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6 677

Cited 0 times in

장.노년층과 청년층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비교

Other Titles
 Acoustic characteristics of normal healthy Koreans with advancing age 
Authors
 김선우 
Issue Date
2005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한글]의학과 과학 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평균 수명을 연장 시켰으며, 이로 인해 장·노년층 인구가 사회에서 차지하는 범위는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장·노년층 인구 중 음성 문제를 주소로 하여 또는 이와 관련된 기타 병명의 감별 진단을 목적으로 음성 평가를 받고자 하는 인구는 꾸준히 늘어가고 있지만, 임상과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객관적 음성 분석 기기인 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은 청년층의 평균 수치만을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노령화에 따른 신체 구조의 변화와 기능의 저하를 반영한 음성 자료의 수집을 목적으로 건강한 50, 60, 70대 한국인 남, 녀 60명의 연속발화와 아/, /이/, /우/의 최대연장발성(maximum phonation time, 이하 MPT)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MPT 중 안정된 3초 구간을 분석하여 11개 음향음성 매개변수의 평균 수치를 연령과 성별에 따라 살펴보았다. 그리고, 장·노년층과 동일 기준으로 선정된 20대 남, 녀 20명을 함께 비교하여 노령화에 따른 음성변화도 함께 알아보았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장·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이/와 /우/의 MPT가 유의미하게 더 짧았다.

2. 장·노년층은 여자의 /이/를 제외하고는 성별에 따른 MPT의 차이가 없었다.

3. 장·노년층 남자는 청년층 남자에 비해 연속발화와 MPT에서 유의하지 않은 기본주파수(fundamental frequency, 이하 f0)의 증가를, 장·노년층 여자는 청년층 여자에 비해 뚜렷한 f0의 감소를 보였다.

4. 장·노년층의 연속발화와 MPT의 f0는 연령증가에 따른 평균의 차이가 없었다.

5.장·노년층과 청년층 남자를 비교한 결과, /아/의 경우는 shimmer, f0 variation(이하 vf0), peak-amplitude variation(이하 vAm), smoothed pitch perturbation quotient(이하 sPPQ), soft phonation index(이하 SPI), f0-tremor intensity index(이하 FTRI) 및 amplitude tremor intensity index(이하 ATRI)에서, /이/의 경우는 shimmer와 FTRI에서, /우/의 경우는 shimmer, vf0, vAm, sAPQ, 및 SPI에서 집단 간에 유의미한 평균의 차이가 있었다.

6. 장·노년층과 청년층 여자를 비교한 결과, /아/의 f0, jitter, FTRI, /이/의 f0, FTRI, ATRI, 그리고 /우/의 f0에서 집단 간에 유의미한 평균의 차이가 있었다.

7.장·노년층 남자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아/의 jitter, shimmer, vf0, vAm, sPPQ, sAPQ, ATRI, SPI, /이/의 shimmer, vf0, FTRI 그리고 /우/의 shimmer, vf0, vAm, sAPQ, SPI 및 NHR에서 의미있는 평균의 차이를 보였다.

8.장·노년층 여자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이/의 vAm, FTRI 및ATRI에서 의미 있는 평균의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는 연령 증가에 따른 생리 해부학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현재의 건강 상태를 함께 고려하여 임상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voices with advancing age. The relationship between age-related changes in body physiology and certain acoustic characteristics of voice was studied in a sample of 80 men representing four chronological age groupings(20-29, 50-59, 60-69, 70-79) who were all of good physical condition. Each subject was asked to phonate the vowel /a/, /i/, and /u/ for as long as possible at comfortable frequency and intensity level and read the sentence. A promising voice analysis program(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TM) was used to measure the fundamental frequency(f0), jitter, shimmer, f0 variation, peak-amplitude variation, smoothed pitch perturbation quotient, smoothed amplitude perturbation quotient, soft phonation index, f0-tremor intensity index, amplitude tremor intensity index, and noise-to-harmonics ratio from the samp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Subjects over 50 years old produced a maximum duration of vowel phonation that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achieved by the subjects in their 20. The phonation time was decreased gradually with advancing age.

2.The f0 increased in the elderly men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nd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women.



3. Significantly higher shimmer, and f0 variation were measured in /a/, /i/, and /u/ productions by elderly male subjects.



4.Significantly higher peak-amplitude variation, f0-tremor intensity index, and amplitude tremor intensity index were measured in /i/ productions by elderly female subjects.



While chronological aging is undoubtedly a contributor to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voice demonstrated he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hysiological aging must also be considered.
Files in This Item:
TA0089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93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