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48 1054

Cited 0 times in

일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의 소아환자 실태분석

Other Titles
 Utilization statu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of pediatric patients 
Authors
 전혜진 
Issue Date
2007
Description
응급간호전공/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하는 소아환자의 일반적 특성 및 주 호소, 진료결과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소아 응급환자를 위한 효율적인 응급의료 서비스를 계획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본 연구는 2006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일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에서 진료를 받은 만 13세 이하의 소아 환자의 의료기록을 대상으로 하는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구성한 정보조사지로 대상자 특성 2문항, 내원과정 관련요인 5문항, 체류시간 관련 3문항, 진료결과 관련 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진료를 취소하거나 당일 재내원을 제외한 21,246명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였으며, 체류시간과 관련해서는 퇴실 시간이 누락된 기록을 제외한 19,766명을 분석하였다. 선정된 자료는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남아가 58.4%로 남아의 비율이 높았고, 내원 소아의 평균연령은 3.97세이며, 1세-3세군이 51.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1세 이하는 5.16%로 가장 적었다.2. 내원 경로는 직접 내원하는 경우가 83.5%, 외부에서 전원 8.7%, 외래에서 의뢰 7.9%순이었다. 전체 소아 내원 환자 중 3.7%가 119 구급차를 이용하였다.3. 내원사유로는 비외상성 질환이 15,122건으로 71.2%를 차지하였으며, 외상성 질환으로 내원한 경우는 6,124건으로 28.8%였다. 외상성 질환의 원인이 되는 손상기전은 둔상에 의한 손상이 56.27%로 가장 많았다.4. 시간대별 내원분포는 오후 3시부터 11시까지 전체 응급실 소아환자의 49.3%가 내원하여 가장 높았다.5. 발열은 전체소아 내원환자의 24.38%의 비율을 차지하며 1년간 5,180명으로 가장 많이 내원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두부 및 안면부 열상, 구토, 복통 및 복부 불편감, 기침, 사지통증이나 팽만, 두경부 통증이나 팽만, 피부발진, 경련의 순으로 내원하였다.6. 응급실 소아 환자가 주 진료과의 주치의를 만나기까지의 시간과 체류시간의 평균치는 각각 17분 6.35초, 3시간 22분 22.27초였다.7. 주요 주호소의 체류시간 평균은 사지통증 및 부종, 열상(두부/안면부), 두경부 및 안면부 통증, 복통 및 복부 불편감, 발열, 기침, 구토의 순서였다.8. 소아 응급환자를 진료하는 주진료과는 소아과가 68.7%로 가장 많았으며, 응급의학과 14.4%, 성형외과 7.0%, 정형외과 2.6%, 치과 2.4%였다.9. 내원환자의 79.3%는 퇴원하였으며, 20.1%가 입원하였다. 0.2%에 해당하는 41명의 소아 환자가 수술실을 거쳐 입원하였으며, 무호흡으로 내원하거나 응급실에서 사망한 소아 환자는 12명으로 0.1%의 비율을 보였다.10. 입원 질환의 이유는 기침, 발열, 구토, 복통 빛 복부 불편감의 순서였고, 외상성 질환인 두부나 안면부의 열상, 사지통증과 부종, 두경부 및 안면부 통증은 각각 0.8%, 9.6%, 2.9%로 입원율이 비교적 낮았다.본 연구의 결과를 고려하면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비 외상성 문제를 관리할 수 있는 응급실 전문 간호사의 교육과 배치를 통해 응급실을 내원한 아동과 부모의 대기 시간의 단축과 함께 응급실의 효율적인 운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research was to describe utilization statu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of pediatric patients at one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located in Seoul. Data were obtained from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under 13 years of age visited emergency room form January 1 to December 31, 2006. Analysis was done to describ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hief complaints, outcomes of the visits, and waiting time.Total 21,246 medical record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except analysis of waiting time. Medical records missing the discharge time was excluded in the analysis of waiting time, which resulted in 19,766 case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4.0 version.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lightly more boys (58.4%),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3.97 years old. More children at the age of 1-3 years (51.3%) visited ER than any other age group and 5% of samples were children under 12 months of age.2. Eighty three percent was direct visit to ER, 8.7% was transfer from another hospital, 7.9% was from outpatient department, and 3.7% used 119 service.3. Non-traumatic cases were 15,122 people (71.2%) and, traumatic injury cases were 6,124 (28.8%).4. Almost half of samples visited ER between 3 pm to 11pm (49.3%).5.Fever was the most frequent complaint: 5,180 cases (24.38%). The other complaints were head or facial laceration (10.55%), vomiting (9.63%), abdominal pain and discomfort (8.06%), cough (7.67%), limb pain or swelling 6.34%), head and neck pain or swelling (3.54%), skin rash (3.54%), and seizure (3.20%).6.Average waiting time before the first medical examination was 17 minutes, and average of total time of the visit was 3 hours and 23 minutes.7.Average time of visit according to the chief complaints was limb pain & swelling(1 hour 35 minutes), head or facial laceration(1 hour 51 minutes), head & neck or facial pain(1 hour 52 minutes), abdominal pain & discomfort(3 hours 47 minutes), fever(4 hours), cough(4 hours 29 minutes), vomiting(4 hours 52 minutes).8.Almost 80% of samples was discharged. Immediate surgery was required for 0.2% of samples and 12 children (0.1%) were dead in ER or DOA.9.Complaints of admitted cases were cough (56.3%), fever (28.1%), vomiting (19.1%), abdominal pain & discomfort (14.8%), head or facial laceration (0.8%), limb pain & swelling (9.6%), and head & neck or facial pain (2.9%).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assign a nurse specialist in pediatric ER to provide more efficient care for the pediatric patients. Also, extra staff assignment during the evening shift or extending office hours of local pediatricians to assist working mothers.
Files in This Item:
T01001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11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