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4 886

Cited 0 times in

척수손상 장애인의 인터넷 활용과 삶의 질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use and Quality of Life(QOL) among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in Korea 
Authors
 심선화 
Issue Date
2008
Description
건강증진교육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신체적 장애로 인해 사회로의 복귀, 사회통합의 어려움을 가지는 척수손상 장애인들에게 있어 인터넷의 활용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척수손상 장애인의 재활치료 계획의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척수손상 후 6개월 이상 경과한자로써 경기도 소재 병원 및 재활원에서 치료중인 154명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SAS 8.2 version을 사용하였다. 삶의 질 측정을 위해서는 노유자(1998)의 중년기 성인의 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였다. 인터넷 사용에 따른 삶의 질 관련성을 분석한 후 손상부위에 따라 경추손상인과 흉추손상으로 분류한 후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비교해 보았다. 또한 인터넷을 사용하는 집단 내에서 인터넷 활용 관련 특성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들의 삶의 질 평균값은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은 145.72점으로 서울지역 중년기 성인 대상 규준점수의 33~37 percentile에 속하고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의 평균 점수는 153.02점으로 45~55 percentile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다중회귀 분석 결과 인터넷 사용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다. 그러나 경추 손상인의 경우 인터넷을 사용하는 집단이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삶의 질이 높았다. 흉추 손상인의 경우 인터넷을 사용하는 집단이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정서상태 영역의 삶의 질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터넷이 삶의 질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요소임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3. 인터넷 사용자내에서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시간이 길수록, 인터넷 활용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다양한 장애를 가진 척수손상인의 인터넷 사용에 복잡한 요소들이 영향을 끼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인터넷의 사용이 경추 손상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으로 증명되었음으로 척수손상인의 인터넷 활용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영문]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tterns of internet use among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ies(SCI) an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use and quality of life(QOL) by two types of SCI.

Methods: 154 subjects (male:120, female:34) were recruited from one general hospital and 6 rehabilitation centers in Kyung-Ki province. The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the patients at least 6 months passed since the spinal cord injury and asked to complet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 instrument on QOL for adults by Yuza No was used to measure the QOL. The data from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to find the difference in QOL among the subjects with two types of injured locations(i.e. cervical cord injuries(tetraplegia) or thoracic cord injuries(paraplegia).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AS 8.2 version..

Result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s of QOL among non internet users and users were 145.72 points and 153.02 points, accordingly. For the non internet users in our study, the average scores was in 33-37 percentile of the average scores among adults in Seoul and for the internet users, the mean score was in 45-55 percentile.

2. Adjusting for socioeconomic and impairment-related factors, internet use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dependent effect on QOL. The scores from QOL questionnaire among internet users with cervical cord injury were 17.25 points and higher than the user with thoracic cord injury(P=0.004). The scores in emotional status among internet user with thoracic cord injuries were 6.00 points and lower than the user with cervical cord injury(P=0.034).

3. The scores on QOL were higher among the users with more frequent weekly internet access and longer time of in each daily internet use(P=0.027) and with the level of practice (P=0.021).

Conclusion/Discu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people with cervical cord injuries(tetraplegia) could benefit from the internet use. A rehabilitation therapy and an intervention on internet use should be developed for the people with SCI and carefully customized for this group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SCI.
Files in This Item:
TA0111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15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