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1 565

Cited 0 times in

흰 쥐에 삽입된 응집성 실리콘 젤 피막의 조직학적 반응에 대한 고찰

Other Titles
 Histological response of capsule after insertion of cohesive silicone gel in white rat 
Authors
 김진오 
Issue Date
2011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기존의 실리콘 젤 유방 보형물의 내용물은 액체 실리콘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보형물 파열 시 실리콘이 조직 내로 확산되어 제거가 힘들다. 반면, 응집성 실리콘 젤은 반고체 성상이므로, 파열 후에도 조직 내로 확산되지 않아 제거가 용이하다. 그 동안 응집성 실리콘 젤 유방 보형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았으나, 파열 후 응집성 실리콘 젤의 영향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저자는 파열 후 유방 보형물 외부로 흘러나온 응집성 실리콘 젤이 체내에 장기간 노출되었을 경우 이에 따른 조직학적 소견, 염증 반응 및 면역학적 변화 여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체중 420-540g 내외의 흰 쥐 20마리를 5마리씩 나누어 실험하였다. 흰 쥐를 마취시킨 후 배부의 중심부에 15mm의 수직절개를 가하고, 배부의 피부밑 근육층 아래에 10x10mm 크기의 포켓을 만들었다. 실험군에는 10 x 10 x 5 mm 크기의 고체 실리콘 고무(실험군 1), 2cc 액체성 실리콘 젤(실험군 2), 10 x 10 x 5 mm 크기의 응집성 실리콘 젤(실험군 3)을 각각 삽입하였고, 대조군에는 식염수 2cc를 주입한 뒤, 창상을 봉합하였다. 3개월 후 주위조직을 넓게 포함하여 삽입물을 채취한 뒤 슬라이드를 각각 2개씩 제작하여, 피막의 두께, 염증세포의 분포와 수, 근섬유모세포의 양 및 TGF-β 발현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피막의 두께는 실험군 3(응집성 실리콘 젤)에서 가장 두꺼웠으나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염증세포의 수는 실험군 3에서 다른 실험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한 소견을 보였다. 근섬유모세포의 양과

TGF-β 발현 정도 역시 실험군 3에서 가장 증가한 소견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흰 쥐의 배부에 삽입된 응집성 실리콘 젤, 액체성 실리콘 젤, 고체 실리콘을 주위에 발생한 피막을 서로 비교해 보았을 때, 염증세포의 수가 응집성 실리콘 젤 삽입 시 가장 많은 것 이외의 주목할만한 차이점은 없었다.따라서 응집성 실리콘 젤 누출로 인한 조직학적 반응은 기존의 다른 실리콘 보형물 젤 누출로 인한 것과 차이가 없었다.
Files in This Item:
TA0117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20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