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0 705

Cited 0 times in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Other Titles
 Characteristics of story grammar in fluent aphasic patients 
Authors
 변주영 
Issue Date
2009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한글]

이야기 평가는 중요한 의사소통 평가의 한 구성요소로 여겨진다. 이는 특정 어휘나 문장 패턴을 이해하고 산출하는데 있어서 언어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정서적 능력 등이 평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야기 평가 방법 중 이야기문법은 이야기에서 흔히 발견되는 규칙체계로 6가지 범주를 포함한다. 이 6가지 이야기문법 범주들을 적절히 사용하여 이야기 할 수 있는가는 실어증 환자의 이야기 능력을 반영해주는 좋은 지표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이야기 평가를 다룬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이야기 만들기를 통해 이야기문법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죄뇌반구 뇌졸중 환자들 중 유창성 실어증 환자 15명과 나이 및 성별을 고려한 정상 성인 15명을 대상으로 ‘흥부와 놀부’ 그림을 보고 이야기 만들기를 통해 이야기문법을 살펴보았다. 두 군 간에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점수 및 사용률, 완전한 에피소드 수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에서 환자군의 점수가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환자군은 중요 논항을 생략하거나, 주어와 서술어가 대응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또한 조사오류, 이름대기 오류, 결속표지의 부적절한 사용, 지나치게 많은 대용어 의 사용으로 인해 그 의미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았다. 둘째, 이야기문법 모든 하위범주별 점수에서 환자군의 점수가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두 집단 간 점수의 순위를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배경 범주가 가장 높았고 내적반응 범주는 가장 낮았다. 즉, 배경 범주는 가장 산출하기 쉽고, 내적 반응 범주는 산출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셋째,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사용률에서는 내적반응 및 반응 범주를 제외하고 환자군과 정상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환자군도 핵심적이고 명시적인 이야기문법 범주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내적반응 및 반응 범주와 같이 이야기 구성의 핵심적인 정보가 아니고 암시적인 정보를 사용하는 것에는 어려움을 보인다.넷째, 완전한 에피소드 수에서는 환자군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적은 완전한 에피소드를 산출하였다. 계기사건, 시도, 결과의 세 가지의 범주의 사용률이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세 가지 범주를 포함하는 완전한 에피소드 수에서 차이가 났던 이유는 환자군이 이 범주들을 고르게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맞물려 전개되어야 하나의 이야기가 완성된다. 그러나 환자군은 이를 고르게 사용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야기 전체의 흐름이 중단되었고 결과적으로 완전한 에피소드 수가 적게 산출되었다.본 연구에서는 ‘흥부와 놀부’ 이야기 만들기 과제에서 나타난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이야기문법 특성을 제시함으로서 이야기 평가 도구로서의 유용성과 이야기문법 특성의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임상 현장에서 유창성 실어증 환자나 회복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발화특성을 평가하거나 효과적인 중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는 유창성 실어증이외에도 비유창성 실어증을 대상으로 대형구조와 소형구조를 함께 비교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해본다.





[영문]
Files in This Item:
T01109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32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