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5 464

Cited 0 times in

체질량지수와 유방암 발생의 관련성

Other Titles
 (The)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nd breast cancer incidence : Korea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study 
Authors
 임선미 
Issue Date
2006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지속적인 유방암 발생 및 사망률 증가에 따라 유방암과 관련된 여러 가지 위험요인들(risk factors)에 대한 역학적 연구가 다양하게 시행되어져 왔다. 다양한 유방암 발생 요인 중 비만은 예방 가능한 요인으로서, 최근 비만과 관련된 연구들이 대두 되고 있다. 연구들에 따르면 비만인 여성에서 유방암 발생이 더 높고 폐경여부에 따라 관련성이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는 폐경 전 여성에서 비만과 유방암 발생과 역관련성이 있고, 페경 후 여성에서 비만하면 유방암 발생이 증가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결과에 대해 국내·외 선행 연구에 있어서도 조금씩 다르고, 실제로 국내에서 일반인구집단을 대상으로 비만정도와 유방암 발생에 대한 문헌은 매우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여성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와 유방암 발생을 연령 군에 따라 보고자 한다.본 연구는 Korea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KMIC) study를 이용하여 연구시작시점(1990-1992)의 35-59세 전체 대상자 183,614명 중 여자 67,923명을 대상자로 하여, 이 중 1990년과 1992년 신장과 체중에 대한 정보가 모두 있는 여성 64,149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연령은 1992년을 기점으로 37-47세군과 48-61세군으로 나누었다. 4사분위수로 나눈 BMI 그리고 아시아태평양 기준을 적용한 BMI와 유방암 발생(1993-2002)과의 관련성을 보았다. 분석은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고 Cox의 비례위험회귀모형(Cox’s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였다.4사분위수로 나눈 BMI의 1사분위수(BMI≤20.6)를 기준집단으로 하였을 때 전체 연구대상자에서 BMI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유방암 발생과 관련이 없었다(p for trend≤0.600). 연령 군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37-47세군은 BMI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유방암 발생의 관련이 없었다(p for trend≤0.182). 그러나 48-61세군에서는 BMI 4사분위수(BMI≥23.9)를 기준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유방암 발생 2.08배(95% confidence interval, 1.23-3.53)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아시아태평양 기준을 적용한 BMI와 유방암 발생은 가장 낮은 수준의 BMI(≤18.5)를 기준집단으로 하였을 때, 전체 연구대상자와 37-47세군에서는 BMI 수준에 따른 유방암 발생의 관련성이 없었다. 48-61세군에서는 BMI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방암 발생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 for trend≤0.002). 본 연구에서는 4년의 BMI 변화와 유방암 발생의 관련성을 추가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BMI 변화와 유방암 발생의 관련성은 전체 연구대상자와 연령 군별로 보았을 때 관련이 없었다.본 연구에서는 48-61세군에서 BMI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방암 발생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성인의 체중증가를 막는다면 유방암 발생위험이 감소할 것이다.

[영문]Breast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are increasing in worldwide. Nowadays, epidemiologic studies reported that overweight/obesity as a risk factor for breast cancer. In some of these studies showed different relationship between overweight/obesity and breast cancer incidence according to the state of menopause. Also, the result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BMI) change and breast cancer incidence are inconsisten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nd its change) and breast cancer incidence in Korean women. Study subjects were 64,149 women aged 35-59 years at the baseline (1990-1992) of the Korea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Study. They were stratified according to the age group, as 44,923 women aged 37-47 years and 19,226 women aged 48-61 years by age at year 1992. BMI change was defined as BMI at 1994 minus baseline BMI. Baseline BMI was categorized quartile and first quartile used as reference group for the analysis. And BMI change were categorized quartile and second quartile used as reference group for the analysis. Hazard ratios (HR) were calculated using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Baseline BMI and breast cancer incidence was not associated in 37-47 aged women, but associated in 48-61 aged women. HR of the upper quartile was 2.08 (95% confidence interval, 1.23-3.53) compared to the reference group in 48-61 aged women. However, BMI change and breast cancer incidence showed no relationshi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igher BMI increased breast cancer incidence in 48-61 aged women, but BMI change was not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incidence. Nevertheles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preventing overweight are suggested for older women. Further studies needed for identifying these relationships more precisely.
Files in This Item:
T00917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95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