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5 854

Cited 0 times in

학령전 아동용 보기 없는 조건의 단음절 말지각 검사

Other Titles
 Open-set monosyllanbic speech perception test for preschool children 
Authors
 이미영 
Issue Date
2005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한글]고심도 이상의 청각장애아동이 인공와우이식(cochlear implant) 및 장기간의 재활(habilitation)을 통하여 말소리에 대한 청각 기능이 향상되고 말-언어 발달이 촉진되어 구어 의사소통 능력이 발달하게 되었다. 이러한 진전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은 일차적으로 말지각(speech perception)의 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수립되어야 한다. 여러 말지각 검사 중에서 보기 없는 조건의 단음절 말지각 검사(open-set monosyllabic speech perception test)는 재활 프로그램의 수립뿐 아니라 수술 대상자의 선정, 술 후 수행력의 예측 및 진전도 파악 등을 위해서도 기본적으로 필요한 검사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대부분 병원에서는 각기 다른 비공식 검사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공와우이식 관련 여러 전문가들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환자 및 보호자에게 보다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기 위해서 공식적인 말지각 검사가 제작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학령전 아동용 보기 없는 조건의 단음절 말지각 검사 목록을 제작하는 데 있다. 둘째, 제작된 검사 목록을 이용하여 정상청력아동과 인공와우이식아동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여 검사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검사를 보완하기 위한 정보를 얻는 데 있다.



연구 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사의 제작은 어휘 친숙도, 음절 빈도, 음소 빈도, 목록 간 음성적 균형을 고려하여 이루어졌으며 문항 제작을 위한 구제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친숙도를 고려하기 위하여 5세 이하 아동의 어휘 및 자발화 보고 문헌에서 단음절어를 발췌하였다. 둘째, 발췌된 단음절어 중에서 누적빈도 25~95%에 속하지 않는 저빈도 음절을 제외하였다. 셋째, 목록 간 음성적 균형을 맞추어 두 개의 동형 예비 검사를 제작하고 어휘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5세의 정상청력아동을 대상으로 예비 검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예비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음소 빈도와 목록 간 음성적 균형을 고려하여 항목을 수정하였다.

위의 제작 절차에 따라 50개의 단음절 검사 항목으로 구성된 검사 목록 2개가 동형 검사로서 완성되었다. 각 검사 목록의 50개 항목은 어휘 난이도별로 3세와 5세 수준의 25개씩의 문항으로 구분하였고 초성 자음 42개, 종성 자음 38개, 모음 50개로 이루어진 130개의 음소로 구성되었다.



제작된 검사 목록을 사용하여 2세~6세(30개월~80개월)의 정상청력아동 138명과 언어 습득 전 고심도 이상의 청각장애로 5세 전에 인공와우이식을 받은 아동 46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자가 육성으로 제시한 단어를 아동이 보지 않고 듣기만으로 따라 말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제작된 검사 목록을 사용하여 정상청력아동과 인공와우이식아동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한 결과 인공와우이식아동의 말지각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두 아동군간 말지각 점수의 차이에는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조음 위치 지각의 어려움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제작된 검사가 두 아동군의 말지각을 측정하여 두 아동군 간을 간별해 주는 타당한 검사로서 적절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앞으로의 과제는 본 연구의 결과에 준하여 조음 위치 지각 특성과 관련된 항목의 비율을 확인하기 위한 문항 분석을 실시하고 보완하여 좀 더 타당도 높은 검사로 발전시키는데 있다.



[영문]Cochlear implantation and long-term habilitation for children with severe-to- profoundly impaired hearing have resulted in greatly improving abilities of speech perception, language, and oral

aural communication. Habilitation program is primarily based on speech perception evaluation. An open-set monosyllabic speech perception test is necessary not only for devising programs but for selecting candidates and estimating performance. At present, there is no formal speech perception material in Korea. A formal speech perception test is needed to ease communication among professionals and provide more specific information to parents and families. Therefore, this research has two purposes. First, to develop an open-set monosyllabic speech perception test for preschool children. Second, to practice devised test lists on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and cochlear implant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devised test, and then to collect information for complementing the test items.



The study method and results are as follows.

Based on the test development, the following aspects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word familiarity, syllabic and phonemic frequency, and phonetic balancing between the lists. First, monosyllables are selected from spontaneous speeches and words of under-5-year-old children. Secondly, rare frequency monosyllables are excluded. Thirdly, two trial test lists are made by controlling the phonetic balancing between the lists and a trial test on under-5-year-old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is conducted in order to confirm the property of vocabulary. Finally, the lists are modified for balancing of phonetic frequency.

Through this procedures, two test lists are made. The one list is made up of 50 items with 130 phonemics, 42 initial consonants, 38 final consonants, and 50 vowels. The 50 items are divided into 25 items according to vocabulary difficulty.



The devised test lists are applied to 138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and 46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The outcome shows that the speech perception score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when controlling for the length of auditory experience. The difference of speech perception score between the two groups mainly comes from the poor perception of place of articulation, that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have.

The consequential validity of this devised test is proven from the above result. The validity of this test needs to be enhanced by further analysis for checking the proportion of items related to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articulatory place.
Files in This Item:
TA0089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93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