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7 550

Cited 0 times in

화학 생물학적 상호 결합 측정을 위한 유전영동 기술

Other Titles
 Dielectrophoretic technique for measurement of chemical biological interactions 
Authors
 백상현 
Issue Date
2010
Description
의공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응급실 신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인천 소재 9개 종합전문요양기관의 응급실 신규 간호사로서 신규 간호사를 위한 오리엔테이션 기간을 마치고 독립적인 간호를 수행하는 응급실 근무 경력 12개월 이하인 간호사 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09년 5월 1일부터 5월 20일까지 20일간 실시되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자가보고 형식으로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 방법은 SAS 8.1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hi-square test, t-test, Pearson correlation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1. 응급실 신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는 2.79점(4점 척도)으로 중간수준 이상이었다. 직무 스트레스 정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대인관계상의 문제’(2.84점)이었으며, 그 다음이 ‘의사와의 대인관계상 갈등’(2.83점), ‘업무 외의 책임’(2.83점), ‘의사와의 업무상 갈등’(2.81점), ‘업무량 과중’(2.80점), ‘부적절한 보상’(2.72점), ‘전문직 역할 갈등’(2.69점), ‘전문지식과 기술 부족’(2.69점), ‘부적절한 물리적 환경’(2.66점), ‘익숙하지 않은 상황’(2.63점), ‘부적절한 대우’(2.60점), ‘상사와의 관계’(2.58점), ‘치료의 한계에 대한 심리적 부담’(2.49점), ‘부하직원과의 불만스런 관계’(2.20점), ‘밤 근무’(2.00점) 순으로 나타났다.2. 응급실 신규 간호사의 직무만족 정도는 2.92점(5점 척도)으로 ‘상호작용’ 영역이 3.69점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자율성’(3.14점), ‘전문직

상태’(2.85점), ‘업무요구도’(2.76점), ‘간호사-의사 관계’(2.74점), ‘보수’(2.57점), ‘조직요구도’(2.55점) 순이었다.3. 응급실 신규 간호사 81명 중 부서이동은 68명(83.95%)이, 병원이동은 69명(85.19%)이, 직종이동은 74명(91.36%)이 이직의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4. 응급실 신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차이를 살펴보았 을 때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직무 스트레스와 유의한 관련요인은 없었다. 그러나 직무만족은 응급실 근무 경력(p=.02)과 신규 간호사를 위한 응급실 오리엔테이션 기간(p=.03)과 관련이 있었으며 이직의도는 최종학력(p=.006)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 부서이동, 병원이동, 직종이동 이직의도를 가진 대상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간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0.36, p=.0022, r=-0.41, p=.0004, r=-0.28, p=.0125)가 있고,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0, p=.0007, r=.40, p=.0006, r=.42, p=.0002)가 있다. 부서이동, 병원이동 이직의도를 가진 대상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간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0.34, p=.0044, r=-0.42, p=.0003)가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응급실 신규 간호사는 대인관계상의 문제, 의사와의 대인관계상 갈등과 같은 인간관계의 문제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호작용과 자율성에 직무만족을 높게 느꼈다. 또한 응급실 신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높고 직무만족이 낮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았다. 따라서 응급실 신규 간호사의 대인관계에서 오는 직무 스트레스를 줄이고 직무만족을 높여 이직을 줄이기 위한 직무 적응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ew nurses at the emergency department (ED). The subjects were 81 new nurses who have been working at EDs for 12 months or less at 9 tertiary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 to May 20, 2009 with a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 and were analyzed by using SAS 8.1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job stress of new nurses was 2.79, ranging from 1 to 4. The highest job stressors were related to interpersonal problems and work load.

2. The average score of job satisfaction was 2.92, ranging from 1 to 5. The factors related to the highest job satisfaction was interaction (3.69) then autonomy (3.14).

3. Turnover intention was classified into 3 categories: transfer to other departments, transfer to other hospitals, and leave nursing job. Among 81 new nurses, with multiple responses, 68 (83.95%) reported intention to transfer to other departments, 69 (85.19%) transfer to other hospitals, and 74 (91.36%) of

leaving nursing job.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tr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bu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was higher when they had longer than 4 weeks of orientation period. Turnover intention of transferring to other hospitals was higher among 3-year program graduates than 4-year program graduates.

5.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e subjects who had turnover intention of transferring to other departments (r=-0.36, p=.0022), transferring to other hospitals (r=-0.41,

p=.0004), and leaving nursing job (r=-0.28, p=.0125). A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the subjects who had turnover intention of transferring to other departments (r=.40, p=.0007), transferring to other hospitals (r=.40, p=.0006),

and leaving nursing job (r=.42, p=.0002).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the subjects who had turnover intention of transferring to other departments (r=-0.34, p=.0044) and transferring to other hospitals (r=-0.42, p=.0003).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higher job stress of new nurses had, the lower job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urnover intention existed. It is suggested that the orientation program for the new nurses at ED should include programs to reduce job stress and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Files in This Item:
T01126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36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