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6 430

Cited 0 times in

모유수유가 사망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breastfeeding on mortality : Kangwha cohort 17-year follow up study : 강화코호트 17년 추적연구 
Authors
 주성은 
Issue Date
2005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모유수유는 예로부터 고귀한 사랑의 징표이자 선물로서 신생아기와 그 이후에도 모든 영양적인 요구를 포함한다(Newman, 1990). 또한 산모의 자궁수축을 촉진하고, 수유 중의 호르몬의 변화는 유방암발생 위험도를 감소시킨다고 하였다(Yoo 등 1992).

최근 여성의 경제적 지위의 향상과 사회진출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인해 모유수유가 기피되고 있는 반면 모유수유에 대한 영양학적, 심리적 관심이 증대되면서 모유수유가 어머니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객관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강화코호트 자료 중 1985-2002년의 17년간 자료를 이용하여 모유수유개월과 사망위험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조사당시 강화군의 55세 이상의 여성 8,097명 중 면접조사와 신체검사를 시행하고 한 번 이상 추적조사가 가능했으며 출산의 경험이 있고 모유수유 정보가 확실한 3,4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Cox 비례위험회귀모형을 사용하였다.

모유수유기간에 따른 사망위험의 분석에서 연령, 만성질환 여부, 흡연, 음주, 교육수준, 자녀 수, 첫 분만연령, 폐경연령에 대해 통제하였을 때 모유수유하지 않은 기준군에 비해 모유수유를 한 군의 사망위험이 낮았으며, 모유수유를 한 군 사이에서도 모유수유를 많이 한 군일수록 사망위험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1-6개월 모유수유를 한 군은 모유수유를 전혀 하지 않은 군에 비해 사망위험이 0.62배였으며(CI 0.53-0.72), 7-12개월 모유수유한 군은 기준군에 비해 사망위험이 0.58배(CI 0.52-0.66), 13-18개월 모유수유한 군은 사망위험이 0.57배(CI 0.52-0.63)였다. 19-24개월 모유수유한 군은 기준군에 비해 사망위험이 0.54배(CI 0.49-0.60), 25 개월 이상 모유수유한 군은 사망위험이 0.56배(CI 0.48-0.65)였다.

모유수유를 하지 않은 군을 제외하고 모유수유를 한 군들 간의 사망위험 역시 같은 혼란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1개월에서 6개월 동안 모유 수유한 기준군에 비해 모유수유를 많이 한 군일수록 사망위험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7-12개월 모유수유를 한 군의 사망위험은 기준군에 비해 0.62배였으며(CI 0.55-0.69), 13-18개월 모유수유한 군은 0.60배였다(CI 0.54-0.66). 19-24개월 모유수유를 한 군의 사망위험은 기준군에 비해 0.57배였으며(CI 0.51-0.63), 25개월 이상 모유수유한 군은 0.59배였다(CI 0.51-0.69).

모유수유기간에 따른 암 사망위험과 심혈관 질환 사망위험을 비교해 보았을 때 혼란변수를 통제하고 1개월에서 6개월동안 모유 수유한 군을 기준군으로 하였을 때 모유수유를 많이 한 군일수록 사망위험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암 사망위험은 가장 적은 기간(1-6개월) 동안 모유수유를 한 군을 기준군으로 하였을 때 7-12개월 모유수유를 한 군이 0.57배(CI 0.40-0.81), 13-18개월 모유수유한 군은 0.50배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CI 0.34-0.74). 19-24개월 모유수유를 한 군이 0.37배(CI 0.22-0.63), 25개월 이상 모유수유한 군은 0.41배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CI 0.20-0.83).

심혈관 질환 사망위험은 가장 적은 기간(1-12개월) 동안 모유수유를 한 군을 기준군으로 하였을 때 7-12개월 모유수유를 한 군이 0.71배(CI 0.54-0.92), 13-18개월 모유수유한 군은 0.68배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CI 0.51-0.89). 19-24개월 모유수유를 한 군이 0.61배(CI 0.44-0.85), 25개월 이상 모유수유한 군은 0.52배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CI 0.33-0.82).

이 연구는 일부 제한점이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장기간 관찰한 코호트 자료를 기초로 하여 모유수유기간과 사망위험과의 관계를 살펴 본 최초의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자료를 보완하여 계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breastfeeding on mortality. This is a prospective cohort study with a follow-up period 17 years in Kanghwa(1985-2002). The final sample size for this analysis is 3,425 women, aged 50 years or older, as of 1985, of whom we have information of breastfeeding and delivery histories.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6 categories based on duration of breastfeeding.

We calculated mortality risk by levels of total duration of breastfeeding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This models were tested, controlling for age, chronic disease, smoking, drinking, education, number of children, age at first birth and age at menopause.

Accoding to the results, risk of death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duration of breastfeeding. Compared to women who had no history of breastfeeding, women with 1-6months of breastfeeding had a deceased risk of death(RR,0.66; 95% CI 0.56-0.78). The risks decreasd even further for those who breastfed for 7-12months (0.63; CI 0.55-0.72), 13-18months (0.57; CI 0.48-0.68) and 19-24months(0.57; CI 0.48-0.68) compared to women who had never breastfed. Compared to women who had 1-6months of breastfeeding, women with 7-12months of breastfeeding had a risk of death 0.70(CI 0.62-0.80), 0.69(CI 0.60-0.78) for 13-18months, 0.65(CI 0.60-0.78) for 19-24months and 0.65(CI 0.53-0.81) for more than 24 months. There was a clear trend of decreasing mortality risks with the duration of breastfeeding.

We also calculated relative risk of all cancer mortality and CVD mortality by total duration of breastfeeding,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Compared to women who had a period of breastfeeding of 1-6months, women who had 7-12 months of breastfeeding had a risk of cancer mortality 0.57(CI 0.40-0.81), and this risk decreasd even further for those who breastfed for more then 7 months. The risks of CVD was almost the same as the total cancer mortality patterns.

In conclusion, a large Korean cohort study provides evidences that mortality risks and those of all cancer mortality and CVD mortalit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duration of breastfeeding.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however the strength of this study is that this is the first prospective cohort study about the effects of breastfeeding on mortalities using long-term follow up data in Korea.
Files in This Item:
T00844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80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