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6 538

Cited 0 times in

응급의료비용 미수금 대불제도 이용 관련 요인

Other Titles
 Factors related to the use of the financial supporting system of unpaid bills for emergency medical treatment 
Authors
 소한나 
Issue Date
2008
Description
간호학교육 전공/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응급대불제도를 이용하는 의료기관의 응급대불제도 이용실태와 인식을 살펴보고, 응급대불제도 이용과 관련된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서, 향후 응급대불제도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에 있어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06년에 응급대불제도를 이용한 의료기관 중 현재 운영중인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전수 206개 기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예비조사를 통해 작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07년 10월 22일부터 11월 16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총 112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도구는 선행논문과 문헌고찰을 기초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응급대불제도 이용에 대한 인식 도구와, 응급대불제도 이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응급의료비용 미수금 대불금 접수, 지급 및 상환 실적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program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달 평균 응급실 내원 환자수 중 미수 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5% 미만이 전체의 72.4%를 차지하였고, 전체의 69.7%에서 미수 환자로 인한 운영상의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2) 응급실 이용 인원수 대비 응급대불 청구 건수는 병원은 0.24%, 종합병원은 0.33%, 종합전문병원은 0.20%로, 1달 평균 응급실 내원 환자수 중 미수 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1% 이상이 62.6%라고 한 것에 비해 실제 응급대불청구 건수는 미미했다.

3) 응급대불제도 이용에 대한 인식 정도는 재이용 의사 평균이 13.16점(범위: 4-16)으로 가장 높았는데, ‘응급대불제도에 대한 청구방법의 개선, 청구 범위 등의 개선 방안이 마련된다면 응급대불제도에 적극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총 99.1%로 조건부적 재이용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만족도(평균: 9.43점, 범위: 3-12), 지식정도(평균: 7.61점, 범위: 0-10), 장애정도(평균: 7.61점, 범위: 0-11), 유용성(평균: 8.04점, 범위: 3-12) 순으로 나타났으며, 편리성은 평균 15.23점(범위: 6-24)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4) 장애정도 중 ‘응급증상이 끝날 때까지만 대불 대상이 되므로, 이후의 진료비는 여전히 미수금으로 남게 된다.’가 96.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선택진료료’, ‘상급병실료차액’ 은 신청 불가능하다.’, ‘‘응급증상 또는 이에 준하는 증상’의 범위가 제한적이다.’ 순으로 장애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5) 편리성 문항 중 ‘대불청구에 필요한 서류 작성에 소요된 시간은 적당하였다.’ 가 총 64.3%에서 불편하다고 응답하여 가장 낮은 편리성을 나타냈다.

6) 소재지와 대불청구자의 업무 경력은 지식과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소재지 F=2.77, p=.05, 대불청구자의 업무 경력 F=9.85, p=.00), 대불청구자의 업무 경력은 장애정도와도 통계적으로 유의했다(F=4.16, p=.01). 하지만 편리성, 유용성, 만족도, 재이용 의사는 일반적 특성과 관련이 없었다.

7) 편리성, 유용성, 만족도, 재이용 의사는 서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장애정도는 편리성, 유용성, 만족도, 재이용 의사와 모두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만족도와 재이용 의사가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r=.69, p=.00)를 나타냈고, 두 번째로 유용성과 만족도(r=.58, p=.00), 세 번째로 유용성과 재이용 의사(r=.54, p=.00)가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편리성과 장애정도는 가장 높은 부적 상관관계(r=-.44, p=.00)를 나타냈고, 장애정도는 만족도와 재이용 의사와도 부적 상관관계(만족도 r=-.30, p=.00, 재이용 의사 r=-.31, p=.00)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볼 때, 응급대불제도 이용현황은 그 필요성에 비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대불제도 재이용 의사 영역의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장애 요인 등의 개선 시 적극 참여하겠다.’는 조건부적 재이용 의사가 높게 나타난 바, 응급대불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장애 요인의 개선이 시급하며, 응급대불제도 이용의 편리성과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개선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use and recognition of the financial supporting system of unpaid bills for emergency medical treatment at medical institutions and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related to the use of the system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in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activating the system in the future.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206 medical institutions which have experienced the financial supporting system of unpaid bills for emergency medical treatment as of 2006.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using questionnaires completed through a pretest from October 22 to November 16, 2007, with a total of 112 copies used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prior researches. Payment data were collected by re-analyzing existing dataset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Data were analyzed as real numbers, percentag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an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ose institutions which had less than 5% of the first-aid patients fail to pay a bill on the monthly-mean basis formed 72.4% of all; 69.7% were having operational difficulties due to those patients with unpaid bills.

2) While 62.6% had 1% or more of all first-aid patients―0.24% for hospitals, 0.33% for general hospitals, and 0.20% for general special hospitals―called upon to pay a bill for emergency medical treatment, there was just a small number of demands for paying a bill for emergency medical treatment.

3) As for recognition of the use of the financial supporting system of unpaid bills for emergency medical treatment, the intention to use it again got the highest mean of 13.16(ranging from 4 to 16), showing high intention to use it again on the conditional basis with a total of 99.1% ‘willing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 system if improvement schemes for methods and ranges of the demand for the system are established.' It was followed by satisfaction(9.43 on the average; ranging from 3 to 12), the amount of knowledge(7.61; ranging from 0 to 10), the degree of disorder(7.61; ranging from 0 to 11), usefulness(8.04; ranging from 3 to 12), and convenience(15.23; ranging from 6 to 24).

4) As for the barriers, ‘since the target for paying a bill remains just until the end of an emergent symptom, the subsequent medical fees remain unpaid' formed the highest rate of 96.4%, followed by ‘it is possible to apply for ‘optional medical fees' or ‘the balance of upper-class room fees'’ and ‘‘emergent symptoms or equivalents' have a limited range.'

5) For appropriateness of ‘time spent on completing necessary documents to apply for payment of a bill,' a total of 64.3% complained that it was inconvenient, the lowest level for convenience.

6) Location and working career of demanders for bill-paymen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knowledge(F=2.77, p=.05 for location; F=9.85, p=.00 for working career of demanders for bill-payment) and their working career also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barriers(F=4.16, p=.01).

7) Convenience, usefulnes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agai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the degree of barriers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of convenience, usefulnes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again.



To put these results together, the present use of the financial supporting system of unpaid bills for emergency medical treatment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as compared with its need. While there was high recognition in the area of intention to use the system again, it was on the conditional basis, such as ‘willingness to participate actively with improvement in disorder factors, etc.'; therefore, it is most of all urgent to improve disorder factors in order to activate the system, along with an effective improvement scheme to improve convenient use and usefulness of the system
Files in This Item:
T01017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14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