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7 1246

Cited 0 times in

생체 간 공여자를 위한 교육 자료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Material for Liver Donor 
Authors
 정윤중 
Issue Date
2010
Description
중환자간호전공/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생체 간 공여자와 간호사의 교육 요구를 파악하여 효과적이고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교육 요구를 만족시키고, 공여 전, 후 뿐만 아니라 퇴원 후에도 건강 유지 및 증진, 합병증 예방과 자가 관리를 위한 교육 내용을 소책자로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생체 간 공여자와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해 총 39개 항목을 개발하였다. 질병 관련 정보, 공여 수술 관련 정보, 퇴원 후 자가 관리로 대분류 한 후 질병의 특성에 관한 4항목, 간이식에 관한 3항목, 수혜자에 관한 3항목, 수술 전에 관한 항목 5항목, 수술에 관한 항목 6항목, 수술 후에 관한 4항목, 일상생활에 관한 6항목, 정서적 관리 3항목, 추후 관리 5항목으로 분류하였다. 2009년 4월 30일부터 2009년 7월 10일까지 서울 소재의 간이식을 시행하는 1개의 종합병원에서 간 공여 후 입원해 있는 공여자 40명과 간 공여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40명을 대상으로 어떤 내용을 교육 받기를 원하는지에 대한 교육 요구를 조사하여 교육 요구가 50% 이상인 항목을 교육 내용 개발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개발된 교육 내용 항목에 대하여 10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각 항목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였고, CVI가 0.75 이상인 항목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항목에 대한 예비 교육 내용을 작성하여 5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각 항목에 대한 내용 타당도를 파악하였고, 10명의 간 공여자를 대상으로 교육 내용의 이해도를 파악하여 부분적 수정이 필요한 항목의 어휘 및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간 공여와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한 교육 요구 항목으로 질병 관련 정보, 공여 수술 관련 정보, 퇴원 후 자가 관리로 대분류 하였다. 질병 관련 정보 세부 항목으로는 간의 모양과 기능, 질병의 원인, 간부전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 간부전의 진행과정과 예후, 간이식의 정의, 역사, 간이식의 적응증, 수혜자의 수술 방법, 이식 후 생존율, 이식 후 합병증으로 구성하였다. 공여 수술 관련 정보 세부 항목으로는 공여 조건, 공여 장점, 간 기증 방법, 공여자 검사 및 평가 방법, 수술 전 절차, 수술 방법, 수술 시간, 간 절제 범위, 수술 간 회복 기간, 공여 성공률, 공여 사망률, 수술 후 간호, 회복 기간, 간 공여 후 합병증, 퇴원 시기로 구성하였다. 퇴원 후 자가 관리 세부 항목으로는 주의해야 할 음식의 종류, 건강보조 식품섭취, 한약 섭취, 할 수 있는 운동, 성 생활을 할 수 있는 시기, 가사나 학교 또는 직장생활 복귀시기, 공여 후 정서적 문제, 공여 후 스트레스 관리, 공여 후 나타나는 증상 관리, 정기적인 병원 방문, 수술 부위 관리, 합병증 예방 행위, 문의 전화, 간 공여 관련 website로 구성하여 이를 기반으로 공여자와 간호사의 교육 요구 조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둘째, 설문지 중 생체 간 공여자 40명과 간호사 40명의 교육 요구가 50%이상인 항목을 보면 총 39개 항목 중 간이식의 정의와 역사를 제외한 37개 항목이었다. 셋째, 생체 간 공여자의 교육 요구 조사 설문지 기타 의견 중 금연과 간 공여 후 사회적 혜택(복지)에 대한 교육 항목을 포함하라는 의견이 있었다. 금연은 간 절제 수술뿐만 아니라 일반 수술 전 교육이 필수인 항목인 점과 사회적 혜택(복지) 역시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에서 국민들의 행복한 삶을 보장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인간의 복지가 세계적인 관심인 점을 고려하여 교육 항목에 포함하였다. 넷째, 간호사의 교육 요구 조사 설문지 기타 의견 중 중복되는 항목들을 하나로 통일하라는 의견이 있었다. 질병 관련 정보 영역에서는 간이식의 적응증과 질병의 원인이 비슷한 항목이라는 의견과 공여 수술 관련 정보 영역에서는 공여 성공률과 사망률, 퇴원 후 자가 관리 영역에서는 공여 후 정서적 문제, 공여 후 스트레스 관리, 공여 후 나타나는 증상 관리(정서적) 등이 비슷한 항목이라는 의견을 반영하여 채택 비율이 높았던 간이식의 적응증과 공여 후 나타나는 증상(정서적)으로 항목을 하나로 통일하였으며, 공여 성공률과 사망률을 하나의 항목으로 묶어 예비 교육 항목을 수정, 보완하였다. 다섯째, 최종 교육 항목은 10명의 전문가 집단이 각 항목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여 CVI 0.75 이상인 항목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35개 항목 중 간의 모양, 공여의 장점, 간 기증의 방법, 간 공여 관련 website를 제외한 31개 항목이었다. 여섯째, 최종 퇴원 교육 내용은 총 4개 영역의 31개 항목으로 다음과 같다. 4개의 영역은 질병 관련 정보, 수혜자 관련 정보, 공여 수술 관련 정보, 퇴원 후 자가 관리로 나누었다. 질병 관련 정보 영역은 간의 기능, 간부전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 간부전의 진행과정과 예후, 간이식의 적응증에 대하여, 수혜자 관련 정보는 수혜자의 수술 방법, 이식 후 생존율, 이식 후

