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1 928

Cited 0 times in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 환자의 보툴리눔 독소-A 주입술 전 후의 음성특성 비교

Other Titles
 Voice characteristics of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Before and After Botulinum Toxin-A Injection 
Authors
 윤보람 
Issue Date
2010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한글]보툴리눔 독소(botulinum toxin, BTX)-A 주입술은 현재 연축성 발성장애 환자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BTX-A 주입 전?후에 대한 연구가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임상적 의의를 밝힐 근거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TX-A의 효과를 밝히고자, BTX-A 주입 전?후 음성에 대한 객관적 및 주관적 평가를 시행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 환자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여성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BTX-A 주입 전?후, 환자에게 각각 객관적 평가인 공기역학적 검사와 전기성문파형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주관적 평가로 Korean-Voice Handicap Index(KVHI)와 환자의 청지각적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와 그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기역학적 검사 결과에서 최대연장발성시간(maximum phonation time, MPT)만이 BTX-A 주입 전?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전기성문파형검사 (electoroglottography, EGG)에서는 평균기본주파수 분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평균음성강도 분포와 평균성문폐쇄율 분포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BTX-A가 편측 갑상피열근(thyroarytenoid mucles)을 마비시키면서 과내전 되던 성대 근육의 불수의적 움직임이 줄어들게 되어 발성 시 공기의 흐름을 좀 더 원활히 사용하게 됨으로써 MPT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아지고 성문폐쇄율이 유의하게 줄어든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KVHI를 통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고 환자 스스로 청지각 평가를 시행하게 한 결과, 주입 후 KVHI 점수와 환자의 청지각적 평가 점수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환자 스스로도 BTX-A 주입의 효과를 느끼고 있으며, 그 효과가 환자의 일상생활에서도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BTX-A 주입 전?후의 음성특성을 공기역학적 측면 및 문단 수준에서의 EGG 검사를 통해 비교함으로써 BTX-A의 효과를 평가자 측면에서 객관적 수치로 제시하였다. 또한 환자의 삶의 질과 음성의 중증도에 관하여 환자 보고에 의한 평가를 통해 환자 측면에서의 효과를 함께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러한 결과는 임상에서 연축성 발성장애 환자에 대한 종합적 측면에서의 예후 제시 및 치료효과 판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남자 환자를 포함하고, 대상자 수를 늘려 연령대별로 BTX-A의 효과를 비교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환자의 BTX-A 주입 용량, 주입 횟수, 중증도 등을 통제한 결과를 비교해 보는 것과 주입 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음성의 변화를 장기적으로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환자 측면에서의 청지각적 평가만 실시하였는데, 추후 연구에서는 임상가의 청지각적 평가를 포함하여 이들 간의 상관성을 봄으로써 종합적인 측면에서의 BTX-A의 효과를 바라보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영문]
Files in This Item:
TA0116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19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