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747

Cited 0 times in

산업재해 입원환자의 가정간호 인지도 및 요구도

Other Titles
 industrial disaster inpatients' recognition and demand about home health care 
Authors
 김미성 
Issue Date
2008
Description
가정간호전공/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가정간호의 활성화로 대상자의 범위가 확대되어 2007년부터 산재환자가 가정간호 이용시 보험 적용이 되었으나 현재까지 이용률이 저조하여 산업재해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가정간호 인지도 및 이용의사와 가정간호 요구도를 파악하여 가정간호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 일 산재의료기관에 산업재해로 입원한 환자 중 퇴원대상자 1군과 가정간호대상자 2군인 134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대상자는 본인이,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대상자는 보호자가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자료는 2008년 4월 15일부터 4월 30일까지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와 ANOVA, Chi-squar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52세로 남자가 90.3%이며 주간호제공자는 배우자가 53. 7%, 간병인이 28.4%였다. 설문지는 환자가 62.7%, 보호자가 37.3% 응답하였다.

신체장애 유형은 뇌손상(44.8%), 척수손상(40.3%), 골절(37.3%), 절단(17%)순 으로 나타났다. 특수기구 사용은 휠체어(71.6%), 도뇨관(26.9%), 흡인기구와 기 관절개 튜브가 각각 16.4%, 위관과 목발 또는 지팡이가 각각 13.4%, 산소용기 (9%), 의수족(6.7%) 순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통증이 있다는 79.9%, 욕창이 있 다는 18.7% 였으며, 물리치료를 받는 경우는 80.6%였다.

진료과는 재활의학과가 31.3%로 가장 많았고, 정형외과 19.4%, 신경과 18.7%, 신경외과 14.2%순이었다. 평균 재원일수는 593일이며 1년 미만이 38.1%, 3년 이상도 17.2%를 차지하였다. 퇴원시의 문제점에서는 신체적, 정서?사회 적, 경제적 순으로 높게 나왔으며 대부분 신체적으로 아직 충분히 치료되지 않았다가 92.5%, 물리치료를 받고 있다가 80.6%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정서?사회적인 문제로 집에서의 간호나 상태에 대한 불안이 70.1%, 통원치료 가 어려움이 65.6%로 높게 나타났으며 경제적인 면에서는 아직 보상이 해결 되지 않았다가 22.4%로 가장 높게 나왔다.

2. 가정간호 인지도는 64.9%였으나 가정간호 이용시 산재보험 적용이 된다는 사 실을 모른다가 70.8%로 높게 나타났다.

3. 가정간호 필요도는 58.2%였으며 가정간호 이용의사는 52.2%였다. 가정간호를 이용하겠다는 주요 이유로는 주치의와 협의 하에 간호를 해주고 질병을 계속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가 41.8%로 가장 많았으며 이용하지 않겠다는 이유 로는 물리치료를 받아야 함으로가 30.6%로 가장 많았다.

가정간호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미응답한 10명을 제외한 124명이 응답하였으 며 투약 및 주사(43%), 기본간호(35%), 검사 및 의뢰(34%), 교육 및 훈련 (30%), 치료적 간호(26%) 순으로 높게나왔다.

4. 가정간호 이용의사는 통증, 골절, 휠체어, 흡인기구, 기관절개튜브 유무와 일 상생활 수행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가정간호 요구도는 의사소통 유무에서 기본간호, 교육 및 훈련, 치료적 간호영역에서, 통증이 있다가 치료적 간호영역에서 요구도가 유 의하게 높았다. 신체장애 유형에서는 뇌손상과 골절에서 기본간호, 치료적 간호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수기구 사용에서 목발이나 지팡이는 기본간 호에서, 흡인기구에서는 기본간호, 교육 및 훈련, 치료적 간호에서, 위관은 치료 적 간호에서, 기관절개술 튜브에서는 치료적 간호, 검사 및 의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 진료과에 따라서는 신경외과에서 각 영역별 요구도가 가장 높은 반면 정형외과에서의 요구도가 가장 낮았고, 기본간호, 교육 및 훈련, 치료적 간 호에서 진료과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정간호 이용의사에서는 투약 및 주사 영역에서, 입원 필요성에서는 검사 및 의뢰, 투약 및 주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일상생활 수행정도에 따라 5개의 각 간호영역에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 다.

