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9 636

Cited 0 times in

아동용 청능 선별검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Other Titles
 Development of an auditory perception screening test for preschool children 
Authors
 김은연 
Issue Date
2002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청각적 단서를 최대한 활용하여 말을 지각할 수 있도록 하는 청능 훈련은 구어 의사소통

을 목표로 하는 청각장애 아동의 말·언어 중재에 있어 일차적 과정이 된다. 이러한 청능

훈련은 청각 기관의 손상정도와 관계없이 잔존 청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

다는 점에서 강조되어 왔다. 체계적인 청능 훈련을 위해서는 청각 역치 검사 뿐 아니라

적절한 청능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 아동을 위한 청능

선별검사(김은연,하효정, 2000)의 검사 문항들을 재검토 수정하고, 동형 검사를 제작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청능 선별 검사는 음소의 감지(Auditory detection of phoneme

), 낱말의 확인(Auditory identification of word), 낱말 내 음소 확인(Auditory identif

ication of phonemes in word), 문장의 이해(Auditory comprehension of sentence) 총 4

개의 하위검사로 이루어졌으며, '음소의 감지'를 제외한 3개의 하위검사는 A, B 동형 2세

트로 구성되었다. 먼저 4∼5세(48∼71개월) 건청 아동 73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청 아동의 검사결과는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청능 선별 검사 A, B는 각 하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강한 상관 관계를 보여 동형

검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작한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건청 아동(n=11)과 청

각 장애 아동(n=11)간의 수행력을 비교해 보았다. 결과는 첫째, 모든 하위검사에서 두 집

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시각적 단서를 제공했을 때, 청각장애 아

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행력 향상을 보였다. 단, '문장의 이해' 하위 검사는 제외된다

. 셋째, 청력 손실 정도가 경할수록 청능 수준은 우수한 경향을 보이지만, 단순히 순음

청력 역치를 기준으로 한 청력 손실 정도 하나 만으로는 청능 수준을 단정지어 예측할 수

없었다.



--------------------

핵심 되는 말 : 말 지각, 청능 훈련, 음소의 감지, 낱말의 확인, 최소 대립 쌍, 낱말 내

음소 확인, 문장의 이해, 청능 선별검사, 동형검사



Development of an Auditory Perception Screening Test for Preschool Children



The first step of speech·language interven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is auditory training. The auditory training is intended for enhancing the children

auditory perception ability through utilizing any possible auditory cue. This kind

of Auditory Training has been emphasized that, no matter how severely damaged

auditory system, it could help children making full use of residual hearing.

For proceeding with more systematical auditory training, an appropriate auditory

perception evaluation must be preceded more than anything el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and modify the questionnaire for the auditory

perception screening test for hearing impaired Children (Kim, Eun-yeon, Ha,

Hyo-jeong, 2000) and then develop an equivalent form test. This Auditory Screening

Test is composed of total 4 sub-tests such as Auditory Detection of Phoneme,

Auditory Identification of Word, Auditory Identification of Phonemes in Word, and

Auditory Comprehension of Sentence. Except for auditory detection of phoneme, each

of the other 3 sub-tests comprises 2 equivalent sets of test form A and B.

A research conducted on 73 normal hearing children with 4 to 5 years( 48-71

months)old age groups show their results as follow. First of all, in case of 4 to 5

years old normal hearing children, their age or sex didn'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re wa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auditory perception

screening test form A and B. So they could be used as the alternative test for each

other. And then, with the help of the previously developed test form, I have

compared the auditory perception achievement of the normal hearing children(n=11)

with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n=11). The results were : 1. In all the

sub-tests, statistically the two groups have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2.

Provided with visual cue, statistically,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have shown

significant enhancement in their auditory perception achievement, with the

exception of the sub-tests concerning Auditory Comprehension of Sentence. 3.

Although There are tendency that the milder hearing impairment, the superior level

of the auditory perception ability However, we cannot predict the level of ones

auditory ability soley based on the pure-tone audiometry.
Files in This Item:
TA0085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88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