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82 1372

Cited 0 times in

인위적 연인두 폐쇄 부전시 비음화된 모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Other Titles
 (The) acoustic properties of nasalized vowels in simulated VPI 
Authors
 이성은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연인두 폐쇄 부전(Velopharyngeal Incompetence) 환자는 말소리를 산출할 때 기류가 비

강으로 새기 때문에 비강 공명이 지나치게 지각되는 과대비성(hypernasality) 문제를 동

반한다. 이를 객관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비음측정기(Nasometer)를 이용하여 비

음치(Nasalance score)를 측정하는 방법과 스펙트럼(Spectrum)의 LPC분석을 통하여 포먼

트(formant) 특성을 관찰하는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음화된 모음(nasalized vowe

l)의 음향음성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 성인 남자 21명을 대상으로 정상시와

인위적 연인두 폐쇄 부전시 연장 발성한 모음의 비음치 및 포먼트 주파수를 비교하였다.

또한 포먼트 주파수와 관련하여 포먼트 주파수비와 모음 분포도 및 모음 삼각도를 비교하

여 비음화가 말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모음의 비음치는 모든 모음에 대해서 정상시보다 부전시 유의하게 높았다. 모음에 따

른 비음치를 살펴보면, 정상시 비음치는 전설모음이 중·후설모음보다 유의하게 높고(/이

,에/ > /아, 우, 오/), 부전시 비음치는 고모음이 중·저모음보다 유의하게 높았다(/이,

우/ > /에, 오, 아/).

2. 비음화된 모음의 포먼트 변화 양상은 포먼트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F1은 모음의

높이 자질에 따라 다른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다. 고모음인 /이/, /우/ 모음과 중모음인 /

에/, /오/ 모음은 정상시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지만, 저모음인 /아/ 모음은 정상시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F2는 모음의 전후 자질에 따라 다른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다. 전설모음

인 /이/, /에/ 모음과 중설 모음인 /아/ 모음은 정상시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후설모음인

/오/ 모음은 정상시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우/ 모음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

다. F3는 모든 모음에서 정상시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3. 비음화된 모음의 포먼트 주파수비는 F2/F1과 F3/F1이 모든 모음에서 정상시보다 유의

하게 낮았다.

4. 비음화된 모음의 모음 분포도와 모음 삼각도는 정상시와 차이를 보였다. 모음 분포도

는 개별 모음에 대한 분포가 정상시보다 넓게 분산되어 있어 모음간 경계가 분명하지 않

았다. 삼각도는 정상시보다 유의하게 작았다.

본 연구는 정상시와 부전시 모음의 비음치와 포먼트 주파수가 모음에 따라 차이가 있음

을 모음의 분류체계를 통해 기술하였다. 그 근거를 공명강의 변화로 인한 음향학적 원리

와 함께 조음시 연인두 부위의 구조 및 기능과 관련지어 설명하였다. 비음화된 모음의 음

향음성학적 변화는 결과적으로 말 명료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e acoustic properties of nasalized vowels in simulated VPI



Sung Eun Lee

Graduate Program in Speech Pathology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Hong Shik Cho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oustic properties of nasalized

vowels in simulated VPI. Twenty one male adults without VPI produced 5 types of

vowels in two conditions - normal and simulated VPI condition. Nasalance score and

3 formant frequencies were measured for each vowel. Two formant frequency ratios -

F2/F1, F3/F1 and the vowel scattergram were obtained. These data from each

condition were compa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For all vowels, nasalanc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imulated VPI condition than in normal

condition. The two conditions yielded different patterns in terms of the degree of

nasalance across the 5 vowels. In normal condition, nasalance scores were higher in

front vowels than in medial or back vowels. But in simulated VPI condition,

nasalance scores were higher in high vowels than in mid or low vowels. 2) Formant

frequency shifts resulting from simulated VPI exhibited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vowels. F1 increased in high or mid vowels but decreased in low vowel.

F2 decreased in front or medial vowels. In back vowels, no significant change of F2

was noted in /u/. But, significant increase of F2 was noted in /o/. F3 decreased in

all vowels. 3) Formant frequency ratios - F2/F1 and F3/F1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imulated VPI condition than in normal condition regardless of the kinds of

vowels. 4) In the vowel scattergram, nasalized vowels dispersed widely compared to

non-nasalized vowels. The vowel triangle of nasalized vowels was smaller than that

of non-nasalized vowe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coustic changes of nasalized

vowels may affect speech intelligibility.
Files in This Item:
TA0083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87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