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4 814

Cited 0 times in

항암화학요법 후 응급실에 내원한 패혈증 중증군과 경증군의 위험요인 비교분석

Other Titles
 (A) comparison of risk factors between severe and mild sepsis groups among the patients who visited an emergency deparment 
Authors
 이은희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응급간호전공/석사
Abstract
[한글]

패혈증은 현대 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병원 내 높은 사망률을 초래하며 그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패혈증은 조기에 인지하고 초기 소생처치를 시행하는 것이 패혈증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이며 패혈증을 조기 인지하는 것은 환자의 예후에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 후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패혈증 중증군과 경증군의 위험요인을 비교분석하여 항암화학요법 후 이환될 수 있는 중증 패혈증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으며, 2007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항암화학요법 후 응급실에 내원한 패혈증 중증군 134명과 경증군 134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의무기록의 검토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8.0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패혈증 중증군과 경증군의 평균 연령은 59.5세이며 남자가 1.2배 정도 많았다. 교육수준, 음주력, 흡연력은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종양과 종양 외 기저질환은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원인도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항암화학요법의 차수와 항암화학요법 경과일은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초기 주증상과 주증상 발생 경과일은 두 군에서 유의- ⅳ -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내원시 활력징후 중 수축기압, 이완기압, 산소포화도는 패혈증 중증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심박동수, 호흡수는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패혈증 중증군 중 응급실 내원 후 저혈압이 발생한 경과시간은 평균 6.3±5.9 시간으로 나타났다. 의식상태는 패혈증 경증군에서 명료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내원 후 의식 변화는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초기 임상검사결과 중 WBC, SGOT, creatinine, CRP, lactate는 패혈증 중증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두 군의 기타 임상검사결과에서 혈액배양검사는 패혈증 중증군에서 양성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항암화학요법 후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중 증증 패혈증으로 이환될 수 있는 여러 위험요인 중 활력징후에서는 수축기압, 이완기압, 심박동수, 호흡수, 산소포화도는 중증 패혈증에 대한 유의한 위험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임상검사 중 WBC, SGOT, creatinine, CRP, lactate가 상승된 경우도 중증 패혈증 이환의 위험을 고려하여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영문]

Although the modern medicine has developed, sepsis causes high mortality and the prevalence of sepsis increases every year. Early identification and resuscitation therapy of sepsis is the best effective therapy for preventing the progress of sepsis. Therefore, early identification of sepsis is important for the convalescence of the pat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isk factors of severe sepsis which could ease up with chemotherapy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severe sepsis group and mild sepsis groups who visit the emergency department after chemotherap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medical records which are based on the emergency department visited patients after chemotherapy from January 1, 2007 to December 31, 2007 and chosen with 134 patients in the severe sepsis group and 134 patients in the mild sepsis group.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sed by SAS 8.02 program.

The result is as followed;

1. The average age of severe sepsis group and mild sepsis group was 59.5 years and male patients were 1.2 times more than female pati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educational, alcohol drinking and smoking experience.

2. The result has show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ncer and other diseases. Furtherm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ectious causes between the two groups.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s of treatment of chemotherapy and the passage of time after chemotherapy.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itial symptoms and the passage of time in which the main symptoms are revealed. But the initial vital signs were shown that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oxygen saturation were relatively low and heart rates and respiratory rates were relatively high in the severe sepsis group. The passage of time which hypotension developed after hospitalized in severe sepsis group was average 6.3±5.9 hours. As for consciousness, mild sepsis group showed evidently higher leve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f mental statues in both group after being hospitalized.

5. In the initial laboratory data WBC, SGOT, creatinine, CRP, lactate showed relatively high in the severe sepsis group. And severe sepsis group showed higher frequency of positivity in the blood culture.

This study reach the conclusion as followed. Among the emergency department visited patient after chemotherapy, the risk factors which may develop to severe sepsis ar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heart rates, respiratory rates and oxygen saturation in vital sings. And the increase of WBC, SGOT, creatinine, CRP, lactate in laboratory data also significant risk factors which can lead to the severe sepsis condition. As a result, continuous observation concerning with the risk factors revealed as significant in above is required for preventing the progress of sepsis.
Files in This Item:
T01047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19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