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한국 울릉도 자월도 거주민의 이하선타액내 Proline rich protein(Pr) Double Band Protein(Db)과 Salivary acidic protein(Pa)의 유전적 다형현상에 관한 연구

Authors
 정순민 
Issue Date
1990
Description
치의학과/박사
Abstract
[영문]

[한글]

저자는 한국인 이하선 타액 단백질의 다형 현상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연

구대상의 타액 단백질 다형에 관한 유전자 빈도의 분석에 확실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지리

적으로 먼 동해안의 울릉도와 서해안의 자월도 주민 각각 48명, 35명을 대상으로 채취된

타액을 가지고 alkaline slab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한 후 3.3'-DMB 염색

하여, 비교적 인종간에 분리비가 뚜FUT한 차이를 보이는 Proline-rich protein과 Double-

band protein 및 그와 동시에 관찰되는 Salivary acidic protein(Pa)의 다형의 출현빈도

와 유전자빈도를 조사하고, 이미 조사 보고된 인류집단과의 비교 및 타 지역 거주 한국인

집단과의 유전학적 유연 관계를 조사한 바 다음과 갚은 결론을 얻었다.

1, 울릉도 거주민의 이하선타액내 Proline-rich protein의 유전자 빈도는 Pt=0.719, Pr

**2=0.281으로 나타났다.

2. 자월도 거주민의 이하선타액내 Proline-rich protein의 유전자 빈도는 Pr**2=0.671,

Pr**2= 0.329으로 나타났다.

3. 울릉도 거주민의 이하선타액내 Double-band protein의 유전자 빈도는 Db**+=0.087,D

b**-=0.913으로 나타났다.

4. 자월도 거주민의 이하선타액내 Double-band protein의 유전자 빈도는 Db**+=0.106,D

b**-=0.894으로 나타났다.

5. 울릉도 거주민의 이하선타액내 Paretid acidic protein의 유전자 빈도는 Pa**+=0.17

9,Pa**-=0.821로 나타났다.

6. 자월도 거주민의 이하선타액내 Parotid acidic protein의 유전자 빈도는 Pa**+=0.16

7.Pa**-=0.833으로 나타났다.

7. 자월도 울릉도 거주민 이하선 타액내 Proline-rich protein외 Pr**l유전자 빈도는

내륙지방인 서올, 온양거주민에서 보다 낮게 나타나나, 해안.도서지방인 강릉,제주 거주

민 Pt**1유전자 빈도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8. 자월도와 울릉도 거주민 이하선 타액내 Double-band protein외 Db**+유전자 빈도는

이미 보고된 중국인, 일본인 그리고 한국의 타지역 주민에서의 유전자 빈도 보다도 비교

적 높게 나타났다.





A Study of polymorphlsms of Prolle-rich Protein, Doule-band proteln and pa prothein

in Ullung-do and jawall-do



Soon-Min Chung, D.07., M7.D.

DePt. Of Dental scienc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or :prof. Chong - You Kim, D.D.S, M.S.D., Ph. D.)



After alkaline slab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3.3'-DMB staining of

parotid saliva from 48 peoples in ullung-do and 35 peoples in Jawall-do, the author

have got fellowing con - dusions.

1. The gene frequencies of Proline-rich protein in U11ung-do were Pr**+=0.719,

Pr**2=O.281.

2. The gene frequencies of Proline-rich protein in jawall-do were

Pr**l=0.671,pr**2=0.329.

3. The gene frequencies of Double-band protein in U11ung-do were Db**+=0.087,

Db**-=0.913.

4. The gene frequencies of Double-band protein in Jawall-do were Db**+=0.106,

Db**-=0.894.

5. The gene frequencies of ra protein in U11ung-do were Pa**+=0.179, Pa**-=0.821.

6. The gene frequencies of 7a protein in Jawall-do were Pa**+=0.167, Pa**-=0.833.

7. The gene frequencies of Pt of U11ung-do and Jawall-do were lower than those of

Pr**+ in Seoul and Onyang, but similiar to those of Pr**1 in Kangnung and Cheju.

8. The gene frequencies of Db**+of U11ung-do and Jawall-do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Db**+in japanese, Chinese and other populations in Korea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64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81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