합병증에 대하여, 공여자 관련 정보는 공여의 조건, 간 공여 후 사회적 혜택, 간 공여자의 검사 및 평가 방법, 수술 전 절차, 수술 전 금연, 금주의 필요성, 수술 방법, 수술 시간, 간 절제 범위와 간 회복 기간, 공여 성공률과 사망률, 수술 후 간호, 회복 기간, 간 공여 후 합병증, 퇴원 시기에 대하여, 퇴원 후 자가 관리 영역에서는 주의해야 할 음식의 종류, 건강보조식품 섭취, 한약 섭취, 할 수 있는 운동, 성 생활을 할 수 있는 시기, 가사나 학교 또는 직장생활 복귀시기, 공여 후 나타나는 증상 관리(정서적), 정기적인 병원 방문, 수술 부위 관리, 합병증 예방 행위, 문의 전화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퇴원 교육 자료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 내용을 개발하여 간 공여자에게 구조화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공여 전, 후 뿐만 아니라 퇴원 후에도 건강 유지 및 증진, 합병증 예방과 자가 관리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This is a methodological study aiming to develop an educational material designed to meet the information needs of living liver donors and nurses who take care of them. The material will help to satisfy information needs, maintain and promote liver donors' health before, during, and after donation, prevent complications and manage self-care at home. a total of 39 educational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items extracted from a close examination of literature related to liver donors. These item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formation on disease, information about

donation surgery, and information on home management after discharge. Those items included 4 items on the specific traits of disease, 3 items on liver transplantation, 3 items on the recipients, 5 items about pre-operation procedure, 6 items about operation procedure, 4 items about post-operation procedure, 6 items on everyday life, 3 items on emotional management, and 5

items on post-discharge management. To find out which items were most requested for educating liver donor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a convenience sample of 40 patients and 40 nurses at a hospital located in Seoul, from April 30 through July 10, 2009. The patients were living liver donors who were in post-operational hospital care. The items that received more than 50% of the responses were chosen as subjects for educational contents. Among these subjects, items that received a CVI of over 0.75 from a group of 10 experts were selected as final educational items.

Tentative contents for these final items were examined for content validity by a group of 7 experts in the field of liver transplantation. In addition, 10 liver donors were asked regarding the vocabulary, readability, and understand

ability to improve educ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finding from the process, contents were revised to yield the final educational material.

A summary of the conclusions is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items extracted from an review of literature related to liver donors were divid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 information on disease, liver donation surgery, and self-management after discharge from a hospital. The information regarding disease included information on anatomy and physiology of the liver, causes of disease, the symptoms resulting from hepatic insufficiency, the process and recuperation of hepatic insufficiency, the definition, history, and indications of liver transplantation, the operation procedure for recipients, survival rates, and complications after transplantation.

The information regarding donation surgery included donor qualifications, the benefits of donation, liver donation procedures, testing and evaluation on donors, pre-operational and operational procedures, operation time, incision site, recuperation period of the liver, donation success rates, donor death rates, post-operational care, recovery period, complications after donation, and time of discharge. Information on self-management included diet, consumption of healthy foods, exercises, sexual activity, and timing of return to housework, school, or work, emotional problems, stress management, periodic hospital visits, management of surgery site, prevention of complications, contact information, as well as websites on liver donation. Those became the basis for the survey of donors and nurses about educational needs for living liver donation.

Second, the items that received 50% or more of agreement of from 40 donors and 40 nurses were 37 out of initial 39 items as the definition and history of liver transplantation were excluded .

Third, additional feedback provided on the survey included requests for information on quitting smoking and the social benefits (welfare) after liver dona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information on quitting smoking was a

crucial element of all surgeries and that social benefits (welfare) was a basic element in guaranteeing the happiness of citizens in most countries and has become an interest worldwide, led to inclusion of these items.

Fourth, feedback from nurses on the surveys included the suggestion that repetitive items be integrated. Among the items about disease, nurses pointed that 'indications of liver transplantation' and the 'causes of disease' were similar. Likewise, among the information about donation surgery, it was

suggested that the success rates and death rates items were present similar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about post-discharge home management, the items regarding emotional management (i. e., emotional problems and stress management) were repetitive. Based on the feedback, those items were integrated into items that had higher percentages from need assessmentindications of liver transplantation' and 'emotional symptom management after donation.' The success and death rates of donors and recipients were also grouped into one item. Thus, a total of 35 items was selected.

Fifth, thirty-one items out of 35 that were received a CVI of over 0.75 from a group of 10 experts were selected as final educational items. Sixth, the total educational materials included 31 items in 4 categories. These four categories were information on disease, recipients, donation surgery, and

post-discharge home management. The information on disease included physiology of the liver, symptoms resulting from hepatic insufficiency, the process and recuperation of hepatic insufficiency, indications of liver transplantation. The information on the recipients included the operation procedure for recipients, the survival rates, and complications after

transplantation. The information regarding donors included donor qualifications, social benefits after donation, liver donation procedures, testing and evaluation on donors, no-smoking and alcohol abstinence before surgery, pre-operational and operational procedures, operation time, incision site, recuperation period of the liver, donation success rates, donor death rates, post-operational care, recovery period, and complications after donation. Information on post-discharge self-management included diet, consumption of healthy foods and oriental medicines, exercises, sexual activity, and return to housework, school, or work, emotional problems, periodic hospital visits, management of surgery site, prevention of complications, contact inform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educational material developed from this study with systematic and effective educational contents for living liver donors will contribute to the management and promotion of their health and the prevention of complications throughout the process of liver donation.
Files in This Item:
T01134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37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