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6 723

Cited 0 times in

실어증 환자의 그림설명과 동화이야기 과제간 품사 산출의 양상 비교

Other Titles
 The pattern of word class production between picture description and narrative tasks in aphasia 
Authors
 이승진 
Issue Date
2009
Description
언어병리학협동과정/석사
Abstract
[한글]자발화에서 겪는 단어 산출의 어려움은 실어증의 가장 두드러진 특성 가운데 하나이며, 그 양상은 실어증의 특성이나 자발화 과제 종류, 각 언어의 고유한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여러 실어증 유형에 걸쳐서 다양한 품사들의 산출 및 오류양상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좌뇌반구 뇌졸중 환자들 중 실어증을 보이는 55명의 환자와 25명의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자발화 과제를 통해 산출된 품사별 산출 및 오류 양상을 살펴보았다. 환자군은 정상군의 발화당 음절수를 기준으로 비유창군, 유창군, 과유창군으로 나누었다. 자발화 과제로는 ‘해변가’ 그림설명 과제와 6컷의 전래동화 ‘흥부와 놀부’ 그림을 보고 이야기하는 동화이야기 과제를 이용하였다. 각 과제별로 품사별 산출양상을 살펴보고, 각 군 간 품사별 산출비율, 오류율, 오류유형별 빈도수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군에 대해서 가장 높은 산출비율을 차지한 세 품사는 명사, 동사, 조사로 그 순위가 군과 무관하게 과제 간 부분적으로 일치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창군과 정상군은 명사, 조사, 동사의 순서를 보였고, 과유창군은 조사, 명사, 동사의 순으로 비율이 높았다. 비유창군의 경우에는 그림설명과제에서는 명사, 조사, 동사의 순이었고 동화이야기 과제에서는 동사, 명사, 조사의 순이었지만, 품사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자발화에서 품사 산출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할 때, 두 과제 중 어떤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품사별 산출빈도의 비율을 군 간 비교한 결과, 두 과제 간에 부분적으로만 유사한 양상이 나타났다. 대명사는 세 환자군이 두 과제 모두에서 정상군에 비해 많이 산출하였다. 그림설명 과제에서 환자군의 명사 산출은 정상군에 비해 더 적었던 반면, 과유창군은 수식언 및 독립언을, 비유창군과 유창군은 관계언을 정상군에 비해 많이 산출하였다. 동화이야기 과제에서는 과유창군이 관형사를 빈번하게 산출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것은 명사 산출에 어려움을 겪을 때 그에 선행하는 관형사를 반복하거나 대용어 오류를 보인 결과로 여겨진다.

셋째, 품사별 오류율을 군 간 비교한 결과, 오류의 양상은 과제 간에 상이하게 나타났다. 예컨대, 특히 동화이야기 과제에서 비유창군이 많은 오류를 보였다. 이는 동화이야기 과제가 그림설명에 비해서 다양한 통사론적 구조와 줄거리를 지닌 발화를 유도하는 과제이기 때문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산출 비율과 무관하게 오류율은 과제 간, 대상군 간 서로 달랐다고 판단된다.

넷째, 두 과제간 공통되는 오류유형은 음소착어와 대용어 오류였다. 그림설명 과제에서는 그 외에도 의미착어, 신조어, 미완성단어, 생략오류가 빈번하게 나타났다. 이는 그림설명 과제가 주어진 맥락에서 한정된 수의 사물이나 인물에 대한 이름대기 과제의 성격이 강하다는 점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 결과는 임상에서 흔히 이용되는 그림설명 과제와 동화이야기 과제에 대하여 품사 산출 및 오류 양상을 제시함으로써 자발화의 통사론적 특성 규명과 양적 분석의 토대 마련에 기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임상현장에서 실어증 환자의 유창성을 토대로 자발화의 단어 산출 양상과 오류유형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는 품사별 산출비율 이외에도 평균발화길이와 같은 다른 자발화의 양적 지표들에 대한 분석, 다양한 과제 제시 방법 간의 자발화 산출 양상 비교, 화용적 오류 특성 등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문]Impairment in word production during spontaneous speech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distinguishable characteristics of aphasic speech production and has been shown to depen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patient, language and task.

In this study, spontaneous speech samples using picture description task and narrative task of the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 ‘Heungbu and Nolbu’ were elicited and analyzed using 9 Korean word classes, three sentence components and nine error types. The proportions of frequencies and errors of each word class were compared between and within groups. The subjects were 55 Korean patients with aphasia and 25 normal Korean adults.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subgroups based on their fluency represented by syllables per utterance during the picture description task.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most frequently produced word classes were noun, verb and postposition and the orders were similar between tasks. Noun was followed by postposition and verb for fluent group and normal group, and postposition followed by noun and verb for hyper-fluent group in orders. For the hypo-fluent group, the result differed between task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word classes was not significant. A possible clinical implication of this is that either task can be used for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word production in aphasic patients' spontaneous speech.

Second, comparing the proportion of the word classes between groups, the modality of production was similar between tasks. All patient groups produced more pronouns than normal group in both tasks.

Third, the error pattern was divergent between groups. The difference was possibly caused by the fact that the patient groups had more difficulties in producing utterances with more complicated syntactic and narrative structure. Considering situations that need more linguistic or cognitive abilities than just a picture description, this result supports the usefulness of narrative tasks.

Fourth, common error types between tasks were phonemic paraphasia and substitution. There were more error types in picture description, for example, semantic paraphasia, neologistic paraphasia, word fragment and omi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narrative task can be used in clinical situations as a supplement to picture description task for assessing aphasic patients' spontaneous speech based on their fluency unbiased and accurately. In further studies, error patterns in various types of narrative tasks or other quantitative indexes such as mean length of utterance can be investigated.
Files in This Item:
T01080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26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