위와 같은 결과를 비추어 볼 때 산재환자들을 대상으로 가정간호사업을 성공 적으로 운영해 나가기 위해서는 우선 가정간호에 대한 내용과 산재환자가 이용시 산재보험이 적용된다는 것에 대해서 적극적인 홍보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가정간호 요구도가 높았던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신경과, 비뇨기과 환자를 대상으로 신체의 이상여부, 문제확인, 관절운동 및 교육, 회복촉진과 합병증 예방을 위한 상담, 보건교육 및 건강관리, 검사의뢰 등 차별화된 가정간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산재환자들은 물리치료에 대한 요구도가 높고, 퇴원시 신체장애로 물리치료 받기 위해 통원치료가 힘들어 장기입원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산재환자의 방문 물리치료가 법제화가 이루어져 가정간호와 함께 이루어진다면 환자의 건강유지와 합병증 예방으로 대상자 만족도를 충족시키고, 장기입원을 줄여 국민의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영문]

This research has its purpose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activate the home health care by figuring out industrial disaster inpatients' recognition of the home health care, intention of the use and home health care demand as the objects of the home health care are expanded with its activation and the industrial disaster patients are covered by the industrial insurance in the use of the home health care since 2007 but the using ratio is still low up to now.

The research targets a total of 134 persons of discharging objects and home health care objects out of the patients who were in the industrial disaster medical institutions from the industrial disaster in Incheon area, and the persons themselves, in case of the objects capable of communication, and the guardians in case of the objects incapable of communication, filled up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5, 2008 to April 30,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actual numbers,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Chi-square,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WIN 12.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objects marked 52, out of whom men held 90.3%, and the main care-providers showed 53.7% in the spouses, and 28.4% in caregivers. 62.7% of patients and 37.3% of guardians replied to the questionnaire.

2. The recognition level of home health care marked 64.9%, but 'Not know the fact that the industrial disaster insurance covers the home health care' expressed a high ratio of 70.8%.

3. The home health care demand marked 58.2%, while the intention to use the home health care showed 52.2%. In the question of the main reason for the use of the home health care, 'Can take care under the consultation with the family doctor and manage the diseases effectively' marked 41.8%, the highest, and in the question of the reason of the non-use, 'Because of the physical therapy' marked 30.6%, the highest.

As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the home health care case demand, 124 patients replied except for 10 persons of non-reply, and the order of the marks from the highest expressed medication and injection(43%), basic nursing(35%), exam and request(34%), education and training(30%), curative nursing(26%).

4. The intention to use the home health care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ache, fracture, wheel chair, suction instruments, tracheotomy tube and the daily living performance extent.

The home health care case demand according to objects' characteristic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ommunication in the areas of basic nursing, education and training, curative nursing, and the extent of pain and daily life performance, in the area of curative nursing. The types of bodily handicap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reas of basic nursing and curative nursing in cerebral damage and fracture. In the question of special instruments, crutches or a cane showed a meaningful gap in basic nursing, suction tools in basic nursing, education and training, curative nursing, gavage in curative nursing, tracheotomy tube in curative nursing, examination and request. As for the treatment section, neurosurgery showed the highest demand in each area, whereas orthopedics marked the lowest demand, and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by the treatment section in basic nursing, education and training, curative nursing. The intention to use the home health care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medication and injection area, and the necessity of hospitalization showed it in examination and request, medication and injection.

In view of the results as above, in order to operate the home health care targeting industrial disaster patients successfu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ositive publicity activity first about the content of home health care and the coverage of the industrial disaster insurance in the use of industrial disaster patients. In addition, we have to provide the home nursing service differentiated based on the difference of the demand level by the nursing area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argeting the patients of neurosurgery, rehabilitation medical section, department of neurology, urological section which had a high level of the home nursing demand. Herewith, if the physical therapy is applied with the home health care, we can enhance the object patients' satisfaction, reduce a long-time hospitalization, lift the sickbed turnover and reduce national medical expenses thanks to the effects of industrial disaster patients' health maintenance and prevention of complication etc.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72699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17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