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65 1704

Cited 0 times in

일반인에 의한 심폐소생술 활성화 방안

Other Titles
 Plan for activation of CPR by laypersons : centered on training and legal support : 교육 및 법적 뒷받침을 중심으로 
Authors
 김숙향 
Issue Date
2007
Description
보건의료법윤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응급상황에서의 심정지는 예측이 불가능하고, 또한 심정지 발생 후 4~6분이 경과하면 치명적인 뇌 손상이 일어나므로, 환자발생 현장에서 목격자에 의한 조기 심폐소생술의 시행여부가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좌우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현장에서의 기본심폐소생술이 실시 될 수 있도록 일반인들에게 교육과 홍보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 및 자동제세동기의 사용에 대한 인식ㆍ태도 및 활성화 방안을 알아봄으로써 교육받은 일반인들이 적극적으로 구호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정책 입안 및 관련 입법을 제안함에 있어 근거 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 소재의 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비 의료인들로 미국심폐소생협회 BLS(basic life support) instructor 자격증을 가진 간호사에게 이론과 실기가 혼합된 교육을 이수 받은 사람들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문헌 고찰과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받은 후 수정,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2006년 10월 23일부터 11월 1일까지 본 연구자가 직접 배포∙수거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실수, 백분율, chi square test, ANOVA로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우리나라에서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이나 수행이 보편화 되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94.5%에서 ‘그렇지 않다’라고 부정적 응답을 하였다. 보편화 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로는 ‘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 및 홍보 부족’이 61.0%로 조사 되었다. 심폐소생술 교육은 전체 대상자 중 98.6%에서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심폐소생술 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학교 교육의 의무화(68.9%)가 가장 우선되어야 한다고 조사되었다. 둘째, 가족의 심정지 목격 시 89.5%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한다고 응답하였으나 타인의 심정지 목격 시에는 56.7%만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다고 응답하였다. 심폐소생술의 효과적인 활성화 방안으로는 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55.9%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일반인에 대한 자동제세동기의 교육은 46.4%가 ‘적절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자동제세동기의 활성화 방안으로 자동제세동기의 교육 및 홍보’가 56.0%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구호행위가 법으로 명시되어야 한다는 의견은 전체 의견의 53.6%에 불과하며 그 중에서도 ‘법 적용은 양심에 맡겨야 한다’라는 의견이 77.3%를 차지했다. 구호자 보호법에서의 구호자는 ‘선의의 일반인’만을 선택한 응답이 56.0%으로 가장 높았다. 구호자 보호법 제정 시 타인에게 심폐소생술을 실시여부는 81.8%가 실시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응급상황 시 다른 사람을 구조 할 때 있어서 구호자 보호법의 제정이 심폐소생술 수행의지에 크게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반인의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은데도 불구하고 심폐소생술 교육 및 홍보는 거의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교육 및 수행 활성화 방안에 교육 및 홍보에 우선 순위를 두어 일반인에게 심폐소생술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알려야 할 것이다. 또한 자동제세동기의 다중 이용시설 등의 보급 확대와 더불어 교육 받은 일반인이 적극 활용하여 구조할 수 있도록 법적 보호장치 마련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영문]As cardiac arrest is unpredictable in an emergency and fatal brain damage occurs 4~6 minutes after onset of cardiac arrest, life of the patient with cardiac arrest frequently depends on performance of earl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by an observer on the spot.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out of the hospital, patients suffered from cardiac arrest mostly in the home, most of the observers were families or friends. Therefore P.R. and training for laypersons shall be conducted so that BLS (Basic Life Support) can be performed on the spo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CPR training program for layperson by looking into layperson’s recognition and attitude of execution of CPR and use of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ED) and the activation plan, and to prepare for underlying data in drawing up training policy and suggesting relevant legislation so that trained laypersons can positively perform rescue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ose who have completed training composed of theory and practice from two nurses having the BLS Instructor License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as non-medical workers who are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s research tool, questionnaires corrected and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dvice from professional groups. and these were personally distributed and collected by the researcher from Oct. 23 to Nov. 1, 200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to actual number, percentage, chi square test and ANOVA according to purpose of the study using SAS program.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o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 recognition or performance of CPR is universal within the country, 94.5% of respondents gave a negative answer as ‘No’. The most reason was found to be ‘Poor training and P.R. of CPR’ accounting for 61.0%. 98.6% of the whole respondents answered that CPR training is necessary. As plan for activation of CPR training, they answered that top priority shall be given to compulsory school training (68.9%). Secondly, when respondents observed their family’s cardiac arrest, 89.5% of them answered that they would conduct CPR but when they observed other’s cardiac arrest, just 56.7% of them answered it. As an effective CPR activation plan, the most answer was training and P.R. of CPR as 55.9%. 46.4%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AED training for layperson is ‘Not proper’. As AED activation plan, the most opinion was ‘Training and P.R. of AED’ as 56.0%. Finally, the opinion that rescue behavior shall be legislated just accounted for 53.6% of the whole opinions and among them, the opinion ‘The legal application shall be left to one’s conscience’ amounted to 77.3%. The most opinion was that only ’Well-intentioned layperson’s should be selected as rescuer under the Rescuer Protection Act as 56.0%. 81.8%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ould perform CPR for others if it is legislated. From the research result, enactment of the Rescuer Protection Act might greatly influence the will to perform CPR for rescue of other people in an emergency. Despite high demand of layperson for basic CPR training, the level of actual training and P.R. of CPR is poor. Therefore the need and importance of CPR shall be delivered to general layperson by giving priority to training and P.R. in efficient training and performance activation plan. Besides, preparation for a legal protective device as well as extension of spread of AED into multiple-use facilities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so that trained layperson can positively utilize it for rescue.
Files in This Item:
T00960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03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