이행군과 불이행군 간의 특성 및 지식, 자기효능감 및 건강신념, 사회적 지지정도의 차이는 X²-test와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1. 약물이행은 23명(57.5%), 불이행은 17명(42.5%)로 측정되었다. 시기별로 살펴 본 약물이행정도는 1차에서는 36명(90.0%), 2차와 3차에는 29명(72.5%), 4차에서는 26명(65.0%)로 나타났다. 2. 자기효능감에 대한 점수는 28점 만점에 평균 23.23점(±4.70)으로 나타났다. 자기 효능감과 약물복용과의 관계는 이행군이 23.87점(±4.06), 약물 비복용군이 22.35점(±5.45)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Z=-.854, p=.393).3. 건강신념에 대한 총 점수는 145점 만점에 평균 103.70점(±18.38)으로 나타났다. 건강신념과 약물복용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이행군이 110.39점(±14.39), 불이행군이 94.65점(±19.67)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Z=-2.491, p=.013). 4. 골다공증 약물복용에 대한 지식은 10점 만점에 최저 평점 0점, 최대 평점 9점으로 평균 4.35점(±1.97)으로 정답률 44%이었다. 약물 지식과 약물 복용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이행군이 4.78점(±1.99), 불이행군이 3.76점(±1.82)으로 나타 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Z=-1.742, p=.082). 5. 가족의 지지는 30점 만점에 평균 19.63점(±6.51)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지지와 약물 복용은 이행군이 21.61점(±5.21), 불이행군이 16.94점(±7.25)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Z=-2.067, p=.039). 의료인의 지지는 50점 만점에 평균 37.38점(±9.15)으로 나타났다. 약물 복용 이행군의 의료인 지지 점수가 41.35점(±6.21), 불이행군이 32.00점(±9.89)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Z=-3.248, p=.001).6. 약물 복용 횟수는 자기효능감, 건강신념, 의료인 지지, 약물지식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때, 약물에 대한 지식이 전반적으로 부족하므로 약물에 대한 교육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건강신념, 사회적지지가 약물 이행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건강신념과 의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등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Files in This Item:
T01141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39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