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6 946

Cited 0 times in

유년층의 최대발성시간 및 조음교대운동속도

Other Titles
 Maximum phonation time and diadochokinetic rate in normal Korean children 
Authors
 김수연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한글]말운동장애의 감별진단에 자주 사용되는 구어과제 항목으로 최대발성시간과 조음교대운동속도가 있다. 이 두 가지 과제는 비교적 시행방법이 쉽고 간단하여 아동의 말운동장애 감별진단 시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최대발성시간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대한 유년층 규준이 없어 유년층 말운동장애의 객관적인 감별진단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세에서 6세 유년층 남녀 총 232명의 아동을 1년 단위의 네 연령군으로 나눈 후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최대발성지속시간과 조음교대운동속도 수행력을 비교하였다.

또한 최대발성지속시간과 조음교대운동속도가 호흡, 발성, 조음 기관 등의 신체와 관련이 있으므로, 연령이 아닌 신장에 따른 규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연령과 신장, 연령과 최대발성시간 및 조음교대운동속도 수행력, 신장과 최대발성시간 및 조음교대운동속도 수행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대발성시간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성별요인에 있어서는 남아의 최대발성시간이 여아의 최대발성시간보다 유의하게 길었다. 따라서 최대발성시간의 유년층 규준은 연령과 성별에 따라 나누어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조음교대운동속도의 수행력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성별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조음교대운동속도의 수행력은 연령에 따라 나누어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각 과제의 수행력이 증가하였으며, 신장이 증가함에 따라서도 각 과제의 수행력이 증가하였다. 한편, 연령과 신장이 서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므로 해석에 주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을 통제한 경우 신장과 각 과제 수행력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신장을 통제한 경우 연령에 따라 각 과제 수행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 결과에 따라 신장보다는 연령이 최대발성시간 및 조음교대운동속도와 더 관련이 깊으며, 그 규준은 연령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유년층의 최대발성시간과 조음교대운동속도를 연령과 성별에 따라 분석해 임상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신장이 아닌 연령을 기준으로 규준을 마련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을 밝힌 점에도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장애군을 포함하지 않아 비정상과 정상을 나눌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므로 임상현장에서 그대로 적용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앞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장애군을 포함한 유년층의 최대발성지속시간과 조음교대운동속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Speech tasks such as maximum phonation time(MPT) and diiadochokinetic(DDK) rate are commonly used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motor speech disorders. These tasks are relatively easy and simple to administer, and thus useful for assessing children with motor speech disorders. However, it is still difficult to construct an objective assessment of motor speech disorders in children because nomative data of MPT and DDK rates for children are not available.

In this study, MPT and DDK rate of 232 male and female children were measured. The children were between 3 and 6 years of age and divided into 4 groups by one year.

In addition, the correlations between age and height, between age and the speech tasks, and between height and the speech tasks were examined to check if an additional standard according to height rather than age was necessary, because MPT and DDK rate are related to body such as respiratory, phonatory, and articulation orga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PT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and the MPT of male children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female children. It means that the norm of MPT for children should be presented according to age and sex factors.

Second, DDK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sex differences. It means that the norm of DDK rate should be presented in terms of age.

Third, the performance of each task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and also with height. But this needs to be interpreted carefully because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ge and height. That means these two factors affec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asks and the other facto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eight and the performance of each tasks when age was controlled, while it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each tasks as age increased when height was controlled. This result suggests that age is more related to the speech tasks than height and that it is valid to construct the standard by ag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esents the basic data of children's performance of MPT and DDK rate according to age and sex, which could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Also, it proves that the normative data presented by age is proper than by height.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difficulties unsolved, to apply this results in clinical settings directly. This study does not include disordered group, so cut-off value to differentiate disorder from normality can not be presented. Further study of MPT and DDK rate including the performance of speech-disordered children should be made with this study as basis.
Files in This Item:
TA0109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12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