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4 384

Cited 0 times in

The hospital length of stay associated with geropsychiatric illness and comorbidity : a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study

Other Titles
 주진단 및 동반질환이 노인정신질환자의 재원일수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오선민 
Issue Date
2008
Description
보건정책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에서는 노인정신질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주진단과 동반질환이 재원일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재원일수가 긴 환자들의 개인 특성 및 병원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적절한 재원일수를 결정하고 재원일수를 합리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노인정신질환 환자는 65세 이상, 주진단이 정신 및 행동 장애(ICD-10에서 F00-F99)인 환자로 정의하였고, 2005년 1월 1일부터 2006년 6월 30일까지 435개 의료기관에서 건강보험 적용을 받는 총 17,097명의 노인정신질환 환자를 치료한 건강보험청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변수는 환자의 재원일수, 독립변수는 환자특성 (주진단, 부진단, 성, 연령)과 의료기관특성 (종별, 설립구분별, 지역별, 병상수, 의사수)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18개월의 관찰기관 동안 건강보험환자 중 노인정신질환 환자의 평균 재원일수는 80.82±121.77일 (1~547일)이었다. 주진단과 동반 질환이 재원일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성별, 연령, 의료기관 특성을 보정한 후 OLS 회귀분석(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을 시행한 결과 치매 환자에 비해 정신분열병, 우울증삽화 및 반복성 우울장애 환자의 재원일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신체형 장애, 불안 장애, 알코올 사용으로 인한 정신 및 행동 장애 환자의 경우 재원일수가 유의하게 길었다. 특히 동반질환은,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 이외의 동반질환 모두, 유의하게 재원일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장기 입원'과 관련된 환자특성 및 의료기관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모든 의료기관의 '장기 입원'에는 종별 의료기관, 동반질환의 영향이 가장 컸다. 하지만 종합병원과 3차 병원에서의 '장기 입원'에는 동반질환이, 장기요양 병원 에서는 동반질환 및 설립구분별 (국·공립), 지역별 (중소도시) 특성이 '장기 입원'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우리나라의 정신질환 특히 노인정신질환 환자의 재원일수는 상대적으로 길다. 더욱이 정신질환 환자의 입원치료에 대해 구체적인 재원적절성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사회구성원들이 정신질환 환자 돌보기를 꺼려하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재원일수는 길 수 밖에 없다. 하지만 한정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재원일수를 결정하고, 재원일수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 기초해 '종별 의료기관'이 '장기 입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각 종별 의료기관들이 급성기, 만성기, 장기요양 치료에 대해 각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각 종별 의료기관에서 적절한 재원일수를 평가할 때에는 환자 증상의 단계뿐만 아니라 정신과적 주진단 및 부진단을 고려하여야 한다.



[영문]Objective: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sychiatric illness and comor-bidity' to LOS in elderly population and to evaluate patient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to affect 'long stay'.

Method: All reimbursement claims for 17,097 geropsychiatric inpatients support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Program (NHIP) from Jan. 01 2005 to 30 Jun. 2006 were analyzed. Firstly, the relation between LOS and geropsychiatric illness with comorbidity was evaluated. The principal outcome variable was geropsychiatric inpatients' length of stay (LOS). The predictor variables were principal psychiatric diagnoses (F00-F99 at ICD-10) and comorbidities (All codes at ICD-10). And other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 Secondly, 'long stay' was defined as staying more than the 50th and the 90th percentile of LOS. Then, according to type of institutio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psychiatric diagnoses, comorbidity, gender, age)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type of medical institution, ownership, location, inpatient capacity, and the number of physician) of 'long stay'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LOS of geropsychiatric patients among NHIP beneficiaries was 80.82±121.77 (ranges from 1 to 547) days during 18 months. Firstly, 'principal psychiatric diagnosis' and 'comorbidi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S; under adjusted comparison, compared to 'dementia', 'somatoform disorders', 'phobic and other anxiety disorders', and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due to use of alcohol'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LOS. And both 'psychiatric and non-psychiatric comorbidity' significantly prolonged LOS. Secondly,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s, characteristics of 'long stay' were different.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ith all patients, 'type of institution' was the most prominent factor related to long stay, followed by 'comorbidity'. Whereas, among patients admitted in 'general hospitals and tertiary care hospitals', 'comorbidity'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influence of 'comorbidity'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were notable.

Conclusion: The LOS of geropsychiatric patients was relatively long in Korea. Based on this result, to determine appropriated LOS, 'comorbidities' as well as 'principal diagnoses' should be evaluated. Furthermor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each type of medical institution for 'acute care', 'chronic care', and 'long-term care' should be systematically established. Then, the proper LOS should be determined by stage-specific guidelines.
Files in This Item:
TA0111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15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