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7 791

Cited 0 times in

노인에서 원예요법이 신체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hy on physical ability in elderly people 
Authors
 강석정 
Issue Date
2002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의 노인에게 있어 두 가지 다른 종류의 원예요법이 즉, 주로

앉아서 양손을 이용하여 섬세한 손동작을 필요로 하는 실내 원예요법과 주로 근력, 균형

및 협동운동을 필요로 하는 실외 원예요법이 일상생활동작, 척추의 관절운동범위, 손의

근력, 균형감각등 신체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 이를 정량화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만 65세 이상의 여자 노인을, 원예요법을 하지 않는 대조군 10명, 섬세

한 손동작을 주로 하는 실내 원예요법군 12명과 근력, 균형 및 협동운동을 주로 하는 실

외 원예요법군 13명 등 3군으로 임의로 나누어 각각 원예요법을 1회에 1시간씩 1주에 2회

, 총 20주간 40회 실시하였다. 모든 검사도구를 원예요법실시전과 실시 시작 10주와 20주

후에 각각 척추의 관절운동범위, 일상생활동작지수(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단무지 외전근의 수축력(Root Mean Square), 균형감각(Sensory Organization Test)을 측

정하였다. 대조군, 실내 원예요법군, 실외 원예요법군간의 비교는 repeated measured ANO

VA test를 이용하였으며, 각각 세 군내에서의 실시 전, 실시 10주후, 실시 20주 후의 비

교는 paired T-test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p값 0.05이하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내 원예요법군에서 실시 전, 실시 10주후, 실시 20주 후의 검사결과를 비교한 결과

일상생활동작지수(FIM)와 양측 손의 단무지 외전근의 수축력(RMS)에서 원예요법이 진행

될수록 의미있게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다(p<0.05). 특히, 일상생활동작지수(FIM)의 소항

목 중 자기관리(Self-Care), 의사소통(Communication) 영역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p<0.05). 그러나, 척추의 관절운동범위와 균형감각(SOT)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다(p>0.05).



2. 실외 원예요법군에서 실시 전, 실시 10주 후, 실시 20주 후의 검사결과를 비교한 결

과 척추의 신전각도, 일상생활동작지수(FIM)와 양측 손의 단무지 외전근의 수축력(RMS)이

유의하게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p<0.05). 일상생활동작지수(FIM)의 소항목 중 자기관리(

Self-Care), 이동(Mobility), 운동(Locomotion)영역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그러나, 척추의 굴곡간도와 균형감각검사(SOT)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

5).



3. 대조군, 실내 원예요법군, 실외 원예요법군간에 실시 전, 실시 10주 후, 실시 20주

후의 결과비교에서 일상생활동작지수(FIM)에서만이 대조군에 비해 실내 원예요법군과 실

외 원예요법군에서 원예요법을 진행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

다(p<0.05).



4. 대조군의 실시 전, 실시 10주 후, 실시 20주 후의 비교에서는 척추의 관절운동범위,

일상생활동작지수(FIM), 양측 손의 단무지 외전근의 수축력(RMS), 균형감각검사(SOT)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위의 결과로 볼 때 노인들에서의 원예요법이 신체적 기능면에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

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원예요법의 특정상 운동정도를 정량하지 못해 각 대상자에게

동일한 운동량을 적용하였는지 확인하기 어려우며, 비슷한 운동량이 부하될 수 있는 다

른 종류의 활동요법의 효과와 비교를 하지 못한 것이다. 앞으로 다른 종류의 활동요법을

시행하여 원예요법과의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

핵심어: 노인, 신체적 기능, 원예요법

Evalution of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Physical Ability in Elderly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physical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using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range of motion(ROM) of

lumbar spine, hand strength, and balance, and also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indoor and outdoor horticultural therapy in people over 65 years of age.

Thirty-five women over 65 participated in the study. Ten persons, served as

controls, 12 participated in the indoor horticultural therapy and received therapy

using both hands in a sitting position and 13 participated in outdoor horticultural

therapy and received therapy using the entire body. Horticultural therapy was done

two hours per session, twice a week and continued for 20 weeks. FIM, ROM of the

lumbar spine, hand strength, and balance were checked prior to the therapy, at 10

weeks, and at 20 weeks from the beginning of therapy. The data were analysed with

repeated measure ANOVA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As the therapy continued, the FIM score, ROM of lumbar spine, hand

strength, and balance were no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p>0.05).



2. As the therapy continued, the FIM score and hand strength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in the indoor horticultural therapy group. However, ROM of

the lumbar spine and balance were not significantly increased(p>0.05).



3. As the therapy continued, the FIM score, hand strength, and lumbar extension

angl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05) in the outdoor horticultural therapy

group. However, balance and lumbar flexion angle were not significantly

increased(p>0.05).



4. The FIM sco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horticultural therapy

among all groups, the control, indoor and outdoor horticultural therapy

groups(p<0.05)



We proposed and concluded that horticultural therapy is a useful method to

increase the physical ability of person 65 and over. Indoor horticultural therapy

can mainly improve the function of the upper extremities and outdoor horticultural

therapy can improve ROM of the spine, hand function and coordination of the whole

bod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mpare horticultural therapy with other

therapies.
Files in This Item:
TA0084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88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