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82 790

Cited 0 times in

질병 및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자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nfluence of diseases and socioeconomic factors in suicide 
Authors
 문기태 
Issue Date
2007
Description
보건학과/박사
Abstract
[한글]자살은 2004년 우리나라 20, 30대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는 중요한 보건학적문제이지만 암과 같은 다른 사망원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이 낮은 분야이다. 그러나 자살에 대한 관리와 예방을 위해서는 우리나라 자료를 이용한 관련요인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연구대상은 2004년 우리나라 자살자 11,523명 전수를 이용하고 여기에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대상자 중, 성과 연령을 10배수로 짝짓기한 115,230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환자-대조군연구(case-control study)를 실시하였다. 의료이용자료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자살군의 경우 자살 전 1년간의 자료를, 대조군의 경우 2003년 7월에서 2004년 6월까지의 1년 동안의 의료이용자료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변수는 성, 연령, 거주지, 경제적 수준, 정신질환 유무, 암유무, 의료기관방문 경험 및 횟수 등이었고 기술분석과 단순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뒤에 최종 분석에 포함된 변수는 거주지, 소득수준, 정신질환 유무, 암유무의 네 가지 변수였다.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결과 거주지역, 경제적 수준, 정신질환유무, 암유무 등은 모두 자살과 연관성이 있었다. 거주지의 경우 대도시보다는 중소도시나 농촌에 거주하는 경우 자살의 가능성이 높았으며 소득수준은 낮은 경우, 정신질환 또는 암이 있을 경우 자살할 가능성이 높았다. 성별․연령별로 구분하여 다시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경우에는 정신질환만이 자살에 영향을 주었으며 청년층에서는 정신질환과 경제적 수준, 중년에서는 4가지 변수 모두가 영향을 주었다. 노년층에서는 정신질환과 암은 남녀모두에서 영향이 있었으나 남자에서는 경제적 수준이 여자에서는 거주지가 영향을 주었다. 자살에 영향을 주는 정신질환 중 가장 영향이 크다고 알려진 정신분열증, 알콜남용, 양극성 장애는 모든 연령대에서 자살에 영향을 미치지만 교차비는 연령대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건강보험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므로 자살과 관련된 영향인자를 모두 고려하지 못했지만, 우리나라 2004년 한 해 자살자 전수 자료를 이용하여 이들의 의료이용과 인구학적 특성을 분석했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자살자 관리 및 예방과 관련된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Suicide is major public health problem in Korea. But social interest is lower than other cause of death. Preventing suicide and managing risk factors in Korea, it is needed to analyze Korean data.The study design was case-control study. Data was obtained from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and national statistical data. The number of suicide person was 11,523 and 10 times matched control persons were 115,230 from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medical aids beneficiary. Medical use of case group is 1-year before death and control group is from July 1. 2003 to Jun 30. 2004. Useful variables were sex, age, address, economic status, psychiatric disease, cancer, and medical use. Finally four variables -address, economic status, psychiatric disease, and cancer- were used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s. The major three psychiatric diseases which is schizophrenia, alcohol abuse and bipolar disorders are meaningful in all age groups, but the scale of odds ratio is quite different by age group.The result shows that address, economic status, psychiatric disorder, and cancer influence suicide behavior. Living in city or in rural areas is more risky than in metro city. Low economic status, psychiatric disorder, and cancer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risk factor in suicide. When data were analyzed by age and sex, only psychiatric disorder is meaningful in adolescent group, psychiatric disorder and economic status are in young adult, all variables are in middle age. Psychiatric disorder and cancer is meaningful in elderly group, but economic status is in male and address is in female.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due to limitation of variables from national health data. But, the strength of this study is that whole suicide victims and their medical use data in Korea are included. In the future this study result could be used in making health policy to prevent suicide.
Files in This Item:
T00964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04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