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48 951

Cited 0 times in

프로락틴 분비 선종 환자를 위한 교육자료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education material for patients with a prolactinoma 
Authors
 박하영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중환자간호전공/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프로락틴 분비 선종 환자의 질병 및 치료에 대한 이해와 퇴원 후 건강유지, 합병증 예방을 위한 구조화된 교육 내용을 소책자로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프로락틴 분비 선종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해 파악된 15개의 교육 요구 항목을 기초로 총 26개의 교육 요구 항목을 개발하여 2008년 4월 1일부터 5월 30일 까지 서울 소재의 1개 종합병원의 신경외과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100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어떤 내용을 교육받기 원하는지에 대한 교육 요구를 조사하여 교육 요구가 80%이상인 항목을 교육 내용 개발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항목에 대한 예비 교육내용을 작성하여 10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각 항목에 대한 내용 타당도를 파악하여 내용 타당도(CVI) 0.8 이상인 항목을 선정하였고, 추가 항목에 대한 내용을 보완하여 최종 교육 내용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프로락틴 분비 선종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한 교육 요구 항목은 정의, 크기에 따른 분류, 발생율, 원인, 증상, 프로락틴 수치를 증가시키는 다른 원인, 진단, 약물치료, 수술치료, 방사선치료, 수술 후 관리, 수술 후 합병증, 프로락틴 분비 선종과 임신, 의사에게 연락해야 되는 증상, 프로락틴 분비 선종과 골다골증의 위험성에 대한 내용으로 파악되어 이를 기반으로 대상자 교육 요구도 조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2. 프로락틴 분비 선종의 교육 요구를 조사한 대상자의 연령대는 30대가 39.0%로 가장 많았으며 프로락틴 분비 선종 진단 전 나타난 증상으로는 무월경이 46.0%로 가장 많았다.

교육적 요구가 80%이하로 낮게 나타나 교육 내용 개발에서 제외된 항목은 '프로락틴 분비 선종의 발생률'에 대한 1항목 이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예비 교육내용을 작성하여 각 항목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내용타당도지수(CVI) 평균이 0.80 이하인 '프로락틴 분비 선종의 원인', '뇌 전산화 단층촬영', '방사선 치료' 의 3항목을 교육 내용 개발에서 삭제하였으며 추가 항목에 대한 요구가 있어 '질병 관련 사이트' 1항목을 추가하였다.

3. 최종 교육 내용은 5개 영역 23개 항목으로 다음과 같았다.

뇌하수체 정의 영역에 대한 2 항목, 프로락틴 분비 선종 영역에 대한 3항목, 프로락틴 분비 선종의 진단 영역에 대한 2항목, 프로락틴 분비 선종의 치료 영역에 대한 6항목, 퇴원 후 자가관리 영역에 대한 10항목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육 내용은 프로락틴 분비 선종 환자의 질병, 치료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퇴원 후 효율적으로 자가관리의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합병증예방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ducation material for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a prolactinoma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the disease, treatment and health maintenance after discharge.

In all, 26 educational items regarding prolactinomas were identified through a systematic review using a computer database search. The participants for the pilot survey, which was done from April 1 to May 30, 2008, were 100 patients with a prolactinoma from the neurosurgery clinic of one general hospital in Seoul, Korea. The pilot study showed that more than 80% of the participants had educational needs. The items that were identified from the search findings and the patient pilot survey, were validated by a group of 10 specialists composed of doctors and nur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

1. The educational items found from the review search on prolactinoma were disease definition, classification, incidence, reasons, symptoms, other cause of high blood prolactin level, diagnosis, medical treatment, surgery, radiation therapy, post operative care, post operative complications, prolactinoma and pregnancy, important symptoms for which the physician needs to be notified and prolactinoma and risk for osteoprosi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identify patient demands for education.

2. For the pilot study, 100 female patients with a mean age of 30 years participated in a survey. Amenorrhea was the most common symptom before the diagnosis of a prolactinoma (n=46, 46%). The item 'incidence of prolactinoma' did not meet the 80% level for education needs and was excluded from the questionnaire.

3. Ten specialists validated appropriateness of content. Three items 'Cause of prolactinoma', 'Brain CT', and 'Radiation therapy', which had a CVI < 0.80, were excluded from the final questionnaire. However, one item'Disease-related web sites' was added following expert advice.

4. The final education items included 5 domains and 23 items as follows; pituitary definition domain, 2 items, prolactinoma definition domain, 3 items, diagnosis of prolactinoma, 2 items, treatment of prolactinoma, 6 items, and post-hospitalization self care, 10 items.

In conclusion, educational items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provide prolactinoma patients with an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disease and effective self car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 decrease in prolactinoma related complications and improve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a prolactinoma.
Files in This Item:
T01040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18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