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5 565

Cited 0 times in

보건 의료 관련 기사의 언론중재 사례 분석

Other Titles
 Study of the feedback and arbitration system on public health and medical news : 해당 기자들의 인식 조사와 연계하여 
Authors
 이성주 
Issue Date
2004
Description
보건의료법윤리학전공/석사
Abstract
[한글]최근 신문과 방송에는 보건 의료 기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들 기사에 대한 분쟁의 소지도 증대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언론중재 과정을 정점으로 하는 언론사의 피드백 과정이 보건 의료 분야에서 어떻게 이뤄지는지, 이에 대한 기자의 인식은 어떤지를 밝혀 보건 의료 기사의 건전화 방안을 제시하는 자료로 삼는데 있다.

이를 위해 언론중재위원회의 2003년 중재사례집의 사례들을 분석하고, 이 분야 담당 기자 18명에게 설문조사를 했다.

언론중재위의 보건 의료 분야 기사에 대한 반론보도 청구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1981~1984년 3건에 불과하던 것이 1993~1996년 100건으로 늘었으며, 2003년에는 한 해에만 모두 49건의 언론중재 신청이 접수됐다.

이 중 중복된 6건을 제외한 43건을 분석한 결과 30%가 각종 단체, 28%가 정부, 11%가 보건 의료인이 신청인이었다.

그러나 이 중에서 전문가 집단이 공익을 위해 중재 신청을 제기한 것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는 언론중재가 정기간행물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직접 피해를 받은 당사자의 권익 구제로 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건 의료 분야의 기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는 기자들 대부분이 자신의 기사에 대해 독자 또는 시청자의 끊임없는 피드백을 받고 있었으며 여기에는 질책과 항의가 포함돼 있었다. 즉 81%가 독자의 항의를 받았으며, 29%는 보건 의료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피드백을 받았다.

기자들은 자신의 기사에 대해 형평성(38%), 기사의 전문성(20%), 단순 오류(20%), 명예 훼손(7%)의 순으로 항의를 받았으며, 이는 언론중재의 대부분이 명예 훼손인 현실과는 괴리가 있었다.

또 기자들은 언론사의 보건 의료 분야의 피드백 과정과 언론 중재 과정이 생명권 건강권 행복추구권 등 공익적 측면보다는 개인의 피해 구제에 맞춰져 있다는 점에 대해 개선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이를 위해서는 언론중재위와 보건의료계에서 적어도 보건 의료 분야의 특수성을 인정하고, 독일처럼 공익적 측면에서 중재 신청을 할 수 있도록 외연을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 보건 의료계의 전문가들은 언론중재를 비롯해 언론사의 시스템을 이용해서 국민 보건 향상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eedback systems of health care related news, including the legal arbitratin, by analysising arbitration cases of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and questionnaires from 16 journalists.

In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the number of arbitration cases related public health has increased rapidly.

Between 1981 and 1984 there were only 3 cases, and between 1993 and 1996 100 cases applied.

But in 2003, there were total 745 arbitration cases in the arbitration court, and among them 49 cases were related public health & medical people. Excluding repeated 6 cases, 43 cases were studied.

Amomg them, the applicants of 13 cases(30%) were a variety of parties, of 12 cases(28%) were government(Public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11 cases(26%) were health care related persons.

Government used the arbitration system rather than press company''s own feedback system, mainly because of the President and government''s policy, as a result, it influenced mass media strongly.

By the way, medical groups including The Korea Medical Association, The Korea Hospital Association didn''t take advantage of the press arbitration system, thus they failed in having adequate effect on the mass media.

Analysising journalists'' questionnaires, newspaper or broadcast person on public health and medical field confessed that almost all of them had objection or dissatisfied feedbacks from the readers or TV viewers, and they reflected the remarks on their news in any ways.

It is revealed that 81% of journalists mainly had blames from general newspaper readers or TV viewers, 29% of them be blamed by public health related people.

Journalists replied in the questionnaires that the first reason of criticism about medical news is about the balance of the reports(38%), the second reason is misunderstanding in specific area(20%) and simple mistake of facts of spelling(20%). Violating someone''s reputation(7%) is the last.

But they went to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mainly because of violating someone''s reputation(62%), and the second reason is the balance of the reports(38%).

Journalists thought that health care related specialists and groups should take interested in people''s lives and health rights more than doctor''s reputation, and make use of feedback system of the news company and the legal arbitration more positively.

Futhermore, it is essential that live rights, health rights should be more seriously considered in the press arbitration process.
Files in This Item:
T00828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76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