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87 1375

Cited 0 times in

SF-36을 이용한 혈액투석환자와 복막투석환자의 삶의 질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between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using the SF-36 
Authors
 문연옥 
Issue Date
2005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배 경: 신대체 요법으로 생명은 연장되었지만, 질병을 지닌 채 살아가야하는 투석환자들에게 생명 연장뿐만 아니라 삶의 질(Quality of Life)은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다. 투석환자들의 삶의 질에 대한 선행연구들 중에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혈액투석환자와 복막투석환자의 삶의 질을 비교한 연구는 적다. 또한 삶의 질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을 모두 포함한 다차원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선행 연구들마다 삶의 질 측정 도구로 여러 가지를 사용하여 왔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최근에 투석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고 있는 삶의 질 측정 도구 Medical Outcome Survey 36-Item Short Form(SF-36)을 이용하여 혈액투석환자와 복막투석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여 삶의 질을 비교하고, 투석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목 적: SF-36을 이용해서 혈액투석환자와 복막투석환자의 삶의 질을 비교하고, 혈액투석환자와 복막투석환자 각각의 삶의 질과 관련 있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한다.



연구설계: 혈액투석환자와 복막투석환자의 삶의 질을 비교하기 위해 시도된 면접조사를 이용한 단면 연구(Cross-Sectional Study)이다.

연구대상: 연구대상은 2004년 5월 24일부터 2004년 6월 12일까지 A종합전문요양기관과 B의원에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만성신부전증 환자 80명과 A종합전문요양기관에서 복막투석을 받고 있는 만성신부전증 환자 39명이었다.



연구에 사용된 변수: 연구에 사용된 독립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성,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가족 한달 평균수입, 직업)과 임상적 특성(투석기간, 합병증 유무, 만성신부전 주원인, 투석형태)이었으며, 종속변수는 삶의 질이었다.



결 과: 혈액투석환자와 복막투석환자의 삶의 질은 신체적 기능 영역과 활력 영역에서 혈액투석환자가 복막투석환자보다 높았다. 혈액투석환자와 복막투석환자의 인구사회학적·임상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정도는 혈액투석환자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족 한달 평균수입이 많을수록, 투석기간이 길수록, 직업이 있는 환자가 삶의 질이 높았다. 복막투석환자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족 한달 평균수입이 많을수록, 여자가 남자보다, 연령이 낮을수록, 직업이 없는 환자, 합병증이 없는 환자가 삶의 질이 높았다. 혈액투석환자와 복막투석환자의 삶의 질과 관련 있는 요인은 혈액투석환자는 직업, 가족 한달 평균수입, 합병증 유무였고, 복막투석환자는 직업, 가족 한달 평균수입, 교육수준, 투석기간이었다.



결 론: 혈액투석환자가 복막투석환자보다 신체적 기능 영역과 활력 영역에서 삶의 질이 높았고, 삶의 질 관련 요인은 혈액투석환자는 직업, 가족 한달 평균수입, 합병증 유무였고, 복막투석환자는 직업, 가족 한달 평균수입, 교육수준, 투석기간으로 차이가 있었다. 이에 따른 혈액투석환자와 복막투석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삶의 질과 관련 있는 요인별로 차별화된 보건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Background: New alternating treatment have led to the prolongation of life but to those with illnesses requiring dialysis, the quality of life (QOL) is something that must be considered as important as living longer. There have been a number of studies that have dealt with the QOL of hemodialysis(HD) patients, but studies which compare the QOL between HD and peritoneal dialysis (PD) patients are insufficient. Also, since QOL is a multi-dimensional concept including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conomical perspectives, previous studies utilized various instrument of measuring quality of life. In this study, however, Medical Outcome Survey 36-Item Short Form(SF-36), the most commonly used instrument of measurement for evaluating the QOL in dialysis patients, has been utilized in order to compare the QOL between HD and PD patient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dialysis patients. Objectives: To compare the QOL between HD and PD patients using the SF-36,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 QOL for patients under each dialysis modality.



Design: Cross-sectional study using face to face interview method by trained interviewer



Participants: 80 chronic renal failure(CRF) patients receiving HD from medical institution A and clinic B and 39 CRF patients receiving PD from medical institution A from May 24 to June 12, 2004 were interviewed.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ed of those reflecting population -social characteristics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occupation)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duration of dialysis treatment, presence of complications, major cause of CRF, dialysis modality), and dependent variable was the QOL.



Results: The QOL of physical function and vitality in HD patients were higher than PD patients.

In regards with the population-soci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HD patients had higher QOL with higher educational level, greater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longer duration of dialysis, and when currently under an occupation. PD patients had a higher QOL with higher educational level, greater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females, young age, without a current occupation, and without any complications.

Factors related to the QOL of HD and PD patients were occupation,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presence of complications for HD patients, and occupation,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duration of dialysis for PD patient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QOL of physical function and vitality in HD patients were higher than PD patients, and factors related to QOL were different by dialysis modality. For HD patients, the factors were occupation,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presence of complications. For PD patients, the factors were occupation,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and duration of dialysis. It can be concluded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QOL for HD and PD patients, differentiated health care services should b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factors affecting QOL for HD and PD patients.
Files in This Item:
T00866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85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