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9 581

Cited 0 times in

별아교세포종에서 bcl-2 및 bax 단백의 발현

Other Titles
 Expression of bcl-2 and bax proteins in astrocytic tumors 
Authors
 김세윤 
Issue Date
2002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Apoptosis의 중요한 조절인자인 bcl-2와 bax 유전자 중 bcl-2는 종양세포를 세포주기의

G0/GI 기에 정지시키거나 APO-1/fas 항체를 통하여 apoptosis를 억제하고, bax는 apoptos

is를 촉진하는데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종양에서의 bcl-2 발현에 대한 몇 연구

에서 bcl-2의 발현이 종양의 악성도를 반영하지 못하고 예후와도 연관성이 없다고 발표되

었으나, 연구 대상의 수가 너무 적어서 그 의미를 찾기 어려웠다. 그러나 apoptosis는 악

성 종양의 증식이나 억제에 의미가 있음이 백혈병을 비롯한 다른 암종에서 보고되고 있지

만, 별아교세포종에서는 apoptosis 관련 유전자가 얼마나 발현되고 어떤 종류의 종양 세

포에서 발현되는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별아교세포종에서 apoptosis의 조절인자인

bcl-2와 bax 유전자가 어떻게 발현되고 종양의 증식 지수로 사용되는 Ki-67 발현율과 어

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bcl-2, bax, Ki-67 발현율과 임상 소견, 병리학 소견, 환

자의 생존기간 등을 비교하여 예후인자로서의 유용성에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연구대상은 수술로 확인된 별아교세포종 42예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WHO 분류법에

따라 4개의 조직학적 등급을 나누었다. 진료기록과 방사선학 검사를 통해서 나이, 성별,

종양의 크기와 위치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생존 여부를 확인하였다. 파라핀 포매조직

을 이용하여 bcl-2, bax, Ki-67에 대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한 후, 그 결과를 SPSS

(win 10.0)를 이용하여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생존율과의 관계는 Kaplan-Meier 분

석을 이용하였다.

별아교세포종 42예 중 1등급이 2예, 2등급이 10예, 3등급이 10예, 4등급이 20예였다. bc

l-2 단백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 결과 2등급에서 1예, 4등급에서 1예만이 양성으로,

전체 42예 중 2예 (4.76%)에서만 양성이었다. bax 단백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 결과는

종양세포의 세포질에 미만성으로 염색되었는데, 전체 42예 중 35예 (83.3%)가 양성으로

높은 발현율을 보였으나 등급간에 발현율의 차이는 없었다. Ki-67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

색 결과 labeling index(LI)는 1등급이 60%, 2등급이 45.5%, 3등급이 139.8%, 4등급이 28

0.85%로 종양의 등급이 높아질수록 Ki-67 LI가 높았다 (p<0.05). 그러나 bcl-2, bax 단백

의 발현과 나이, 성별, 종양의 위치, 크기, 조직학적 등급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

는 없었다. Kaplan-Meier analysis에서 log rank test상 bcl-2, bax의 발현여부에 따른

생존율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ki-67 LI를 92.5%를 기준으로 92.5% 이상인 경우 평균

생존기간이 15.2개월이나, 92.5% 이하인 경우 45.5개월로 의미있게 차이가 있었다 (p<0.

05).

결론적으로 별아교세포종에서 apoptosis 조절인자 중 bcl-2는 거의 발현되지 않았고, ba

x 단백의 경우 발현율은 높았으나 예후인자로서의 의미는 없었다. 오히려 Ki-67 LI가 별

아교세포종의 조직학적 등급과 관련하여 종양의 악성도와 증식능을 추정할 수 있고, 환자

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의미있는 인자로 제시되었다.



--------------------

핵심되는 말 : 별아교세포종, bcl-2, bax, Ki-67, 예후 인자



Neuroepithelial tumors account for 50 to 60 per cent of primary intracranial

tumors in adults. Astrocytic tumors constitute about 75 per cent of gliomas.



Histologic grade significantly influences survival and prognosis among patients

with astrocytic tumors. But progression from initial low grade to high grade on

repeat tissue sampling usually confused us. Another prognostic factor of astrocytic

tumors is an estimation of proliferative index in tumor cells.

Bcl-2 and bax protooncogene regulate apoptosis. Bcl-2 prolongs survival by

arresting cells in the G0/G1 phase of the cell cycle or inhibiting of APO-1/Fas

antibody-mediated apoptosis. Bax generally promotes apoptosis.

In brain tumor, it has been published that bcl-2 expression was not related

malignancy and prognosis. Because the number of the study case was limited, there

were some pitfalls. We studied forty-two cases retrospectivel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bcl-2 &

bax protein in astrocytic tumors and prognosis.

We classified the astrocytic tumors according to WHO grading system and reviewed

the clinical information and survival time. The sections were taken from surgically

resected paraffin-embedded tissue and performed immunohistochemical stains (ABC

method) for bcl-2, bax, and Ki-67. Ki-67 labeling index (LI) were expressed as

percentile of positively stained nuclei to 1,000 neoplastic cells.

Forty-two cases of astrocytic tumors were grade I (2 cases), grade II (10 cases),

grade III (10 cases), and grade IV (20 cases) according to WHO grading system.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 for bcl-2 revealed a positivity in only two (4.76%) among

forty-two cases. The immunostain for bax protein was positive in 35 cases (83.3%).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bcl-2 & bax protein expression and age, sex, tumor

location, size, and histologic grade was not found. By Kaplan-Meier analysis, bcl-2

& bax protein expression and survival time in astrocytic tumor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log rank test (p>0.0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i-67 LI and histologic

grade and between Ki-67 LI and survival time, respectively (p<0.05). But the

relationship of Ki-67 labeling index (LI) and age, sex, tumor location, and size

was not present.

As a conclusion, bcl-2 and bax protein as apoptosis-regulating factor were not

significant, whereas Ki-67 LI was suggested a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associated with histologic grade and survival time of astrocytic tumors.
Files in This Item:
TA0088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91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