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7 581

Cited 0 times in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에 관한 의료인의 인식도

Other Titles
 (A) perceived level of preparedness amongst healthcare workers for pandemic influenza 
Authors
 박영실 
Issue Date
2009
Description
보건정책관리전공/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의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우리나라 의료인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요인과 진료특성 요인이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에 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에 관한 의료인의 전반적인 인식을 확인함으로써 정부의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 관리 계획 수립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국내 개원의원, 보건(지)소?의료원, 종합전문병원에서 근무하는 의료인 771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 중 부실한 응답을 제외한 242부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진료특성을 독립변수로 설문내용을 종속변수로 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통해 각 변수간의 응답율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단계적 후진 선택법에 의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각 설문의 응답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12.0 for Windows를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1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시 진료지속 의향에 대한 분석에서 개인의원을 준거범주로 보건(지)소?의료원의 의료인의 OR이 0.365로 나타났으며 필요물자 부족시 진료지속 의향은 개인의원을 준거범주로 보건(지)소?의료원, 종합전문병원의 OR이 각 각 0.415, 0.435로 나타났다.

근무지역의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 필요물자 비축수준은 서울지역을 준거범주로 기타 지역의 OR이 0.272로 나타났다.

정부의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 수준에 대해 ‘부정적응답’이 93.4%로 나타났으며, 정부의 지원 중 가장 원하는 분야는 ‘개인보호장비 등 물자 지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에 대한 인지도는 보건(지)소?의료원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기타 지역은 대유행 대비를 위한 비축물자 준비도 충분하지 못하였다. 또한 의료인들은 정부의 대비 수준에 대해서 매우 부정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 및 홍보와 필요물자 지원 방안 등 정부의 정책 대안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preliminary data for the pandemic influenza control plan of government, by analyzing the factor tha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linic type of healthcare worker affect perception for pandemic preparedness and by identifying general perceived level of preparedness amongst healthcare workers for pandemic influenza.

Data was collected from 771 general practitioners, public health workers, healthcare workers in medical centers and general hospitals. They did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 received 247 out of 771, and 5 of 247 were excluded because of poor answers. Data analysis were perform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of answer rate between each variable through analyzing frequency and crosstabulation about independent variable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linic type and dependent variable with questionnaire contents. A variable affects to answer for each question was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of stepwise backward elimination method. Data was analyzed by SSPS 12.0 for windows with 0.1 of significant level.

For the analysis of acceptance of consultation during pandemic influenza, OR for healthcare worker in public health center and medical center based on personal hospital is 0.365. For the analysis of acceptance of consultation during the shortage of materials, OR for healthcare worker in public health center and medical center based on personal hospital is 0.415. OR for general hospital is 0.435.

For the level of material stockpiling for pandemic influenza in workplace, OR for the other area based on Seoul area is 0.272.

For the level of preparedness for pandemic influenza of the government, 'Negative answer' was 93.4%. 'Support of materials such a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was the most wanted part of government support.

The perceived level of risk for pandemic influenza was low at public health centers and medical centers in this study, and the preparedness of stockpiling materials in the other area was insufficient. In addition, healthcare workers generally perceived on the level of pandemic preparedness of the government. Government policies such as systematic training, public information and supporting necessary materials are measures that should be taken to help alleviate such problems.
Files in This Item:
T01072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25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