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5 1166

Cited 0 times in

일 지역사회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Authors
 안미향 
Issue Date
2005
Description
노인간호전공/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일 지역사회 독거노인의 사회적지지 정도와 삶의 질을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방안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연구대상은 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독거노인으로 122명을 임의표집 하였다. 연구도구는 사회적 지지척도 Norbeck, Lindsey, Carrieri (1981)가 개발하고 오가실(1985)이 번역한 사회적지지 질문지(Norbeck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NSSQ)를 사용하였고, 삶의 질 측정도구로는 민성길(2000) 등이 개발한 한국판 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5년 4월 25일부터 5월 10일까지 16일 동안 실시하였으며, 일대일 면접 방식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PC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은 t-test, ANOVA 로 분석하였으며,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과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각 도구의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alpha를 이용하였다.연구 대상자는 총 122명이었고 성별은 여자 73%, 남자 27%로 여자가 많았으며, 연령은 75~84세가 48.4%로 가장 많았다. 교육정도는 무학이 69.7%로 가장 많았고, 건강보험 형태는 기초생활 수급자가 94.3%로 대부분 국가의 지원을 받고 있었다. 연구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는 984점 만점에 평균점수 36.41점이었다. 총 기능적 지지가 720점 만점에 평균 27.64점으로 낮았고, 총 지지망도 264점 만점에 평균 8.90점으로 낮았다. 총 지지망에 포함되는 관계기간은 5년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접촉빈도는 6개월 미만이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원으로는 친구가 49.3%로 가장 많았고 사회적 지지원 수는 평균 1.27명으로 매우 적었다. 사회적 지지는 연령, 경제적 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삶의 질 평균점수는 130점 만점에 77.16점 이었으며, 최소 48점, 최대 113점이었다. 삶의 질은 종교, 교육정도, 건강수준, 건강보험형태, 최종직업, 주 생활비, 경제적 상태, 여가활동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이상의 결과로 지역사회 내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는 지지 영역이나 지지망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매우 낮은 상태이며, 삶의 질 또한 매우 낮았다.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 정도를 통하여 사회적 지지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및 국가적 지원 대책이 요구된다고 하겠다.독거노인을 위한 사회적 지지 방안으로는 방문간호사의 주기적인 방문을 통한 개별적인 간호나 지역사회 학생, 주민을 통한 자원봉사 활동을 활성화하여 사회적 지지원을 확보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복지관, 지역사회 내에서는 종교, 여가와 관련된 모임을 결성하여 주기적인 모임을 주선하고 전기·중기·후기로 노년기를 세분화 하여 각 연령에 적합한 사회적지지 프로그램 즉, 교육·건강증진 프로그램, 여가활동, 인간관계 프로그램 등을 실시하여야 한다.



[영문]This study is a descriptive mutual relation study which provide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Norbeck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NSSQ) developed by Norbeck, et al. and the WHOQOL-BREF developed by WHO. Data were collected by face to face interviews ranging from April 25th to May 10th 2005.The participants were 122 elderly persons living alone over 65 years old. They were composed of 73% females and 27% males. The biggest age-range was between 75 and 84 years old; it took 48.4%. 69.7% were illiterate and 94.3% were the beneficiary of social security benefit from the government. The numerical value of social support was 36.41 points on average out of 984. Social support can be divided functional support and support network; the averaged functional support points were 27.64 out of 720 and the support network points were 8.90 out of 264. The support network was mostly maintained for over 5 years, and the frequency of contacts was mostly under 6 months. The support resource was mostly friend. The numbers of support resources per person are 1.27. The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depending on respondent's age and economic status.The averaged points of quality of life were 77.16 out of 130; maximum points of 113 and minimum points of 48. The quality of life had big differences according to religion, the degree of education, the level of health, the style of health insurance, the last occupation, the standard of living, economic situation and leisure activities. However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These statistic results show that social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very low. So there is the necessity for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our community. The specific countermeasures are regular individual nurse's visit and society service activities of students or inhabitants which are education or health programs, leisure activities, human relationship programs, etc.
Files in This Item:
T00881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89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