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99 846

Cited 0 times in

요루 보유자의 삶의 질 정도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of ostomates 
Authors
 차영란 
Issue Date
2005
Description
지역사회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요루보유자들은 정상적인 통로에 의한 생리적 배뇨기능을 상실하고 수술에 의한 인위적인 통로에 의해서 대소변 또는 기타 체내 노폐물을 체외로 배설해야하므로, 요루 관리상의 어려움을 비롯하여 신체 및 생활방식의 변화,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등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적절한 시기에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요루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지니게 되면 절망감을 갖게 되며 일상생활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요루보유자의 삶의 질정도 및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요루보유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킬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Y대학 병원에서 요로전환술을 받고 퇴원한 환자를 중심으로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설문응답에 동의한 요루보유자 68명 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04년 10월 18일부터 12월 17일까지 였으며 설문지는 직접배부법과 우편배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삶의 질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노유자(1989)가 개발한 삶의 질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도구의 Cronbach''s alpha 는 0.95 이었다. 자가간호를 측정하기 위하여는 이지숙(1990)의 자가간호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도구의 Cronbach''s alpha 는 0.79이었다. 가족지지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강현숙(1985)의 가족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도구의 Cronbach''s alpha = .92이었다.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측정도구를 전병재(1974)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도구의 Cronbach''s alpha = .79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의 통계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삶의 질 점수는 최저78점에서 최고 214점까지 분포하였으며 평균 148.69점(±24.71)이었다.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점수는 직업, 수술후 병행요법를 제외하고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r=0.694, p<0.000), 건강상태 지각(r=-0.561, p<0.000), 가족지지(r=0.427, p<0.000), 자가간호(r=0.330, p<0.006)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과 건강상태지각이 유의한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두가지의 요인이 62%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요루보유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 건강상태 지각, 자가간호, 가족지지, 병행한 치료, 직업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요루보유자를 간호함에 있어 이들의 자아존중감과 자가간호와 가족지지를 증진시켜 요루형성술후 적응과정에 도움을 주고 삶의 질을 높일수 있는 간호중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영문]This is a descriptive study for quality of life(QOL) and related factors of ostomates to provide a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The research object 68 person operated at the Department of Urology in Y college hospital with radical cystectomy and continent urinary diversion.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during October 18th to December 17th, 2004. Measurements of QOL, self-care, family support and self-esteem were used as study tools.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by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core on the QOL scale ranged from 78 to 214 with a mean of 148.69(±24.71).

2) The score of QOL on the general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y occupation and combined treatments after operation.

3)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quality of life and other factors like self-esteem (r=0.694, p<0.000), perception of health condition (r=-0.561, p<0.000), family support (r=0.427, p<0.000) or self-care (r=0.330, p<0.006).

4) The variables that affected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s were self-esteem and perception of health condition. The variance of quality of life was R²=62 percents by figuring out the sum of those variables.



In Conclusion, it would be necessary of nursing intervention to promote self- esteem and family support for the care of ostomates in order to improve QOL.
Files in This Item:
T00854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82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