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8 401

Cited 0 times in

일반 주택의 실내 NO2 농도와 건강 자각도 및 폐기능과의 관련성 연구

Other Titles
 Association subjective symptoms, pulmonary function and NO2 concentration in indoor air of the residences 
Authors
 정경화 
Issue Date
2004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의 노출과 건강 영향과의 관련성을 밝히는 역학적 연구에 있어서 노출평가의 불확실성은 건강 영향 평가의 정확성을 감소시킨다. 이산화질소(NO2)는 호흡기계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잘 알려진 이후,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그동안 이산화질소에 대한 건강 영향을 평가하는 많은 연구들에 있어서 노출평가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건강 영향의 지표와 일관된 관련성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3년 11월~12월까지 경기도 시흥시에 거주하는 전업주부 39명을 대상으로 실내 중의 NO2와 개인의 NO2 농도를 측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한 건강 자각증상과 폐기능 검사를 실시하여, NO2의 오염도와 다양한 건강 영향 지표들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대상자들의 연령, 교육수준, 흡연력, 가구소득, 건강 인식도, 호흡기계 질병력,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에 대한 일반특성과, 자연환기, 공기 청정기 사용, 후드 사용, 조리시간, 가정 내 흡연자 유무, 주택의 평수, 층수에 대한 실내 환경특성을 조사하였다. NO2의 농도는 filter badge type의 passive sampler를 사용하여 시료를 채취하였고, 건강 영향 지표로는 THI(Todai Health Index)의 건강 조사표를 이용한 건강 자각도와 폐활량 측정법(spirometry)을 이용하여 폐기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8.0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Wilcoxon test, Kruskal-Wallis test, spearman correlation test의 비모수 검정법과,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평균 연령은 38세(29~69세)였고, 76%정도가 하루 평균 20시간 이상을 실내에서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된 NO2의 평균 농도는 실내 40.60±22.00ppb, 개인 37.25±15.24ppb로 모두 국내 지하공기질의 기준치(환경부,1996년), 150ppb이하의 수준이었다. NO2 오염도 분포의 정규성 검정결과, 정규분포를 이루지 않았으므로 로그변환을 통한 농도값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건강 자각도를 개인의 특성에 따라 비교한 결과, 연령별 자각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연령이 높은 그룹의 자각도가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다. 실내 및 개인의 NO2 농도에 따른 자각 증상은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오염도가 증가할수록 총 건강 자각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항목별로는 실내 NO2와 개인 NO2에 따라 서로 일관성 있는 관련성을 관찰할 수는 없었다.

폐기능에 사용된 지표는 FEV1, VC, FVC, FEV1/FVC의 4가지며, 각각의 지표는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나타나는 예측치의 백분율 값을 사용하였다. 실내 및 개인의 NO2 농도에 따른 폐기능은 실내 NO2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FEV1, %FVC, %VC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개인 NO2의 경우, 오염도가 증가할수록 %VC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폐기능 지표에 대해서도 오염도가 증가할수록 폐기능이 감소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유의하지는 않았다.

연구 결과, 건강영향 지표에 관하여 대상자들이 느끼는 건강 자각증상이 없거나 낮은 수준으로 나타난다 할지라도, 오염도에 따른 폐기능의 변화는 의미있는 수준으로 관찰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환경기준치 이하의 저농도 노출집단을 대상으로 오염도와 건강영향을 평가할 때에는, 건강 자각도와 같은 주관적인 건강 영향 지표보다는 폐기능 검사와 같은 객관적인 건강 영향 지표를 사용하는 것이 잠재적인 건강 영향을 밝히는데 보다 일관되고 명확한 관련성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영문]In general, crude exposure estimates decrease the sensitivity of any epidemiological study to detect associations between exposure and health parameters. Nitrogen dioxide is a common indoor pollutant,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health effects induced by nitrogen dioxide. Despite a large number of studies and approaches, the evidence remains inconclusive with regard to health outcomes due to crude exposure estimat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health outcomes, indoor and personal NO2 concentration for 39 housewives in Siheung city during November and December in 2003.

The participants answered a detailed questionnaire about sociodemographic variables, lifestyle,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NO2 exposure. The NO2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with filter badge type passive sampler of filter badge type for indoor and personal NO2, respectively. Subjective symptoms scores were generated by using THI questionnaire administration, pulmonary function tests were conducted with spirometry. SAS(ver. 8.1) was used to analyzed the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such as Wilcoxon test, Kruskal-Wallis test, spearman correlation test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average age of subjects is 38 years(range:29~69years), 76% of subjects were spending in indoor over 20hours. The average indoor NO2 concentration was measured 40.60±22.00ppb, personal NO2 was measured 37.25±15.24ppb, both of them were under guideline level at 150ppb. These concentrations were log transformed for normal distribution.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the total subjective symptom score increased according to NO2 level in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But there were many inconsistent relationship with indoor and personal NO2 level, respectively, in the subgroups of symptom categories.

The predicted percent of FEV1, VC, FVC, FEV1/FVC indicators were used as a pulmonary function values adjusted for age, sex, height.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pulmonary function marks and NO2 level, %FEV1, %FVC, %VC decrease significantly as indoor NO2 increases, and %VC decreases significantly as personal NO2 increases. And the other indices were not significant, although they showed negative association with NO2 level.^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ations of pulmonary function were showed significantly, even though participants didn''t feel any subjective symptoms or felt them in low level. Therefore, assessing the health effects from pollution under low level, it can be suggested that using objective health outcome such as pulmonary function test rather than subjective symptom score show more conclusive and clearer relationship.
Files in This Item:
T00834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78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