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4 729

Cited 0 times in

5세, 6세, 7세 정상 아동의 비음치

Other Titles
 Nasalance scores of 5-7 year old Korean children 
Authors
 임성은 
Issue Date
2005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한글]비음치(nasalance score)는 비음측정기(Nasometer)를 이용하여 화자가 말을 산출할 때 비강 음향에너지(nasal acoustic energy)의 상대적인 양으로 측정된다. 비성에 대해 청지각적으로 평가한 비음도와 비음측정기로 측정한 비음치의 상관 정도는 다양하지만 비음측정기는 비성 문제를 진단하고 평가할 때 청지각적 판단과 더불어 사용하면 유용하다는 데는 의견의 일치를 보고 있다. 비음치는 측정에 사용하는 검사어의 음운이나 길이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무의미 음절 반복 검사어를 이용하여 검사어간 차이를 알아보고, 발화 상황을 반영할 수 있는 문장 검사어를 제작하여 정상 아동의 비음치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5세, 6세, 7세의 정상 아동 60명을 대상으로 무의미 음절 검사어가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고 모음 환경과 조음 방법 및 조음 위치에 대한 비음치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문장 검사어가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고 각 검사어 범주에 대한 비음치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의미 음절 검사어의 비음치는 5세, 6세, 7세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2. 무의미 음절 검사어에서 /이/모음 환경의 비음치가 /아/모음보다 높았다.

3. 조음 방법에 따른 비음치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무의미 음절 검사어에서 비음의 비음치가 구강음보다 /아/와 /이/모음 환경에서 높았다. 그러나 /이/모음 환경에서 유음의 비음치는 다른 구강음보다 낮았다. 조음 위치에 따른 비음치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아/와 /이/모음 환경에서 연구개 파열음의 비음치가 양순 파열음과 치조 파열음보다 높았다.

4. 무의미 음절 검사어 비음치의 검사-재검사 상관 분석에서 모음은 /이/, 자음은 비음과 같이 상대적으로 비음치가 높은 음운 환경이 낮은 환경보다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높았다.

5. 문장 검사어에서 5세, 6세, 7세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비음치의 차이는 없었다.

6. 문장 검사어의 고압력자음 검사어, 저압력자음 검사어, 비음 검사어, 전체 검사어 각 범주간 비음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음 검사어의 비음치는 61.73%, 전체 검사어는 27.34%, 고압력자음 검사어는 8.50%, 저압력자음 검사어는 7.17%로 모두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다.

7. 문장 검사어 비음치의 검사-재검사 상관 계수는 .89이상으로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무의미 음절 검사어의 결과는 비음치 측정을 위한 검사어를 개발할 때 비음 비율 이외의 음운 환경을 고려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제작한 문장 검사어의 비음치로 구개열 등으로 인한 공명 및 비누출 문제가 있을 때 비음치 측정과 청지각적 평가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obtain the preliminary norm of nasalance scores of Korean children during the production of meaningless syllables and sentences, and to determine whether age and gender differences exist in those stimuli.

Sixty normal children(30 girls and 30 boys aged 5 to 7 years) repeated the examiner’s reading stimuli, which were meaningless syllables with lenis consonants and three sentence categories; those with high pressure consonants, low pressure consonants and nasal consonants.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Nasometer. Nasalance scores of each stimulus were obta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meaningless syllables,

1. Nasalance scor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age and gender.

2. Higher nasalance scores were found in the C + /i/ syllable forms than C + /a/.

3. The highest nasalance score was found in the syllables with nasal consonants.



In the sentence categories,

1. Nasalance scor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age and gender.

2. Nasalance scores of the total speech sample were 27.34%; high pressure consonant sentences, 8.50%; low pressure consonant sentences, 7.17%; and nasal consonant sentences, 61.7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our sentence categorie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the preliminary norms for cleft palate children with resonance disorders. Further studies are called for upon considering dialectic differences and including more extensive age groups as subjects. sure consonant, low pressure consonant
Files in This Item:
TA0090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93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